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난임시술 연구: 미국에서 AI를 이용한 정자분리로 무정자증 남성의 정자 채취율 높여 본문


건강, 생활보조, 동물/의과학

난임시술 연구: 미국에서 AI를 이용한 정자분리로 무정자증 남성의 정자 채취율 높여


반응형

인공수정, 시험관아기 이야기. 미국 이야기. 

미국 내 불임의 약 40%는 부부 중 남성 요인이며, 그 중 약 10%는 무정자증이 이유.

똑같은 사람이니 국내도 저 비율은 크게 다르지 않을 겁니다. 우리나라에도 바로 들어오면 좋겠네요.

 

무정자증(채취한 정액 속에 정자가 매우 적거나 없는 경우)을 보이는 남성의 정액에

미미한 양이라도 정자가 있어도

육안관찰로는 발견하지 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학습시킨 AI를 적용한 컴퓨터 영상 처리를 적용.

 

정액 샘플을 특수제작한 칩 속 모세관에 통과시켜 정자를 발견, 분리.

(이 설비 자체는 기존의 세포분리기술을 사용한 듯)

이 과정에서 영상/이미지를 AI가 보고 선별한 정자를 구별해내 골라 인공수정에 사용하고 쓸 수 있는 여분의 정자는 모아 추후 시술을 위해 냉동.

 

(미국)

시험관 아무리 해도 임신 안됐는데…AI 이용해 성공?
코메디닷컴 2025.06.15.
20년 불임 부부, AI를 이용한 시술로 임신에 성공

https://n.news.naver.com/article/296/0000090414

 

시험관 아무리 해도 임신 안됐는데…AI 이용해 성공?

미국 컬럼비아대 생식 센터의 의사들은 거의 20년 동안 가족을 꾸리려고 노력해 온 부부에게 새로운 인공지능(AI) 시스템을 사용해 첫 임신을 선사했다. 미국 주간지 '타임'에 따르면 이번 임신은

n.news.naver.com

 

 

기술의 원리는 천문학에서 따온 것.[각주:1]

우주를 찍은 망원경 사진을 자동으로 분석해 별을 찾고 분류하는 AI를 가져와서,

현미경 시야를 찍은 사진을 자동으로 분석해 세포 중에서 정자를 찾고 분류하는 장치를 만듬.

학자들이 이틀간 분석해서 정자 1개도 찾지 못한 샘플에서 STAR 시스템은 1시간만에 44개 발견.

 

 

ps.

같은 내용을, 다른 외신을 인용해 보도한 다른 기사 하나.

https://n.news.naver.com/article/005/0001787630

 

 

 

 

  1. 이런 식으로 분야를 건너 응용되는 사례가 종종 있다. 예를 들어, 지금은 흔해진 이온 채널의 현미경 사진이다. 이온 채널은 고분자 몇 개로 구성돼있는 작은 크기라 현미경으로 사진찍어도 흐릿한 그림밖에 얻지 못했다. 여기에 천체사진을 여러 장 찍어 정보를 합쳐 고해상도 이미지를 계산해내는 기술을 적용해, 분자의 폴딩상태를 시뮬레이션한 것과 비교할 만한 고해상도 이미지를 얻어내게 됐다. [본문으로]
반응형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more

Viewed Pos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