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중국여행 자제하세요. 치쿤구니야 열병 번지는 중 본문


건강, 생활보조, 동물

중국여행 자제하세요. 치쿤구니야 열병 번지는 중


반응형

ㅡ 중국 토종질병은 아니고 아프리카, 중남미, 남아시아 등에서 중국에 들어온 듯.
ㅡ 모기(원래는 이집트숲모기와 흰줄숯모기[각주:1])가 사람을 물어 매개.
ㅡ 치사율 1% 인 열병이지만 노인과 어린이는 더 높아.
ㅡ 백신없고 치료제없어, 일단 걸리면 대증요법을 하며 몸이 이기기를 기다려야.

 

7월 말 기사

https://naver.me/GYGAF3QS

 

美 "중국 여행경보 발령 예정"…'치쿤구니야 열병' 뭐길래

미국이 중국에 대한 여행 경보를 발령할 예정이다. 뎅기열·지카 바이러스 질병과 유사한 치쿤구니야 열병이 확산하면서다. 30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모기

n.news.naver.com


KBS 뉴스
https://naver.me/5QiFKVEj

 

[영상] “망치로 맞은 듯”…중국서 모기 ‘치쿤구니야 열병’ 비상

최근 중국 남부에 때아닌 '열병'이 돌고 있습니다. 7월 26일을 기준으로 광둥성에서만 4,824명이 확진 판정을 받은 이 열병, 모기를 매개로 번지는 '치쿤구니아 열병'입니다. 치쿤구니아 바이러스

n.news.naver.com

ㅡ 치쿤구니아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가 사람을 물면 발병
ㅡ 과거 주로 아프리카와 아시아, 중남미 일대에서 이집트숲모기와 흰줄숲모기를 매개로 발생


ㅡ 주 증상은 39~40도의 발열과 심각한 관절통, 발진
ㅡ 심할 경우 뇌수막염과 심근염 등 중증 합병증


ㅡ 세계보건기구(WHO): "치쿤구니아 특화 항바이러스제가 없다",  백신도 없다.

중국 포산시의 한 확진자는 "관절을 망치로 맞은 것 같다"며 극심한 통증을 호소

 

https://naver.me/IxKIwNse

세계보건기구(WHO)는 22일 “이번 확산세가 인도양 섬 지역에서 시작해 전 세계적으로 확산돼 약 50만 명이 감염됐던 2004∼2005년 때와 비슷하다”고 경고

 

중국에서는 무역선을 통해 남아시아에서 들어온 게 아니냐고 한다는데.. 남중국은 국경이 붙어있으니 다른 경로가 있을지도 모르죠.

중국에 번지기 시작했으니 우리나라도 중국쪽에서 넘어오지 않도록 신경써야겠군요.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50731/132105986/1

 

中, 모기 ‘치쿤구니야 열병’ 광둥성서만 5000명…치료제도 없어

미국 보건당국이 최근 중국 남부 광둥성에서 확산되고 있는 모기 《◆매개 감염병인 ‘치쿤구니야’ 열병 확산을 이유로》 중국에 대한 여행경보 발령을 검토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 등이 31

www.donga.com

 

블룸버그에 따르면 현재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치쿤구니야 열병의 규모와 범위에 대한 평가 작업을 진행 중이다. CDC는 특정 질병과 자연재해가 심할 경우 해당 지역 여행에 대한 위험 경보를 내린다. 광둥성 질병통제예방국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지난달 26일까지 광둥성에서만 4824명의 치쿤구니야 열병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 이 가운데 절반이 넘는 2940명이 최근 1주일(지난달 20~26일) 사이에 감염됐다. - 동아일보 2025.7.31.

 

 

서울아산병원 질병정보 - 치쿤구니야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3903

 

서울아산병원

앞선 의술 더 큰 사랑을 실천하는 서울아산병원 입니다

www.amc.seoul.kr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230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ealth.kdca.go.kr

 

 

중국 남부 유행은 주춤, 하지만 대만에서도 환자 발생 2025.8.8.

대만 환자는 7월에 광동성을 방문한 이력 있어.

8월 4일까지 광동성에서만 약 8천 건 확진자 발생, 신규확진자수는 1일 200명 수준으로 감소 중.

https://www.news1.kr/world/northeast-asia/5873445

 

'치료제 없다'…中 8000명 확진 치쿤구니야 열병, 대만에도 유입

中방문 40대 대만 여성 확진…中남부 확산세는 주춤 치사율 1% 미만이나 대규모 유행시 사망자 늘 수 있어 중국 남부를 중심으로 확산한 모기 매개 전염병 치쿤구니야 열병이 중국 방문객을 통해

www.news1.kr

 

  1. 혹시 전투모기? [본문으로]
반응형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more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