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폰 앱
- 소비전력
- ssd
- 삼성전자
- Freeware
- 게임
- 웹브라우저
- Google.com
- 구글
- Tistory.com
- Naver.com
- diy
- Mozilla Firefox
- Google Chrome
- 구글 크롬
- 애플
- 티스토리
- 보안
- 전자책
- 인터넷 저장공간
- Microsoft
- 코로나19
- 프리웨어
- 마이크로소프트
- 스마트폰
- 가상머신
- 네이버
- 무료 프로그램
- 인공지능
- Apple.com
- 티스토리 새 편집기, ctrl-V 문제
- 크롬이나 크로뮴계열 웹브라우저에서 방문 기록⋯
- 봄날이네요.
- 코로나19 집계(2021. 4. 10. 0시 기준)
- 인프런(inf learn) 오리지널 온라인 강의, 4월 1⋯
- 아파트 베란다 미니태양광용 인버터/:/ HSPV-K36⋯
- 태양광패널 정보/:/ 한화큐셀 Q.PEAK DUO-G5315-⋯
- 2021년 서울특별시 베란다형 태양광 미니발전소⋯
- 2021 서울특별시 태양광 미니발전소(주택, 건물)⋯
- P2P 투자에 관한 기사들
- 태양광 미니발전소 시공기준 (베란다형, 주택형⋯
- (네이버 시리즈온 무료영화) 하늘과 바다, 열다⋯
- 코로나19 집계(2021. 4.9. 0시 기준)/:/ 거리두⋯
- 서울상수도사업본부(아리수) 수도요금 자가검침⋯
- (에픽 게임즈 무료게임) 3 out of 10: Season Two
- LG전자가 스마트폰 사업을 그만두니/:/ LG전자⋯
- 화성탐사선이 싣고 간 헬리콥터, 다음 주 시험비⋯
- 가오몬(GAOMON) 1060PRO 10x6 디지타이저(타블렛⋯
- (인디갈라 무료게임) Stranded In Time
- 코로나19 집계(2021. 4.8. 0시 기준)/:/ 확진자⋯
- 네이버 QR체크인/:/ 개인안심번호/:/ 네이버앱⋯
- 베란다 텃밭용 채소: 상추, 비트
- 메타버스(metaverse = meta + universe)
- 티맵+우버, 그리고 카카오모빌리티+구글
- 게임 오버 GAME OVER - 한스 페터 마르틴
- 봄 갓김치 맛있네요.
- 이번 선거(2021.4.7)는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법 알리미 블로그
- "You are not prepared"
- 구글 크롬보다 모질라 파이어폭스 웹브라우저가⋯
- 아, 정말 북마크 정리 기능 꽝.⋯
- ㅠ.ㅠ 잘 해결되었기를 바랍니다.
- 요즘 계속 블루스크린뜨고 컴퓨⋯
- 저도 안 해봐서 모르는데, 앱이⋯
- 혹시...터치하면 어찌되나요?⋯
- 나중에 본문에 덧붙일 이야기:⋯
- 아, 그랬군요. 알려주셔서 고맙⋯
- 데이터 세이버 기능 아이콘입니⋯
-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O^//
- 세븐모바일 유심 집에서 굴러다⋯
- 링크가 여러 개라.. 그러라고⋯
- 완전방전시키고나서 충전을 시⋯
- 저도 우연히 본 이야기입니다.⋯
- 열대우림 개발을 위한 포석이⋯
- 감사합니다. 그러게요. 전에는⋯
- 새로운 글쓰기 익숙해 질려고는⋯
- 맥북프로 2009(엘 카피탄os)에⋯
- 안녕하세요 포스팅 잘봤습니다.⋯
- 그랬군요. 소식 감사합니다. 그⋯
- 중조 관련 소식은 MOU만 맺고⋯
- 日, 편의점 ‘로봇 알바’ 시대⋯
- 예, 편안한 하루되세요.^^
- 아래 따로 단 링크로 가보세요.⋯
- https://www.canon-europe.com/⋯
- 잘 보고 갑니다. 공감해요.
- 안녕하세요. 구글링하다가 이⋯
- 로지텍 공식 홈이었을 겁니다.⋯
- 위에 사진에 있는 소프트웨어는⋯
- 리뷰야 머야?
- 본글에 나온 저 둘은 정당한 테⋯
목록
PC Geek's

미국판 중국고섬/중국원양자원사태가 될까요? 아니면 해프닝으로 끝날까요. 일단은 "중국 현지에 가서 발품팔아 확인해보니 그 회사가 배포한 자료에 있는 그런 거 없더라"는, 언젠가 코스닥에서 본 것같은 기시감이 있는 이야기입니다. http://naver.me/xSczInZD中 드론업체 이항 사기 의혹 파문…서학개미도 날벼락세계 최초로 사람이 탈 수 있는 드론택시(UAV)를 개발한 중국 드론업체 이항(億航·Ehang)이 사기 논란에 휩싸였다. 미국의 한 투자정보 업체가 이항의 기술 조작 및 허위계약 의혹을 제기하자 미국n.news.naver.com 서울시와 국토교통부도 2019년에 여기 드론택시를 4억 주고 샀다는데(해당 사업예산은 총 17억), http://naver.me/F36rHz0A박원순도 17억 쏟아..

쓰레기 수거, 가로 청소 용도로 20km/h이하 속력으로 저속운행하는 특장차를 무인운행하는 방식을 시험하는 자율주행 시범사업. 도로 끝차선을 저속운행하는 이런 종류 차량이나, 도로 끝차선이나 인도를 주행하는 배달드론에도 응용가능. http://naver.me/FFwOtSLh도로변 청소·쓰레기 수거 '척척'…무인저속특장차 내달 광주서 첫선운전자 없이 스스로 도로변을 청소하고 생활폐기물을 수거하는 무인저속특장차가 다음달 국내 처음으로 광주에서 선보인다. 광주시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서남본부 등과 공동으로 12월 중순부n.news.naver.com"광주광역시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서남본부. 2020년 12월 중순부터 무인노면청소차, 산업단지용 무인생활폐기물수거차 등 무인저속특장차 2대를 1년간 시범 운행해 상용화..

이것이 구현되면 각종 농업 보조금이 필요없게 되거나 적어도 크게 줄겠죠. 그리고 생산비도 싸지거나 더 높은 임금수준에 대응할 수 있을 겁니다. 백 만 명이 살아온 방식대로 살아가기 위해 오천만 명이 쌀을 비싸게 사먹을 필요도 없게 될 겁니다. 이런 이야기는 일견 과격하게 들릴지 몰라도, 백 년 전 이땅의 인구 9할은 농업종사자였을 테지만 지금은 고작 4~5퍼센트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떠올려보세요. 그게 다시 1퍼센트로 줄어들 수도 있는 겁니다. 특히 벼농사의 자동화율은 정부계산방식으로 98퍼센트에 이른다는 문서도 있습니다. 지금 농촌을 지탱하고 있는, 특히 작목 전환을 엄두내지 못하는 고령층 벼농사 인구가 그 연령대 평균수명을 지나며 급격히 줄기 시작할 때, 완전자동화된 드론농법은 꼭 필요할 것 같습니다...
현대경제연구원 이달 보고서http://hri.co.kr/board/reportView.asp?firstDepth=1&secondDepth=2&numIdx=30181&isA=1- 물류로봇의 정의, 분류, 등장배경- 물류로봇 시장 동향 및 전망- 물류로봇 응용부문 동향 및 사례 - IFR(국제로봇연맹)은 로봇을 산업용로봇과 서비스로봇으로 나누고, 서비스로봇을 크게 업무용과 개인/가정용으로 구분. 물류용 로봇은 업무용 카테고리.- 물류로봇은 다시 제조환경AGV, 비제조환경AGV(옥내용), 화물처리로봇(옥외용), 개인운송로봇(개인용AGV)로 분류. - AGV(Automated/Automatic Guided Vehicle; 자동유도이동물?)은 모터나 엔진 탑재, 사람의 직접조종없음, 정의된 경로를 이동하거나 완전..
배달드론 자체의 기술적 완성도는 빼고 이야기입니다. 차도와 인도, 자전거길을 오갈 배달드론을 기준으로, 1. 치안. 당연하죠? 배달드론을 부당하게 건드리는 일이 없어야죠. 2. 도로포장상태. 서울만 해도 변두리로 가면 도로사정이 그리 좋지 않습니다. 일단 2차선 차도에서 배달드론이 다니도록 하면 민원을 부를 테고요, 인도 보도블럭으로 다니도록 하면 그 인도의 노면상태와 기울기와 턱이, 바퀴가 그리 크지 않을 드론이 다니기 좋지 않은 데가 많아요. 골목길은 포장상태, 주차된 차량, 자동차 교행문제 등. 3. 자치단체가 가장 최근에 손본 데는 아마도 자전거길일 텐데요. 자전거길로 배달드론이 다닌다면? 저는 자전거를 거의 안 타니 상관없습니다만. 4. 경사로 문제. 우리나라 도시에서 일본이나 서유럽과 달리 근..
허블 우주망원경은 지표면에서 겨우(?) 550 km 정도 떨어져 있어서 우주왕복선이 A/S하러 날아갈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발사하고 거의 30년을 바라보는 지금도 조금이나마 운영 중이고, 또 지금은 우주왕복선이 없지만 미래에는 로봇 우주선을 보내서 고칠 가능성도 꽤 될 겁니다. 소유국이 미국이니만큼 수십 년 후 현역으로 뛸 성능은 못 되더라도 이왕 우주에 올린 것, 대학교나 초중고등학교 실습용으로 내놓을 수도 있겠죠. 사실 약 20년 전에도 미국 NASA는 우주환경에서 할 실험을 학교에 프로젝트를 공모하고 우주왕복선에 실을 컨테이너와 인터페이스 규격을 제시해 학생들이 만든 실험모듈을 적재한 왕복선을 쏘아올린 적도 있습니다. 이것은 우리 나라도 얼마든지 따라할 수 있는 정책입니다. 올해 빅이벤트가 되어 ..
구글이 만들어 수많은 웹사이트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제공한 리캡챠 말입니다.이것은 매크로와 사람을 구별해줍니다만, 그 결과물은 초기에는 OCR정확도를 높이는 데 사용했다지만, 구글이 제공하는 것은 요즘 구글 인공지능을 훈련시키는 데 사용한다고 하더군요.그런데 이 리캡챠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제게요. -_-물론 아직 못 알아본다거나 하는 건 아니지만, 예전보다 제 클릭 실수가 늘어난 느낌.구글은 아마도, 자체 인공지능이 진보하는 대로 학습시킬 리캡챠 이미지의 수준도 높이는 게 아닐까요? 결국 미래 어느 시점에 가서 인공지능이 리캡챠를 사람보다 더 정확히까지는 아니라도 더 빨리 구별할 수 있게 되면,그때즘 GPL이나 오픈소스로 풀린 인공지능을 사용하면,사람보다 리캡챠를 더 잘 보는 인공지능을 웬만..
금주에 고시된 것입니다.뉴스 국가기술표준원, 드론 관련 KS 표준 3종 제정…설계·배터리 관련 - 전자신문정책브리핑 링크 http://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260991
지금까지는 법령이 허락하지 않아 공공기관도 마음대로 띄울 수 없었다고 합니다. 비행신청을 하고 승인허락을 받아야 했다네요. 그걸 이번에는 공공기관이, 조종자가 눈으로 볼 수 없는 먼 거리까지 드론을 날릴 수 있는 특례를 늘렸다는 이야기입니다. (즉, 여전히 민간은, 재해상황에서도 승인없이 그렇게 멀리 날리면 안 됩니다) 도로 철도 파손·시설물 붕괴되면 드론 띄운다 뉴시스 2018-03-15국토교통부는 공공·긴급 상황에서 드론 활용을 활성화하고 야간·가시권 밖 비행 특별승인 검토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항공안전법' 하위법령 개정안 입법예고 2017년 말, "국가기관 등이 공공목적 긴급 상황에 드론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야간·가시권 밖 특별비행승인을 면제하는 내용"으로 항공안전법령 개정 재난·재해 발생시..
1.원래 호박벌과 공은 상관이 있어요. 저만큼 크면서 둥글게 생긴 꽃가루뭉치를 운반하는 경우가 있거든요. 연구자들이 이 벌의 습성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보면 될 겁니다.왼쪽 사진은 기사가 인용한 UML연구진 논문것, 오른쪽 사진은 네이버 블로그, 뒤영벌 사육의 기초 그리고 육식을 하는 벌 종류 중에는 여름철에 자기 몸보다 더 큰 애벌레를 들고는, 알낳을 땅굴까지 저공비행하는 녀석들도 있습니다. 여름에 시골에서 곤충채집할 때 잘 하면 관찰할 수 있는 장면입니다.그런 관계로, 이 연구에서 연구자들이 유도해 낸 행위의 기본은 벌의 유전자에 각인돼 있기는 할 것입니다. (연구자들도 맨땅에 헤딩할 수는 없으니 그 특성을 이용하려고 호박벌을 골랐겠죠)하지만, 아직 유전자 프로그래밍으로 벌같은 고등 생물의 행위를 원..
드론 야간비행·가시권 밖 비행 단계적으로 허용한다 [중앙일보] 입력 2016.09.01 드론 야간비행 허용조종자 가시권 밖 비행(약 1km 이상),150m 이상 고고도 비행 이미 시행 중이고 단계적으로 완화. 국토부는 이후에 이것 저것 드론 활용 용도를 생각하는 모양. 하천측량, 항공사진 촬영 및 단속 등.출처: 국내·외 드론 산업 현황 및 활성화 방안 - 윤광준/ 2016.4
Cozmo라는 물건인데, 요즘 이 비슷한 거 국내외에 좀 나오지 않았나요?몇 가지 자율행동을 하면서 애교를 부리는 로봇.. 저건 확실히 아이들용같고박스에서 꺼낸 저대로는 별로 사고 싶은 모양도 기능도 아니지만요..애완용, 정서순화용, 자기관리용 AI 로봇은 확실히 수요가 생기고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소니 아이보처럼 비싼 거는 말고, 개와 고양이의 행동 100~200가지 정도를 상황에 마춰 할 줄 아는 로봇이라면.. :) 아이보가 나왔을 때와 비교하면 하드웨어는 물론이고, 음성인식, 음성출력, 문자인식, 영상분석, 인공지능 엔진까지 모든 게 차원이 다르게 좋아졌지 않습니까.번뇌! 번뇌! 이런 건 말고요. ㅎㅎ 출처 링크 월리장난감, BB8 장난감보다 나은 점은, 기본으로 탑재된 재롱부리기 프로그래밍이 ..
드론(무인 비행로봇)관련 몇 가지 기사. 출처는 한국경제신문, 그리고 중앙일보입니다.기사 내용 및 소감. 드론산업 규제하더니…이럴 줄 알았다2016-08-16 정부·기업 손놓고 있는 사이…한국에 드론 비행장 세운 중국 DJI용인에 국내 첫 실내비행장…"한국은 최적의 테스트베드"국내 첫 실내 드론 비행장1395㎡ (약 400평)면적, 최고 높이는 12미터. 드론 비행기록장비와 가상현실(VR) 기기, 대형 모니터,. 서킷과 정비실 등 첨단 시설“한국은 드론과 관련한 새로운 시도를 할 최적의 시험장”DJI 매출은 2011년 420만달러, 2012년 2600만달러(약 285억원)에서 지난해 10억달러(약 1조1000억원)로중국 DJI 10년새 매출 1조원 됐는데…한국 드론, 시험비행도 제대로 못해2016-08-..
Recent Posts
(... 더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