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공공기관
도구
- 스마트폰,태블릿 화면크기비교
- 양쪽 윈도우키를 한영한자키로(AutoHotKey)
- 매크로: Robotask Lite
- 파일이름변경: ReNamer Lite
- 파일압축: 반디집
- 공공서식 한글(HWP편집가능, 개인비영리)
- 오피스: 리브레오피스(LibreOffice)
- 텍스트뷰어: 이지뷰어
- PDF: FoxIt리더, ezPDF에디터
- 수학풀이: 울프램 알파 ( WolframAlpha )
- 수치해석: 셈툴, MathFreeOn
- 계산기: Microsoft Mathematics 4.0
- 동영상: 팟플레이어
- 영상음악파일변환: 샤나인코더
- 이미지: 포토웍스
- 이미지: FastStone Photo Resizer
- 화면갈무리: 픽픽
- 이미지 편집: Paint.NET, Krita
- 이미지 뷰어: 꿀뷰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검색
- KS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해외시장뉴스
- 엔팩스(인터넷팩스발송)
- 구글 드라이브(문서도구)
- MS 원드라이브(SkyDrive)
- 네이버 N드라이브
- Box.com (舊 Box.net)
- Dropbox
- 구글 달력
- 모니터/모바일 픽셀 피치 계산
- Intel CPU, 칩셋 정보
- MS윈도우 기본 단축키
- 램디스크
- 초고해상도 관련
- 게임중독
- 표준시각
- 전기요금표/ 한전 사이버지점
- HWP/한컴오피스 뷰어
- 인터넷 속도측정(한국정보화진흥원)
- IT 용어사전
- 우편번호찾기
- 도로명주소 안내, 변환
- TED 강연(네이버, 한글)
- 플라톤아카데미TV
- 세바시
- 명견만리플러스
- 동아사이언스(과학동아)
- 과학동아 라이브러리
- 사이언스타임즈
- 과학잡지 표지 설명기사
- 칸아카데미
- KOCW (한국 오픈 코스웨어) 공개강의
- 네이버 SW 자료실
- 네이버 SW자료실, 기업용 Free
- 계산기
공공데이터베이스
PC Geek's
어떤 기전이 발견되면 약이 나오고, 새로운 기전이 발견되면 또 새 약이, 아니면 접근방식을 바꾸어 새 약이 나오고.. (면역관문억제제) 본문
그런 이야기를 적은 기사 하나.
키트루다 대박 후 면역관문억제제 개발에 대해 (기사)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72249
꿈의 항암제 면역관문억제제, '키트루다 대박' 후 개발 열기 식어
암세포는 면역세포와 결합함으로써 면역세포의 기능을 떨어뜨린다. 면역관문억제제는 이 과정을 방해해 암 퇴치를 돕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폐암 등 수십 개 암종에 사용되는 항암제 '키트
www.dongascience.com
(......) PD-1과 TIGIT 등은 모두 면역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단백질이다. 암세포는 이들 단백질에 결합하는 '리간드'라는 신호전달 분자를 스스로 만들어 면역세포인 T세포의 활성을 억제한다. 이렇게 체내 면역감시를 피하면서 성장한다.
(복잡하고 자세한 설명: https://m.blog.naver.com/dzfree/221112193700 )
면역관문억제제는 암세포가 발현한 리간드나 T세포 표면 수용체를 차단해 T세포에 걸린 '브레이크'를 해제하고 면역세포가 다시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만드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문제는 PD-1과 TIGIT 등의 단백질이 모두 유사한 신호전달 경로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사실상 같은 신호전달 경로에 작용하기 때문에 이 경로에 작용하는 다른 단백질을 단독으로 차단하거나, 여러 개의 단백질을 동시에 차단해도 치료 효과가 크게 늘지 않는 것이다. (......) 후속면역관문억제제 개발은 기술적 난도도 높다. 면역세포가 지속적으로 자극받아 지치는 '탈진현상', 종양 미세환경의 다양한 변수 등이 작용하며 치료 반응을 예측하기 어렵다. 특히 고형암에서는 면역세포가 종양 내로 침투하지 못하거나 종양을 둘러싸고 있는 기질이 장벽처럼 작용해 치료 효과를 제한한다는 점이 문제다. (......) 최근에는 종양 미세환경을 바꾸기보다 면역세포 자체를 '재설계'해 억제 장벽을 무력화하는 전략이 주목 (......)
- 동아사이언스 2025.6.
키트루다주: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5032400029
https://www.google.com/search?q=Keytruda
키트루다
키트루다는 MSD가 개발한 면역항암제를 말한다. 키트루다는 상표명이고, 공식적인 의약품 명칭은 MK-3475, 펨브롤리주맙이라고 한다. 13가지의 암을 치료할 수 있다고 알려졌다.
www.google.com
https://en.wikipedia.org/wiki/Pembrolizumab
Pembrolizumab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Pharmaceutical drug used in cancer treatment Pharmaceutical compound Pembrolizumab, sold under the brand name Keytruda, is a humanized antibody, more specifically a PD-1 inhibitor, used in cancer immunotherapy that tre
en.wikipedia.org
몇 가지 메모.
면역관문억제제(免疫關門抑制劑, immune checkpoint inhibitor)
ㅡ 면역관문(immune checkpoint)
https://en.wikipedia.org/wiki/Immune_checkpoint
Immune checkpoint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Regulators of the immune system Immune checkpoints in the tumour microenvironment Immune checkpoints of immunosuppressive actions associated with breast cancer Immune checkpoints are regulators of the immune system. Th
en.wikipedia.org
https://www.cancer.gov/about-cancer/treatment/types/immunotherapy/checkpoint-inhibitors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are a type of immunotherapy that block immune checkpoint proteins from binding with partner proteins. Learn about the cancers treated with checkpoint inhibitors and the side effects they may cause.
www.cancer.gov
"인체는 외부의 침입자(바이러스, 독소 등)와 내부의 해로운 변화(암세포 돌연변이)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는 방어체계를 갖추고 있다. 암세포는 정상세포와 달리 표면에 특이항원이 존재하여 암 발생 초기 단계에서는 면역체계에 의해서 파괴된다. 이후 무한 증식하고자 하는 암세포와 이를 공격하려는 면역세포의 힘이 균형이 무너지게 되면 암세포가 본격적인 증식을 개시한다. 암세포가 더 성장하게 되면 체내 면역시스템을 교란하는데 이때 일부 암세포는 면역세포의 면역체크포인트(면역 관문)를 활용하면서 면역을 회피하는데, 면역체크포인트억제제가 면역체크포인트를 억제하면 면역세포의 힘이 증강되어 암세포가 사멸하게 된다." - 면역항암요법/한국어위키백과
https://en.wikipedia.org/wiki/Programmed_cell_death_protein_1
Programmed cell death protein 1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Mammalian protein found in humans PDCD1IdentifiersAliasesPDCD1, CD279, PD-1, PD1, SLEB2, hPD-1, hPD-l, hSLE1, Programmed cell death 1External IDsOMIM: 600244; MGI: 104879; HomoloGene: 3681; GeneCards: PDCD1; OMA:PDCD1
en.wikipedia.org
보면서 적은 내용. 틀렸을 수 있음. 주의
ㅡ PD-1 은 T세포와 B세포가 발현하는 세포 표면 수용체(receptor) 막단백질..
ㅡ 이 수용체가 리간드(PD-L1)과 맞물려 스위치가 켜지면 T세포에 브레이크로 작용해 면역반응을 억제한다.
ㅡ PD-1 스위치가 켜지면
그게 켜진 항원특이적 T세포(antigen-specific T-cells)의 림프절에서의 사멸(apoptosis)을 촉진한다.
그게 켜진 조절 T세포(regulatory T cells)의 사멸(apoptosis)을 감소시킨다. 1
일반적으로 세포는 면역세포의 PD-1에 결합하는 리간드 단백질인 PD-L1 을 표면에 발현하는데, 이 PD-L1이 면역세포의 PD-1에 결합하면 그 면역세포는 조용해진다. 면역세포의 활성도는 완전히 ON/OFF 로만 동작하지는 않고, 여러 경로로 들어오는 활성화/억제 신호가 종합돼 어느 정도의 균형에 있다고 할 수 있는 듯. 평소 브레이크도 악셀도 약간씩 눌려있는 양발운전상태. 여기서 악셀이 너무 눌리거나 브레이크가 없어지면 자가면역질환(심근증 등)이 될 수도 있고, 반대로 암세포가 PD-1에 붙는 PD-L1(또는 PD-L2)을 세포 표면에 너무 많이 발현하면 그 T세포는 접촉한 그 암세포를 공격하지 않는다. 2 3
ㅡ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는 면역세포의 PD-1에 결합하지만, PD-1L이 붙지 못하도록 자기가 자리만 차지하고 붙어있늘 뿐, PD-1의 "활성억제 스위치"가 켜지지 않도록 한다(이런 효과를 노리고 만든 항체다). 활성화된 T세포가 접촉한 세포가 그 T세포에게 "나를 공격하지 말라"는 신호를 전달하는 통로인 이 PD-1 리셉터가 억제됐으니(스위치가 올라가지 않으니), 이 T세포는 암세포와 접촉하면 암세포가 표면에 많이 발현한 PD-L1 리간드를 인식하지 못하고, 암세포 표면에 발현된 암항원만 인식해 암세포를 공격한다. 4
이런 이야기인 듯.
* 여담.
종종 틀린 소리(할루시네이션 등)를 하기는 하지만, 질문을 잘 하면 브레인스토밍용 툴로 쓸 만한 AI챗봇 활용. 구글 제미나이.


- 이 맥락에서 조절T세포는 본래라면 염증반응의 끝에 활성화돼 반응을 진정시키고 뒷정리하는 역할? 좀 더 찾아보고 적을 것. [본문으로]
- 그런 변이까지 일어난 암세포가 더 잘 증식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위의 인용문에서는 상당히 진행된 암에서 이런 행동을 보인다니까. [본문으로]
- 몸의 면역세포가 항원을 제시하면서도 그 항원을 제시받은 면역세포에게 공격받지 않고 임무를 계속하려면 당연히, "이것이 당신이 만나면 때려잡아야 하는 항원입니다. 잘 확인하세요" 와 함께 "하지만 나는 같은 편입니다. 나 때리지 마세요" 신호도 같이 주는 식이어야 할 것이다. [본문으로]
- 전체적으로 면역세포의 활성도를 올리므로 일반 세포를 공격할 가능성도 올라간다. 그러므로 이 약을 쓸 때는 자가면역질환이 있는 사람은 일반인보다 주의해야 한다. [본문으로]
'건강, 생활보조, 동물 > 의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를 앓은 다음 머리가 멍한 브레인 포그(brain fog)에 대한 연구 하나 (0) | 2025.06.30 |
---|---|
파킨슨병 환자의 증상완화를 위한 비침습적 전자기치료나 약물치료 가능성을 확인한 동물실험(기사) (0) | 2025.06.28 |
돼지 배아에 인간 줄기세포를 심어 만든 인간-돼지 모자이크세포구성인 키메라심장 동물연구 (0) | 2025.06.25 |
심장 오가노이드(organoid; 장기유사체) 제작/:/ 박쥐의 내장 오가노이드 제작 (IBS) (0) | 2025.06.17 |
난임시술 연구: 미국에서 AI를 이용한 정자분리로 무정자증 남성의 정자 채취율 높여 (0) | 2025.06.16 |
게임중독은 질병이 맞나? 짧은 생각 (0) | 2025.06.15 |
★ 얼굴, 턱, 목 '가벼운' 마사지의 좋은 점일까? : 치매예방, 피로회복? 주의: 절대로 세게 하지 말 것 (0) | 2025.06.14 |
혈액이나 체취, 날숨으로 간단 암검사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더군요 (0) | 2025.06.11 |
Viewed Posts
|
Recent Comments
|
Recent Pos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