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공공기관
도구
- 스마트폰,태블릿 화면크기비교
- 양쪽 윈도우키를 한영한자키로(AutoHotKey)
- 매크로: Robotask Lite
- 파일이름변경: ReNamer Lite
- 파일압축: 반디집
- 공공서식 한글(HWP편집가능, 개인비영리)
- 오피스: 리브레오피스(LibreOffice)
- 텍스트뷰어: 이지뷰어
- PDF: FoxIt리더, ezPDF에디터
- 수학풀이: 울프램 알파 ( WolframAlpha )
- 수치해석: 셈툴, MathFreeOn
- 계산기: Microsoft Mathematics 4.0
- 동영상: 팟플레이어
- 영상음악파일변환: 샤나인코더
- 이미지: 포토웍스
- 이미지: FastStone Photo Resizer
- 화면갈무리: 픽픽
- 이미지 편집: Paint.NET, Krita
- 이미지 뷰어: 꿀뷰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검색
- KS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해외시장뉴스
- 엔팩스(인터넷팩스발송)
- 구글 드라이브(문서도구)
- MS 원드라이브(SkyDrive)
- 네이버 N드라이브
- Box.com (舊 Box.net)
- Dropbox
- 구글 달력
- 모니터/모바일 픽셀 피치 계산
- Intel CPU, 칩셋 정보
- MS윈도우 기본 단축키
- 램디스크
- 초고해상도 관련
- 게임중독
- 표준시각
- 전기요금표/ 한전 사이버지점
- HWP/한컴오피스 뷰어
- 인터넷 속도측정(한국정보화진흥원)
- IT 용어사전
- 우편번호찾기
- 도로명주소 안내, 변환
- TED 강연(네이버, 한글)
- 플라톤아카데미TV
- 세바시
- 명견만리플러스
- 동아사이언스(과학동아)
- 과학동아 라이브러리
- 사이언스타임즈
- 과학잡지 표지 설명기사
- 칸아카데미
- KOCW (한국 오픈 코스웨어) 공개강의
- 네이버 SW 자료실
- 네이버 SW자료실, 기업용 Free
- 계산기
공공데이터베이스
목록
PC Geek's
당연하다면 당연한 것인데.. 그래서, 요즘 구글이 요구하는, 한국내 거주자의 싱가포르 세금정보 입력도 둘 다 따로 해주어야 한다네요. 여기저기 읽어보니, 만약 한국에 산다고 서류를 제출하지 않고 방치하면, 지급처리가 안 되거나 싱가폴법에 따라 세금을 원천징수하고 줄 것 같은데.. 납세자 거주지 정보와 미국 외 국가 원천징수 및 신고https://support.google.com/product-documentation/answer/13401799 관련 경험담, 블로그 링크 조금. 그냥 구글검색하면 첫화면에 뜨는 것입니다. https://gridarim.tistory.com/236 [애드센스] 싱가포르 세금 정보 제출 방법ㅣ거주자 증명서 발급 방법⊙ 목차 - (국세청 홈택스) 거주자 증명서 신청하는 방법 ..

안드로이드 13 2023년 8월 31일부터 신규 앱은 안드로이드 13(API 33) 이상을 타게팅해야. https://support.google.com/googleplay/android-developer/answer/11926878?hl=ko Google Play 앱의 대상 API 수준 요구사항 - Play Console 고객센터 도움이 되었나요?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을까요? 예아니요 support.google.com

베어로보틱스는 서빙로봇을 개발생산하는 회사입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00495 서울대 출신 男, 구글 그만두고 순두부가게 차리더니…'반전' “기업가정신은 세상의 많은 문제를 가장 잘 해결할 수 있는 수단입니다.” 글로벌 로봇 시장을 휩쓸고 있는 베어로보틱스의 하정우 대표(사진)가 지난 6일 서울 성수동 한국지사 사무실에서 한 n.news.naver.com “평범한 직장인이나 공무원, 자영업자 등 인생을 사는 데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이 세상의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건 기업가정신뿐” “문제를 자각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게 기업가정신” “과거와 달리 지금은 통찰력과 아이디어, 기술만 있으면 주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시..
갑작스런 부고네요.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2/03/01/ALPKOKBGGJAXDMILNSQE5SDHUE/ 넥슨 창업주 김정주 NXC 이사 미국서 별세(종합) 넥슨 창업주 김정주 NXC 이사 미국서 별세종합 biz.chosun.com 넥슨, 바람의 나라, 부분유료화. 제가 재미있게 한 마비노기도 여기 게임인데요. 위 조선일보 링크에 故김정주씨에 관한 연재가 2가지 있습니다. 하나는 "[게임황제 김정주 별세]"라는 제목으로 오늘 나온 특집입니다. [게임황제 김정주 별세] 게임왕국 꿈꾸던 1세대 창업자 별이 되다 [게임황제 김정주 별세] ‘컴퓨터’로 맺어진 인연… 카이스트 룸메이트였던 네이버 이해진 [게임황제 김정주 별세] 박사 반년만..

요즘 그래도 전화번호는 좀 신경쓰더군요. 적어도 받는 대로 자리수를 나눠주는 기능을 넣어주는 데도 있고. 그 단단한 머리통이 아니라, 전화기 전화앱, 연락처관리앱을 보고 배웠겠지만. 얼마나 코딩실력이 없고 얼마나 이용자를 무시하길래 이렇게까지 인간공학을 무시하는지. 자기들 업무용으로는 잘 나누거든요? 택배송장이나 통장에 계좌번호인쇄한 것 보세요. 택배기사나 은행원이 읽어야 하는 문서는 4자리, 5자리, 6자리씩 잘만 끊어놨죠. 하지만 고객이 보는 화면, 고객이 입력하는 화면은 제멋대로입니다. 간단하게 자바스크립트만 넣어도 충분한데! 아마, 외국에서 그걸 넣은 오픈소스 라이브러리가 나와서 너도 나도 베껴쓰기 전까지는 안 바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는 우리나라가 IT선진국이란 헛소리는 안 믿습니다. 잘 베..
몇 년 전 이야기니까 인터넷에서 짤방으로 돈 지도 꽤 됐을 글이네요.http://blog.naver.com/tempest_15/220079515233"인어아가씨"라는 게임입니다. 생각나서 검색해 보니 링크가 아직 있네요.
구매부터 플레이까지 온라인화된 요즘 게임은 싱글플레이 게임의 DLC(다운로드 컨텐츠)든, MMO게임의 캐시아이템이든 유료 아이템을 팔고 그래야 게임 회사가 운영을 한다. 어디처럼 메이저 업데이트할 때마다 패키지값을 새로 받는 식으로 하는 데도 있고, 업뎃 패키지값을 새로 받으면서 월계정비를 받는 곳도 있었다. 하지만 게이머에게 아예 돈받지 않고 게임을 서비스하는 게임회사는 없다. 뭘로 먹고 사나? 정부돈이라도 받는 게 아닌데 말이다. 게임 자체든 파생상품(미디어믹스)이든 아니면 포탈의 무료 웹툰마냥 퍼블리셔가 짜낸 다른 수익모델이든 무엇이든 간에 돈을 벌지 못하면 온라인 게임을 서비스하지 못한다. 게임 안에 PPL이나 배너 광고를 넣는 방식은 실패했다. 요즘은 가상화폐 채굴이나 그리드 컴퓨팅을 대신 굴리..
개발하는 사람, 사쓰는 사람,만드는 사람,다 좋아해야 명품이 아닐까요. 이동통신사를 통해 유통하는 우리 나라 사정상 파는 사람까지는 제조업체가 신경쓸 일이 아니지만. "LG V20 개발하던 연구원 2명이 갑자기 사망했습니다"인사이트 정은혜 기자 · 09/15/2016 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news&wr_id=2236463댓글에는 개발부서인 지는 알 수 없고 같은 사업부 직원이라는 얘기도 있네요. LG제품을 잘 쓰고 있습니다만,개발자 몸값 비싸지 않아요? 인재를 영입하기 힘들지 않아요?이사진에게 그런 질문을 하고 싶네요.
그런 목적이 아니라도, 이 쪽으로 머리쓰기 좋아하는 사람들의 도전과제집 정도로도 가치가 있어 보임. 알게 된 곳https://www.clien.net/service/board/useful/9146449(댓글 참고) 사이트https://careercup.com
디스이즈게임 사이트를 뒤적이다 본 기사 하나입니다. 넥슨이 가진 게임(게임회사) 운영 노하우 중 하나.배로 배로 커지며 인수합병을 시도하는 중국 게임사와 비교해, 우리 게임사가 가진 강력한 노하우라면 이젠 저거같군요. 그 우위를 값싸게 버리지 말고 앞으로도 계속 지켜가기를 바랍니다. [NDC 16] 로그 조회가 불가능하다? 넥슨의 중국게임 운영툴 연동기2016.4.28
1.정부의 웹보드 게임 규제와 인터넷 불법도박 번성은 관계가 있을까? 요 몇 년 불법도박사이트로 몇 십 억, 몇 백 억을 벌었네. 마늘밭에 묻었네, 벤틀리타고 도로에서 망나니짓을 했네, 내분으로, 경쟁업자끼리 쌈붙어서 적발돼 싹 잡혔네, PC방 관리업체를 인수해 해킹프로그램을 집어넣어 전국의 PC방에 깔았네.. 시끄럽다. 그런데, 혹시 이거, 정부의 웹보드 게임 규제의 풍선효과로 불법사이트가 커진 건가 하는 궁금증이 생겼음. 이거 상관관계를 연구한 자료가 어디 없을까? 드래곤네스트 개발사 사장의 인터뷰 기사를 읽다가 해본 생각이다. 주로 다른 내용이고 이 얘기는 NHN엔터테인먼트가 당시 웹보드 규제로 매출이 폭 떨어진 적이 있었다는 말 뿐이다. 2.기사는 기사대로 재미있으니 요약해둔다.[창업의달인] ②이..
호주의 크레이그 스티븐 라이트라는 사람이라네요. 그런데, 호주 경찰은 무슨 불법 혐의를 잡았길래 라이트의 집을 압수 수색했을까요?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5/02/0200000000AKR20160502145400009.HTML?input=1195m
그리고 그래야 하는 것. 개똥코멘트. 모든 전문가는 비전문가와 같이 일함.그리고 비전문가의 두뇌 세계는 전문가 머릿속과는 갠지스강변과 에베레스트 정상만큼 떨어져 있음. 불합리한 요구 속에 고객이 진짜 바라는 것은?회의가 필요한 이유.
자주 주당 100시간 넘게 과로.회사가 프로젝트 기간을 절반(일 년에서 반 년)으로 단축하면서 인력(10명)은 전혀 증원하지 않았고, 초과근로수당도 제대로 지급하지 않음.2년간 이런 근무를 하다 결핵성 폐농양에 걸려 폐절제. 회사는 해당 근로자 입원 중에 해고 통보.근로자는 회사와 정부를 상대로 서울행정법원에 "업무 스트레스와 발병의 인과관계를 인정해달라"며 소송 제기.서울행정법원은 근로자의 주장을 인정. 빌 게이츠? 현실은 막노동…SW 프로그래머 '산재' 인정 - JTBC 링크 하나 IT업계 노동자의 근무시간은 주당 평균 57시간이 넘고, 휴일근무수당을 못 받는 경우가 76%하청과 재하청 악습으로 프로그래머 인건비는 말도 안 되게 깎이고 프로젝트 비용은 중개 회사가 따먹는 악습도 여전. 초급SW기술자 ..
디스이즈게임 카드뉴스 링크.http://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11/?n=60870 저같은 평범한 사람은 우선 그 정도 부자가 돼서 '그런 외로움'을 느껴보고 싶지만요, :)그래도 솔직하게 고백한 저런 글(정말이라면요)을 읽는 것도 때론 할 만 하겠죠.사람이 동물보다 나은 것 중 하나가 그거니까. 그건 그렇고, 저 사람은 얼마나 실력을 키우고 했길래 그런 프로그램을 만들었을까요.마인크래프트란 게임은.. 소개와 영상은 많이 봤는데 아기자기하긴 한데 문명보다 하고싶어보이진 않았습니다. 그래픽화된 네트핵이나 무한필드 무한블럭화한 온라인 레고같은 인상이었습니다. 그런데 무척 인기가 있었던 모양이고, 마이크로소프트에서 홀로렌즈 데모로 유튜브에 올리면서 아주 대단한 반..
디스이즈게임http://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11/?n=60929 독일 개발자가 게임을 만들었음. 일단 안드로이드쪽으로는 무료게임이었다 함.반응이 그렇게 핫하지 않아 고민했음한국에 놀러(?) 왔는데 용산의 어느 술집에서 어느 한국인에게 게임을 소개함.한국인이 게임 제목을 바꿔보라고 했음. 한국인 센스가 들어간 걸로.한국 플레이스토어에는 그 이름으로 올렸음. 제목이 한국인 눈에 확 띔. 다운로드수 폭증하고 다운로드 순위 올라감.그 뒤에 어떻게 도움이 되었을 지는 모르나, 일단 일이 재미있게 됐고 좋은 일은 좋은 일이라 저렇게 소개됨. 한국도 세계 안에 있음. ^^
종사자 평균 나이는 다른 나라들보다 몇 살 더 많음.글로벌 모바일 광고 플랫폼 인모비(InMobi)의 설문조사 결과인데, 천 명 이상(한국에서는 백 명 이상)을 대상으로 했다고 함.http://resources.inmobi.com/devreportkorea여성개발자가 6%정도에 그쳤고 한국과 세계평균은 비슷. 북미가 11%로 가장 높음. 기사 링크 - 이데일리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news&wr_id=2103730 동기부여: 수익추구 가능, 창의성을 발휘할 자유, 개발의 즐거움 국내 개발자들은- 10명 중 7명은 모바일 광고를 수익창출 수단으로 활용. 유료 앱으로 번다는 답변은 15%- 가장 인기있는 언어는 자바. 10명 중 4명은 HTML5..
일본 매체가 취재했다고 합니다. Galaxy Active neo SC-01H 개발자 인터뷰 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news&wr_id=2073398 - 사양별 라인업이 아니라, 타겟 수요층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전화기 사양 - 아웃도어, 밀스펙 고내구형, 미들레인지, 배터리분리형- 캡리스 USB단자지만 바닷물이 접촉해도 견디는 설계- 레저용같지만 의외로 전화기를 거칠게 다루는 아이용으로도?
게임 개발자에 관한 몇 가지 기사를 모아본 것입니다.대충 소감을 끼워넣은 것이 많으니 진짜 내용은 원문을 읽어보세요. [게임테크2014] 신입 게임 개발자들이여, 자만하지 말고 공부하라! - 인벤, 양영석 2014.4 - NHN NEXT의 박민근 교수 강연- "게임회사도 어디까지나 회사"-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지만, 성공은 성적 순이다." (실력을 인정받아야 산다)- 프로그래밍은 개발자로서 배워야 할 것중 하나일 뿐- "'익숙해지는 (그래서 능숙하게 때우는 것)것'과 '공부(해서 누구 앞에서도 당당할 만큼 잘)하는 것'은 다르다"- "자신이 담당한 파트만 보는 '작은 그림'을 보지 말고, 완성된 게임이라는 '큰 그림'을 그려 보라"- "회사는 학원이 아닙니다. 돈 주면서 가르쳐주는건 절대 아니죠. 스스..
신문기사를 읽고 적어보는 잡담, 메모. 1. 인력이탈이 게임산업 경쟁력 저하일까, 게임산업이 예전같지 않으면서 인력이탈하는 걸까.내재돼있던 개발자 대우가 나쁜 문제가 산업이 예전같은 확장기가 아니면서, 중국업체의 유혹이 계속되면서 드러난 것일까. 제조업 기술자도 그랬지만 게임기술자도, 어차피 빨리러 중국가는 거 알고, 거기서 오래 버티는 사람 적다는 거 다 알지만 어쩔 수 없이 갈 겁니다. 한중 경제가 점점 가까워진다는 건 한국 개발자가 중국에 취직하는 일도 많아진다는 얘기죠. 상품시장만이 아니라 노동시장도. 중국 저임금노동자만 한국에 오란 법 있나요. 이하 기사를 읽으며 편하게 적어갑니다. 게임 개발자 평균 근속 4년 못채워..개발자 중국 유출 본격화 파이낸셜뉴스 | 2015.08.17. - 제조업 근..
못하는 거 없고, 싸게 하고, 납기 연장하고http://emptydream.net/3774 그런데, 문득 든 신문기사 하나.건설업체들이 납기연장, 설계변경을 하는 이유라고 든 것하고 비슷..갑중의 갑은 공무원. MMS수신요금https://emptydream.tistory.com/3347 2019년 7월 기준. 여전히 운영 중입니다.웹툰쪽은 2016년말로 종료되어 그 뒤로는 몇 건 없지만, 전체적으로 2500건이 넘는 콘텐츠가 쌓여 공개돼 있습니다.
요즘 일본 소프트뱅크에서 거액의 투자를 유치해서 새삼 주목받은 소셜커머스 사이트 쿠팡 기사입니다.쿠팡을 '개발자 천국'으로 불리우게 하는 것ZDNET 임유경 기자2014.01.02 짧게 인용, 정리합니다. 모르는 분야이므로 자세한 내용은 기사를 보세요. - 개발자로 하여금 해야 할 일을 스스로 정하고 개발에만 집중 할 수 있게 하는 조직문화- "장기 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우고 계획을 잘 이행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워터폴’이라 불리는 기존 소프트웨어 공학 모델이었다면 애자일은 계획을 짧은 단위로 자주 세우고 시장의 변화와 시행착오에 유연하게 대응해 보자는 대안적 방법론" 쿠팡은 애자일. 그 외 짧은 이야기.삼성페이가 암초에 부딪혔다는 이야기.미국 금융기관들이 수수료를 안 받겠다는 삼성전자에 비협조적이라는 얘..
링크만 해둡니다. [ 글 하나 ][ 글 둘 ] [ 글 셋 ] 이걸 메모하다 생각난, 상관없는 여담. 90년대말에, 리눅스용으로는 아라크네라는 웹브라우저가 있던 시절에,윈도우용 무료 웹에디터로 아라크노필리아(거미사랑?)라는 프로그램이 있었습니다.기능이 꽤 괜찮았는지 프로용으로 잘 쓰는 사람도 봤는데요,그거 라이센스가 독특했습니다.제작자가 은퇴한 개발자로, 제품 정보창을 보면 수염난 할아버지(수염나서 늙었다 느꼈을 지도)였는데자기가 좋은 세상에 가기를 빌어달라는 조건이었을 겁니다. ^^문득 그런 여유가 생각났습니다.
잊을 만 하면 어디서 보게 되는 그 이야기입니다.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ps/93/read?articleId=1337207&bbsId=G003&itemGroupId=40http://www.inside-games.jp/article/2014/03/11/75072.html 일이라서 만드는 게 아니라, 그리고 자기가 사장이나 팀장이라서 목숨건 게 아니라,일선 개발자로서 이렇게까지 하는 애착이 앞으로도 기억해두고 싶은 이야기. 인터넷 게시판에서 몇 번 본 글인데, 또 눈에 띄길레 기록해둡니다. ^^
이미지 사이트에서 영리목적으로 사진을 구입한 뒤에 그걸 가공해 큰 매출을 올리더라도, 구매계약이 따로 정하지 않는다면,그러니까, 기본계약 얼마에 성공하면 얼마 더 주는 식으로 계약이 바뀌지 않는다면,사진작가나 중개사이트에 추가로 돈을 줄 이유는 없겠죠? 그런 관점에서 일단 이해해야 하지 않나 싶은데.. 어떨까요.알게 된 곳의 댓글에도 직무발명과 같이 본 얘기가 있고. 카톡·싸이 캐릭터 만든 '호조', "떼돈 벌었냐고요?" [겜엔스토리]캐릭터 디자인계의 '미다스의 손' 권순호 아티스트 머니투데이 홍재의 기자 |입력 : 2014.08.30 저 기사의 머릿글이 눈에 띄어서 검색한 목로, 머니투데이 [겜엔스토리 기사목록]을 링크합니다. 게임과 앱 개발과 연결되는 이야기가몇 가지 보이네요. 시나리오가 치밀하면 망..
딱히 요약할 게 없네요. 읽어보세요. http://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news&wr_id=1845532
페이스북에서 어떤 실험을 했다고 떠들썩하네요. 법적 요건은 모르겠지만, 글과 댓글을 읽어보면, 어쨌든 유의미한 통계처리가 될 만한 규모로 실험한 후 데이터를 익명화해 연구하고 학회에 발표했다는 모양입니다. 페이스북, 사용자 70만명 모르게 감정 조작 실험 월스트릿 저널 By Reed Albergotti - 뉴스피드에서 긍정적 또는 부정적 감정과 연관되는 단어가 포함된 콘텐츠가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알고리즘을 조정-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바꾸면 긍정적 또는 부정적 콘텐츠가 올라오는지 알아보기 위한 실험- 뉴스피드에서 긍정적인 콘텐츠를 줄이면, 사용자들의 ‘상태 업데이트’에 포함된 단어 가운데 부정적인 단어 비중이 높아지고 긍정적인 단어 비중이 낮아졌다. and vice versa. 어떻게 보면, "즐거운 뉴..
바운스볼(bouncy ball)이라는 앱을 만들어 인기를 끌었고 구글 광고를 넣어 이익도 낸 모바일 개발자 소개 기사입니다. [핫피플] 박용옥 "1000만 환호 '바운스볼' 한국 플래피래요" 한국경제신문 2014-03-01 요약과 소감. - 쉬운 조작. 하지만 단순한 방식에 비해서는 난이도가 있는 게임 - 작은 용량- 여러 게임을 올려 그 중 하나가 성공- 유저맵을 공유하는 기능이 있음. 게임이 언제나 새롭고, 이용자들은 게임을 전파하고 공유할 의욕을 느끼며, 개발자는 업뎃과 컨텐츠 제공부담을 던다. - 세계는 하나가 아니다. 글로컬리제이션! 특정 국가, 문화권에서 인기를 끄는 앱도 있다.- 다양한 문화권, 여러 나라 사람들의 피드백을 구별해 듣고 참고하라- 단칸방에서 혼자 개발을 하더라도 항상 각오를 ..
경제신문에 올라온 소프트웨어 회사 이야기입니다.일상생활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모바일과 웹을 겸해 서비스하는 사업을 만들어 순조롭게 시작했다는 이야기. 어린이집과 학부모를 연결해주는 알림장 형식에서 출발했지만어린이집과 어린이집 교사, 학부모와 학생이 모두 연결되는 것으로 B2B, B2C 성격이 모두 있다고 합니다. http://www.hankyung.com/board/view.php?id=jaetech_point&no=8151&ch=ft
올 연초에 한국경제신문에 올라온 기사입니다.드롭박스가 뭔지야 조금만 찾아봐도 알게 되지만드루 휴스턴이란 사람에 대해서는 좀 달라서, 메모합니다.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2012617861&type=201&nid=201&sid=01040201&page=1<ype=5 이 사람이 어떤 어린 시절을 보냈고,어디서 무엇을 공부했고 어디서 일했으며,어떻게 드롭박스를 만들게 됐고 지금까지 오게 됐는지 나옵니다. 저 분량이 적은 것 같지만, 신문 1면을 채웠죠.
Viewed Posts
|
Recent Comments
|
Recent Pos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