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파킨슨병 환자의 증상완화를 위한 비침습적 전자기치료나 약물치료 가능성을 확인한 동물실험(기사) 본문

건강, 생활보조, 동물/의과학

파킨슨병 환자의 증상완화를 위한 비침습적 전자기치료나 약물치료 가능성을 확인한 동물실험(기사)

기존에 시상하핵을 전기자극하는 뇌심부자극술이 이용됐는데, 동물모델수준에서 그 기전을 증명.

그리고 어느 신경세포의 어느 이온채널을 건드리면 좋을지 알아냈고

그 신경세포의 그 이온채널에 더 많이 작용하는 특별한 약물을 투여해 증상완화 확인한 쥐실험

 

https://n.news.naver.com/mnews/hotissue/article/031/0000935865?cid=1087778

 

파킨슨병 운동장애 원인 찾았다 [지금은 과학]

운동장애를 일으키는 파킨슨병은 뇌속 브레이크 회로의 지나친 활성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전기 대신 약물로 전운동피질 활성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됐다. 새로운 치료 전략이 기대되는 대

n.news.naver.com

ㅡ 한국뇌연구원은 감각·운동시스템 연구그룹의 라종철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파킨슨병의 운동장애가 뇌 속에 있는 ‘행동억제 신경회로’의 과활성화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규명 (......) Modulation of premotor cortex excitability mitigates the behavioral and electrophysiological abnormalities in a Parkinson's disease mouse model 라는 이름으로 국제학술지 ‘Progress in Neurobiology’ 6월 최신호에 게재.

 

 

ㅡ 파킨슨병은 뇌 깊숙한 곳에 있는 시상하핵(Subthalamic nucleus, STN)의 기능 이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현재까지는 시상하핵을 높은 빈도로 전기 자극하는 ‘뇌심부자극술(Deep Brain Stimulation, DBS)’이 대표적 치료법으로 활용되고 있지만 치료 원리는 완전히 규명되지 않았는데, 이번 연구에서 뇌심부자극술(Deep Brain Stimulation, DBS)의 효과가 전두엽에서 움직임을 계획하고 준비하는 역할을 하는 전운동피질(premotor cortex, M2)과 시상하핵간 연결 회로의 비정상적 활성을 조절해 나타난다는 사실을 규명.

 

ㅡ 전운동피질은 우리가 어떤 행동을 시작하거나 멈출 때 중요한 역할 (......) 시상하핵과 연결된 신경회로는 급브레이크 신호를 보내는 경로로 작동 (......) 파킨슨병 동물모델에서 전운동피질의 흥분성이 지나치게 높고, 이로 인해 행동억제 회로가 과도하게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 (......) 비유하면 자동차의 브레이크가 계속 밟혀 있는 상태처럼 파킨슨병 환자의 움직임이 지속적으로 방해받는다는 것 (......) 이 동물모델의 뇌 시상하핵에 고빈도 자극을 가했을 때 전운동피질의 과활성이 일시적으로 줄어들며 운동 기능이 회복되는 현상을 확인

 

ㅡ (뇌심부자극술을 가하면) (전운동피질) 뉴런의 전기적 성질을 조절하는 과분극 활성화 고리형 뉴클레오티드 개폐통로(HCN 채널, 심장과 뇌 신경세포에 분포하며 자발적이고 주기적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이온통로)의 활성이 감소하며 (전운동피질) 뉴런의 흥분성이 조절(감소)한다는 것...

(괄호부분은 맥락을 보고 이해한 것을 마음대로 적었는데, 틀렸을 수 있으니 주의)

 

ㅡ 여기서 연구팀은, 뇌심부자극술(DBS)을 이용하지 않고 HCN채널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약물만 처리해도 파킨슨병 동물모델의 행동과 전기생리적 이상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 (......) 파킨슨병 환자에게도 뇌심부자극술(DBS)과 비슷한 효과가 약물이나 rTMS(반복적 경두개 자기자극술) 등 비침습적 방식으로 나타날 가능성 제시.

 

 

참 좋은 연구네요.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