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공공기관
도구
- 스마트폰,태블릿 화면크기비교
- 양쪽 윈도우키를 한영한자키로(AutoHotKey)
- 매크로: Robotask Lite
- 파일이름변경: ReNamer Lite
- 파일압축: 반디집
- 공공서식 한글(HWP편집가능, 개인비영리)
- 오피스: 리브레오피스(LibreOffice)
- 텍스트뷰어: 이지뷰어
- PDF: FoxIt리더, ezPDF에디터
- 수학풀이: 울프램 알파 ( WolframAlpha )
- 수치해석: 셈툴, MathFreeOn
- 계산기: Microsoft Mathematics 4.0
- 동영상: 팟플레이어
- 영상음악파일변환: 샤나인코더
- 이미지: 포토웍스
- 이미지: FastStone Photo Resizer
- 화면갈무리: 픽픽
- 이미지 편집: Paint.NET, Krita
- 이미지 뷰어: 꿀뷰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검색
- KS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해외시장뉴스
- 엔팩스(인터넷팩스발송)
- 구글 드라이브(문서도구)
- MS 원드라이브(SkyDrive)
- 네이버 N드라이브
- Box.com (舊 Box.net)
- Dropbox
- 구글 달력
- 모니터/모바일 픽셀 피치 계산
- Intel CPU, 칩셋 정보
- MS윈도우 기본 단축키
- 램디스크
- 초고해상도 관련
- 게임중독
- 표준시각
- 전기요금표/ 한전 사이버지점
- HWP/한컴오피스 뷰어
- 인터넷 속도측정(한국정보화진흥원)
- IT 용어사전
- 우편번호찾기
- 도로명주소 안내, 변환
- TED 강연(네이버, 한글)
- 플라톤아카데미TV
- 세바시
- 명견만리플러스
- 동아사이언스(과학동아)
- 과학동아 라이브러리
- 사이언스타임즈
- 과학잡지 표지 설명기사
- 칸아카데미
- KOCW (한국 오픈 코스웨어) 공개강의
- 네이버 SW 자료실
- 네이버 SW자료실, 기업용 Free
- 계산기
공공데이터베이스
목록
PC Geek's
옛날 브라운관 TV 사용 설명서.보관용입니다. TV를 보기 위해 이 설명서가 필요한 분은 거의 안 계시겠지만, 설명서 자체가 필요한 분은 계실 지 모르겠네요. 원하면 가져가세요. :) 그런데 말이죠, 다시 보고 말인데, 저 TV가 요즘 TV보다 나은 점도 있네요!이어폰잭이 본체 앞에 있습니다! 그리고 요즘 방송사들이 요구했다는, 안테나 내장(?)이군요. ㅎㅎ (저 V자형 실내안테나 써본 분은 아시겠지만 성능은 별로.. 안테나가 아예 안 달린 것보다 낫다 정도지, 요즘 공동주택에 다 있는 공청안테나 아무리 성능나빠도 그걸로 방송 못 잡으면 저걸로도 못 잡습니다.)※ 그런데 요즘 TV는 화면은 크지만 가볍기 때문에, 특히 스탠드형으로 쓴다면 이어폰잭(헤드폰잭)은 없는 게 낫습니다. 헤드폰을 확 당기거나 누가..
디지털 TV는 주요 채널이 편성표, 그러니까 EPG를 지원합니다. 지상파채널은 재전송해도 지원이 됩니다. 다만, 케이블채널은 원래 그런지 케이블 방송사 사정인지 저희 집에서 보는 것은 EPG를 지원하지 않는 게 많습니다(다던가?). 그래서 케이블 방송을 녹화하려면 수동으로 시간을 입력해야 했습니다. 이 때 문제가 생깁니다. 1. 저희 집에 있는 삼성 TV는 수동녹화할 때, 자정을 넘어가면 안 되는 것 같더군요. 직관적으로 해보고 안 돼서 그냥 넘어갔기 떄문에 제가 잘 몰라서일 수도 있습니다만.. 2. EPG가 아니라 그냥 수동녹화한 경우, 녹화물은 녹화달이나 날짜별로 폴더에 저장되지만, 프로그램명은 표시되지 않습니다. 그냥 봐야 압니다. 그래서 녹화물이 쌓이게 되면, 뭐가 뭔지 알 수 없게 됩니다. 그래..
그 기사를 보고 제가 처음 한 생각은, TV로서는 직접 보기 전에는 할 말이 없지만, "대화면 TV를 사서 컴퓨터 모니터로 쓸 때 패널 종류를 참고해야겠다"였습니다. 지금까지는 TV 메뉴에 TV용 화질개선엔진을 적용하지 않고 입력신호를 그대로 보내 주는 PC연결모드가 있는지, 크로마 서브샘플링없이 RGB 정보를 다 보내주는 해상도와 모드가 어떤지만 생각했는데 앞으로는 알아봐야 할 게 하나 더 늘었네요. 펜타일 방식 픽셀 배열은 한 픽셀이 RGB를 다 표시하지 못하니까, 사람들이 UHD TV 초기에 컴퓨터 모니터용으로 쓰려다 좌절한 크로마 서브샘플링(chroma subsampling)문제와 비슷한 효과를 낼 것 같았거든요. HDMI 2.0 TV와 모니터가 많이 늘어난 지금은 그런 이야기는 줄어들었지만. 펜..
삼성전자의 고급라인 스마트TV에 옵션으로 들어간다는 그것인데요,지금도 스마트폰 펌업처럼 보급형 스마트TV도 온라인 업뎃이 됩니다만, 그거 말고 하드웨어가 포함된 기능 업데이트를 말하는 것.대부분의 기능이 업그레이드되지만 워낙 빠르게 발전하는 지라, 애드온보드를 연결하는 정도로 완전 변신은 아니라고.http://www.samsung.com/sec/consumer/accessories/tv-accessories-2/tv-accessories-2/SEK-1000 삼성전자, 매년 업그레이드 'TV 에볼루션 키트' 사업 중단출시 당시 'TV S/W 손쉽게 바꾸는 혁신적 제품' 주목고객 교체 어려워 인건비 부담...."경영평가서 '부정적' 판단 내려"뉴데일리경제 최종희 기자 2015.08.26고급모델을 사도록 하는..
여기 저기서 본 것, 그리고 생각을 정리한 것. 정보는 아닙니다. 48인치 삼성패널을 쓴 국내 마이너 브랜드 TV가 오픈마켓에 30만원대에 나왔습니다. LED고 S-PVA라는 말이 있는데, 48인치지만 대각선 길이는 121.9cm라고 적어놨더군요. 삼성전자의 50인치 TV가 대각선길이 125cm라고 광고하니까, 3.1cm짧은 셈입니다. 하긴 요즘 삼성, LG의 50인치 TV가 8~90만원대에도 가끔 나오나 보더군요. 반값곡선? 가족 조공용으로는 일단 브랜드가 아니고, 리모콘 조작성능이나 채널전환 체감같은 데서 감점이 있을 것 같습니다. 삼성TV사고 정말 감탄한 게 리모콘을 거의 세우다시피해도 버튼을 먹게 적외선 부품 자리를 잡아놨다는다는 것. 가상마우스 기능때문에라도 그래야 했겠지만 참 만족했습니다. 유..
엘지는 HP에서 사들인(?) 웹OS를 만지작거리며 잘 쓰고 있죠, 삼성도 그렇게 할 것은 예상된 일이었습니다. 삼성전자, 모든 스마트TV에 '타이젠' 적용 제휴 통한 콘텐츠 강화에 나서 이재운 기자/ jw.lee@zdnet.co.kr 2015.01.01 잡담. 구글 안드로이드는 너무 제약이 심해요.거의 옛날 맥OS 클론같은 느낌.MS도 방향은 크게 다르지 않고.. 구글의 수익모델이 걸려 있어서 그러는 건 알지만, 그래도..구글 마켓이란 게 크긴 하지만, 요즘 들어 생각이,중국정부가 옳았던 것 같습니다.AOSP를 써서 실력을 키우고, 구글의 플레이스토어말고 다른 마켓을 활성화하기. 걸핏하면 설정화면에 들어가서 체크하고 설치하고..이것도 이젠 짜증이 나네요.구글은 일부러 이걸 불편하게 만든 것 같아요.
몇 년 전, 고장났을 때 6만원에 단말기사가라는 건 나름 정책이었다는 생각이 들 정도. 대전 케이블방송(CMB 대전방송)의 10월 프로모션이라고 홈페이지에 나온 것입니다.서울의 모 지역 케이블과 비교하면, 몇 천원 더 비싸지만, 채널은 많이 주기 때문에제가 필수라고 생각하는 채널을 더하고 나면 비슷할 것 같습니다.문제는 케이블인터넷의 신뢰성 문제인데.. KT만큼 나올까.. 그런데, 채널목록을 보다 궁금해진 게, 일자리방송, 한국직업방송, 국방TV, 복지TV 이런 건 공공채널아닌가요? 프리미엄에 들어있네요. 그 외, 아날로그형은 더 저렴한 상품도 있군요. 모두 3년 약정 기준입니다.
왜 삼성전자는 하이퍼리얼엔진과 3D 하이퍼리얼엔진을 별도 페이지에서 설명하고 있지 않지? 적어도 구글 검색으로는 전혀 나오지 않는다. "하이퍼리얼엔진"을 삼성전자 검색넣어보면 적용 모델을 [검색은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제품의 사양이나 특장점 홍보에는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 예를 들어 삼성 LED TV UN50H5800AF (125cm) 는 하이퍼리얼 엔진 적용 모델로 검색되지만 제품 웹페이지에는 무슨 엔진을 썼는 지 아무 표현이 없다. 화질개선엔진은 개뿔도 아니라는 건가? 한국, 일본의 메이저 브랜드가 중국의 저가 신흥 브랜드를 이기려면 중요하게 홍보할 장점이 그것일 텐데, 일본브랜드들은 잘 하는 것 같은데, 제조사 평가지수 120, 240, 480 표시만으로 된다고 생각한 거야? 좀 덜 떨어진..
TV는 보통 HDMI포트만 있으니 오버스캔, 언더스캔 문제처럼 보일 수도 있는데,"TV가 4:4:4 chroma subsampling 이란 것을 지원하지 않으면 모니터처럼은 안 나온다"고 합니다.이것은 TV 자체의 문제이므로, TV를 구입할 때 그렇게 지원하는 TV를 고르는 것밖에 답이 없다고 하네요. 링크글 댓글에 나온 관련 링크입니다. 출처는 parkoz.com 입니다. http://lite.parkoz.com/zboard/view.php?id=my_tips&no=15268: TV OSD패널과 VGA 제어판 프로그램 설정일단 인풋랙(input lag)이 짧아 모니터로 쓸 만한 보드를 탑재한 TV라야 한다는 거. http://lite.parkoz.com/zboard/view.php?id=vga_free..
이건 뭐, ㅎㅎ 비교가 안 되네요. [ 링크 ] 잡담. 50인치 4K TV가 보여주는 화면은 27인치 1920*1080 해상도 모니터 4개와 비슷할 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24인치 4개와 비슷할 지도 모르지만. 그 환경이 일반적으로 능률적일 지 아니면 특정 용도에만 좋을 지는 잘 모르겠지만요. 크면 모든 용도에 무조건 좋을 것 같았는데 요즘 약간 의문이 들어서.. 해상도는 높을수록 좋지만, 그 해상도를 작은 화면에 넣으면 눈이 아프고, 해상도가 높으면 물리적으로 눈이 좀 힘들달까, 산만하달까.. 4K는 어떨지 기대가 되지만 어쩌면 기대같지 않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40만원 정도에 요즘 올라온 48인치 Full HD LED TV 를 보고 괜히 탐나더군요.)
처음에는 마케팅 사기가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좀 찾아본 내용입니다.결론부터 적자면, 사기랄 것까진 없을 지 몰라도, 제품모델번호가 암시하거나, 가격비교사이트나 판매자가 홍보목적이나 편의목적으로 적어놓은 "인치수 표시를 믿지 말라"는 것입니다. 얼마 전에 산 TV는 "50인치" TV모델입니다만 125CM(센티미터) 입니다.1인치 = 2.54CM 라고 치면, 50인치는 127CM가 맞습니다.하지만 이 TV는 125CM입니다.모델명도 50인치에 붙는 모델명이죠. UN50H.....125CM 는 2.54로 나누면 49.2인치입니다. 잘라버리면 49인치. 그런데 삼성전자에는 49인치TV는 없는 모양. 그래서 올려버렸나?125CM 화면을 50인치라고 홍보하기는 LG전자도 마찬가지입니다. 차라리 중소..
출처는 삼성전자 설명서 http://downloadcenter.samsung.com/content/UM/201408/20140804175932505/[KOR]X14ATSCH-0804-1.pdf 녹화기능 타임시프트 기능에 관한 일반 설명, 저장장치 고르기, 기능 사용 일반사항과 주의사항입니다. ※ LG전자 TV의 유명한 타임머신 기능에 대해서는 앞서 따로 정리했습니다. [ 링크 ] 먼저, 간단요약합니다. 녹화나 타임시프트는 TV의 튜너가 직접 수신한 디지털 채널에만 적용됩니다. "저장된 영상은 DRM이 적용돼 다른 장치나 동일 모델로 일련번호가 다른 TV에서 재생되지 않는다"고 일단 적혀 있네요. 아날로그시대 비디오 복사같은 걸 기계마다 DRM을 걸어 피해가네요.. USB포트에 연결할 하드디스크는 5400..
삼성전자, 2014년 봄에 다나와 등록된 모델. 케이스와 스탠드 생긴 모양은 2013년형. 로우급이라 그런 듯 한데 이런 라인업배치는 LG도 비슷함. 2014년형 신모델들은 스탠드가 네 발이다. (시리즈 6가 2014년 신모델이고 시리즈5는 2013년형 라인업이다) 삼성전자 사이트의 사양표 http://www.samsung.com/sec/consumer/tv-video/tv/led-tv/UN50H5800AF-spec [다나와 링크] CMR 120, 60Hz 에코센서(조도센서) 있음 블랙패널+ 3D는 지원하지 않음 일단 스마트 TV 임. 기능 있고 무선랜, 유선랜단자 있음. 잡다한 이야기. - 홈쇼핑 전용 모델이란 댓글 링크(2014). - 삼성LG 양사 모두 50인치는 채산성이 안 맞아 중국패널을 가공한..
구입 전 몇 가지 찾아본 기록이다. LG와 삼성 보급형 비교해보다 눈에 띈 기능이라.먼저 LG전자 사이트http://www.lge.co.kr/lgekr/product/list/LgekrProductListCmd.laf?catid=1100&tcatid=1180모니터처럼 TV사양도 잘 정리해놨다. 가격비교사이트에서 보고 미심쩍으면 이 쪽으로.유튜브에 LG전자에서 올려놓은 타임머신 기능 관련 소개, 튜토리얼 영상이 몇 개 있다.http://www.youtube.com/watch?v=qToKEOo9zMk타임머신 기능은 두 가지가 있다.1) TV안에 하드디스크를 내장한 타임머신.2) TV안에 저장장치가 없고, USB 외장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는 타임머신. (타임머신 Ready)옛날에는 타임머신이라 하면 1번을 이야..
옥션 올킬로 올라온 상품이라고 하네요. 한 줄 요약:셋탑에 연결해 보는 데는 좋음. 자가소비용 추천. 참고: 첫 번째 리뷰와 두 번째 리뷰의 사진이 바뀐 것 같습니다.http://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use&wr_id=654090http://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use&wr_id=654091
아래 동영상을 보세요. 38달러고, TV HDMI단자에 연결합니다. 전원은 USB포트로 받는 모양. (TV의 USB단자에 선을 연결한거나, 외부어댑터겠지요) http://www.youtube.com/watch?v=cKG5HDyTW8o 크롬OS가 들어가서 Chrome + Cast ??인 지 모르겠는데, 결국 요즘 디지털TV를 이용한 구글식 초미니 셋탑입니다.구글캐스트는 모바일 기기와 TV연동을 쉽게 해주는 프로토콜이며, 크롬캐스트는 그것을 상품화한 이름 - 베타뉴스에 인용된 구글 관계자말 프로토콜이란 말은, 애플기계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주루룩 깔리는 그런 걸까요? 신기한 건 아니죠? 최근 몇 년새 팔리는 안드로이드 스틱, 혹은 리눅스 OS도 들어간다고 광고하는, USB메모리처럼 생긴 ARM머신 중에 몇 가..
이틀만에 오천 대 매진? 대단하긴 해요. 그래서 찾아보았습니다. 32인치 LED 패널은 VA인 모양. 1920*1080 full hd 499000원.. 50만원이라 보면 되겠네요. A/S는 TG삼보. 1년 대만회사 OEM 그 외 사양은 http://banti.egloos.com/5565518 사용기, 평가 등:http://clien.career.co.kr/cs2/bbs/board.php?bo_table=park&wr_id=8795191 http://www.ppomppu.co.kr/zboard/view.php?id=freeboard&page=1&sn1=&divpage=249&sn=off&ss=on&sc=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319593 http://www...
Viewed Posts
|
Recent Comments
|
Recent Pos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