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드론 산업, 군용 드론 국산화 필요성에 관한 기사 조금 본문


기술과 유행/우주항공,군사

드론 산업, 군용 드론 국산화 필요성에 관한 기사 조금


반응형

DJI의 역사와 드론산업 역사를 정리한 기사가 있었는데.. 안 보이네요. 나중에 덧붙여놓겠습니다.

두 번째 기사는, 지난달 나온 포브스 기사와 연결되는 내용입니다.

 

먼저 10년 전인 2015년 포브스코리아 기사

https://www.forbes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7059

 

글로벌 기업의 전쟁터 된 드론 - 포브스코리아(Forbes Korea)

지난 3월 4일, 강원도 정선에서 큰 산불이 발생했다. 헬기 17대에 진화인력이 600명이나 투입됐다. 낮에는 대규모의 인원과 장비를 투입해 산불의 확산을 막았지

www.forbeskorea.co.kr

(......) 1982년 이스라엘과 레바논 전쟁에서 ‘스카우트’라는 이름의 드론이 적극 활용된 것을 계기로 군사용 드론 시장이 확대되기 시작 (......) 정지훈 경희사이버대학교 교수는 <드론의 발전역사와 향후 시장 전망>이라는 리포트에서 “최근 중국 군수업체의 도전이 뜨겁다”고 밝혔다. 정 교수가 거론한 중국 군수업체는 AVIC (......)

드론의 대중화는 상업용 드론과 놀이용 드론이 이끌었다. 세계적으로는 중국의 DJI, 미국의 3D 로봇틱스, 프랑스의 패럿이 주도하고 있다. 드론 시장 규모도 매년 큰 폭으로 성장 (......) 드론 업계의 선두 주자는 2006년 프랭크 왕이 설립한 DJI다. 2013년 1월 소형카메라를 부착해 촬영할 수 있는 드론 팬텀(Phantom)이 큰 인기를 얻으면서 세계 드론 시장의 70%를 점유하고 있다. 2014년 DJI 매출액은 5억 달러(약 5000억원) 정도로 추산되는데, 2015년에는 2배 이상 성장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2011년 DJI의 매출액은 420만 달러에 불과했다. 프랭크 왕은 드론 하나로 DJI의 기업가치를 100억 달러 이상으로 끌어올렸다. (......)

출처 : 포브스코리아(Forbes Korea)(https://www.forbeskorea.co.kr) 

 

 

 

 

전 세계 드론 주무르는 '中 소부장 위력'…부산 드론쇼서 목격 [Focus 인사이드]
중앙일보 2025.03.09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425502?sid=100

 

전 세계 드론 주무르는 '中 소부장 위력'…부산 드론쇼서 목격 [Focus 인사이드]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드론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세계 여러 나라에서 새로운 드론과 드론 운용 정책 등이 발표되고 있다. 북한도 2022년 12월 수도권 상공에 무인기를 보낸 데 이어, 2024년 8월 러

n.news.naver.com

(......) 육군 드론봇 전투단과 합참 소속 드론사령부 등 군에는 이미 드론을 운용하는 전력이 있다. 그러나, 이들이 운용하는 드론에 중국제 부품이 쓰이고 있다면 (......) 군이 전시한 드론 가운데 하나의 모터를 집어 제작사를 살펴봤다. 해당 드론에 달린 모터는 T-모터라는 중국 업체가 생산한 것이었다. T-모터는 드론 제작사인 DJI와 함께 세계 드론 산업계에서 강력한 지위를 가진 업체다. 그래서 우리 드론 업체들도 사용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할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이 안보 문제와 연결된다면 (......) DSK 2025는 국내 업체들 외 핀란드·폴란드·체코 등 다양한 외국 업체들이 참여했지만, 해외 업체의 태반은 중국 업체들이었다. 30여 곳이 넘게 참가한 중국 업체들은 DJI 같은 완성품 업체 외 프로펠러·배터리·엔진 등 드론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소부장 업체들 (......) 전세계가 다 이렇고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닌 것 (......) 그러나, 공급망을 장악한 외국 국가에 의해 경제는 물론이고 안보까지 흔들리는 사례는 최근에 많이 알려져 있는데, 드론 분야도 예외일 수가 없다. (......) 중국 정부는 미국 드론 업체 스카이디오에 대한 배터리 수출 규제를 발표했다. 스카이디오가 대만 소방청에 수출한 드론에 중국산 배터리를 사용했다는 이유였다. 중국 당국은 드론용 배터리를 만드는 일본 TDK의 자회사 둥관 파워앰프 등 자국 내 스카이디오 납품업체를 방문해 관계를 끊으라고 강요 (.....) 군사용 드론을 위해서도 소부장 국산화는 필수적이다. 군에서 사용하는 드론 그 가운데 자폭 드론은 기본 화기처럼 쓰일 것이다. 그만큼 초반에 많은 양이 사용될 것이기 때문에 사전 비축이 필요하며, 중점 관리 대상 업체를 선정해서 전시 생산에 대비해야 한다. 드론을 수출 산업으로 키우기 위해서도 소부장 국산화가 필요하다. (......) - 중앙일보

 

 

 

반응형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more

Viewed Pos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