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미니피 소비전력측정기 본문


저전력, 전기요금/전기요금, 발전소

미니피 소비전력측정기


반응형

이런 종류 기계가 2010~2014년 사이에 여러 가지가 있었던 모양인데, 옛날 사용기에 검색되던 제품 중 단종된 게 많음. 전기요금체계가 개편되면서 단종된 건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 단순히 대기전력을 보는 건 스마트플러그도 할 수 있어설까? (스마트플러그의 단점은 개인화돼있는 것이다. 보통, 스마트플러그에는 화면이 달려 있지 않고, 플러그 한 개에 동작 명령하고 조회할 수 있는 사람이 4-5명으로 정해진 서비스도 있다. 그리고 애초에 앱과 컴퓨터와 친하지 않으면 못 쓴다. 이게 혼자 보고 쓰는 데 보통 상관없지만 때때로 불편하게 만든다)

2만원대 후반에 팔렸다는데, 어쨌든 지금은 단종된 제품.

동작하는 모습: https://www.youtube.com/watch?v=7YelM1Bg-is

정부 사이트에까지 인용됐는데 큰 글자에 오타가 있다. 그리고 비문까진 아니지만 매끄럽지 않은 문장도.


제품 디자인은 깔끔하다. 버튼없이 어떻게 쓰지? 몇 초마다 바뀌나? 맨 위에 링크한 동영상을 보니,  현재 소비전력(누적전력량은 표시하지 않는다), 전기요금,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3초마다 넘어간다. 단종된 제품이고 구글 검색으론 파는 곳도 안 나오니 마음놓고 적어 보면, 1) 버튼이 하나도 없는데 전기요금 kWh당 몇 원으로 한 거야? 2) 이산화탄소발생량보다는 전력량(kWh)표시를 해주는 게 나았을 텐데.. 이산화탄소발생량을 표시하려면 누적전력량을 내부적으로 계산하고 있어야 하지 않나? 싼 물건도 아니면서 2012년을 전후해 나온 경쟁품보다 기능적으로 부족하다.


2012년 정책공감 블로그: http://blog.daum.net/hellopolicy/6982296

소비전력, 전력량이 표시된다고. 그 밖에 기능이 더 있는데, 설정기능은 없는 것 같다. 기능은 줄지만 이런 도구는 아무나 사용할 수 있도록 가능하면 설정이니 세팅이니하는 게 필요없는 편이 바람직하기는 하다.


※ 비슷한 걸 요즘 구하겠다면, 국산 중에는 서준전기것이 있다. 이것은 구입해 본 물건은 아니지만 어차피 요즘 국산으로 내가 찾을 수 있었던 후보는 이것밖에 없는 데다, 몇 년 동안 누적된 사용기를 검색해 보니 기본 기능은 확실하게 해주는 모양이다. (요즘 IoT스위치 제품으로 나오는 스마트플러그류는 실시간 변동을 보기가 어렵고, 전력과 전력량까지는 보여주더라도 전압 전류값을 보여주지 않는 제품이 대부분이라서 용도가 조금 다르다)

반응형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more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