해양 실크로드와 동아시아 고대국가(권오영)
술술 잘 읽히는, 쉽게 잘 쓴 책.
인도 안다만 제도 동쪽부터 인도네시아 이북으로 동북아까지 펼쳐진 바다에서, 24세기 이상 오랫동안 해상교역이 있었는데, 그것을 이야기해줍니다.
분량은 250여 쪽 정도입니다. 글씨는 크지 않지만 행간이 넉넉해서 눈이 아프지 않습니다. 어설픈 학술서나 비전문가의 번역서는 정말 읽는 게 고통일 때가 잦은데, 이 책은 안 그래요. 오랜만에 술술 읽히는 책을 만나 기뻤습니다.
http://kyobo.link/Rljq
목차
편찬사
1장 서장
2장 고대 해상 실크로드의 형성과 항시국가
1. 고대 바닷길의 개통
2. 항시의 번영
3. 항시국가의 흥망성쇠
(항시.. 제대로 된 정의는 책을 보기. 소감을 적으면, 해상교통의 요지에 자연발생한 정박지가 보급, 상업, 제조업, 정치, 군사기능을 확장하며 형성되는 항구도시. 항구를 잇는 지협을 이용하는 육로교툥을 중개하기도 하고, 연안항해가 주일 때는 해안 근거리마다, 계절풍을 본격적으로 이용하면서는 더 먼 거리를 두고 자리.
항시는 항해기술의 발전으로 가치를 잃거나, 전쟁으로 파괴되거나, 상업적 우위를 상실하거나, 기후나 환경이 바뀌거나 해안퇴적으로 항구기능을 상실해 망하거나 신도시로 옮겨가기도.
훨씬 전 시대부터 지중해와 흑해 연안에 번성한, 고대 그리스인의 폴리스를 연상케 하는 면이 있다)
3장 동남아시아의 다양한 항시국가들
1. 반 랑과 어우 락
2. 남월(南越)과 구군(九郡)
3. 참파(Champa, 林邑)
4. 푸난(Funan, 扶南)
5. 랑카수카(Lankasuka, 狼牙脩)
6. 퓨(Pyu, 驃)와 전(?, Dian)
7. 스리위자야(Srivijaya, 室利佛逝)
4장 해상 실크로드와 동북아시아
1. 인도-태평양 유리구슬의 유통에 반영된 해상 교역
2. 바닷길의 확장과 해상 교역의 발전
3. 해상 실크로드와 삼국시대
5장 맺음말
주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