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폰
- Freeware
- 인터넷 저장공간
- Tistory.com
- 티스토리
- 가상머신
- Microsoft
- Mozilla Firefox
- ssd
- 마이크로소프트
- Apple.com
- Naver.com
- 스마트폰 앱
- 게임
- 무료 프로그램
- 소비전력
- 삼성전자
- 구글
- 전자책
- 웹브라우저
- 구글 크롬
- 프리웨어
- 애플
- 코로나19
- diy
- 보안
- 네이버
- Google Chrome
- Google.com
- 인공지능
- 운전 중 스마트폰사용 경고 관련기사
- 고위공직자가 좋아한 주식들: ICT+Bio
- 구글 크롬 웹브라우저 단축키 (2021.4)
- (인디갈라 무료게임) Blood Harvest 3
- 인구밀도가 희박한 지역의 의약품 드론배달
- 코로나19 집계(2021.4.14. 0시 기준)
- 꽃샘추위: 중부지방 한파주의보
- 배민트렌드 2021 ("배달의민족" 백서 전자책)
- microsoft 입력기 / microsoft 옛한글
- uTorrent 3.5.5.45966(3.5.5.1.45952) 버전
- 구글 포토는 그렇게 믿을 만한 사진백업툴은 아⋯
- 어느 반려동물사료회사 몰의 칼로리 계산기
- 특허청 PCT 국제특허관련 안내와 자료(pdf 등)⋯
- 사용자(주인)에게 스몸비(스마트폰 좀비) 경고를⋯
- 스마트폰없이 상상할 수 없는 일상생활
- 일본, 주4일 근무제와 노동인구감소를 연관시킨⋯
- 코로나19 집계(2021.4.13. 0시 기준)
- 한국에서 중국인이 벌이는 비트코인 환치기(?)
- 불켜놓고 잠자는 게 몸에 많이 안 좋군요. 아 피⋯
- 정부, 전국 일반도로 속도제한 50km/h, 주택가 3⋯
- 스마트폰 화면키보드 레이아웃 개선 희망점
- 티스토리 앱의 불안정성과 안전망없는 부분
- 코로나19 집계(2021.4.12 0시 기준)
- 서울 마을버스 기사들도 철밥통이 돼가는 걸까
- 후후(전화앱), 경찰청DB를 제공받아 서비스 보완
- 코레일(무궁화호 등) 무선랜
- LG-SK 배터리분쟁, 합의로 종결
-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태양광, 태양⋯
- 유튜브 웹사이트의 성인인증요구화면
- 국민건강보험공단 정기건강검진 대상조회, 기록
- 아, 정말 북마크 정리 기능 꽝.⋯
- ㅠ.ㅠ 잘 해결되었기를 바랍니다.
- 요즘 계속 블루스크린뜨고 컴퓨⋯
- 저도 안 해봐서 모르는데, 앱이⋯
- 혹시...터치하면 어찌되나요?⋯
- 나중에 본문에 덧붙일 이야기:⋯
- 아, 그랬군요. 알려주셔서 고맙⋯
- 데이터 세이버 기능 아이콘입니⋯
-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O^//
- 세븐모바일 유심 집에서 굴러다⋯
- 링크가 여러 개라.. 그러라고⋯
- 완전방전시키고나서 충전을 시⋯
- 저도 우연히 본 이야기입니다.⋯
- 열대우림 개발을 위한 포석이⋯
- 감사합니다. 그러게요. 전에는⋯
- 새로운 글쓰기 익숙해 질려고는⋯
- 맥북프로 2009(엘 카피탄os)에⋯
- 안녕하세요 포스팅 잘봤습니다.⋯
- 그랬군요. 소식 감사합니다. 그⋯
- 중조 관련 소식은 MOU만 맺고⋯
- 日, 편의점 ‘로봇 알바’ 시대⋯
- 예, 편안한 하루되세요.^^
- 아래 따로 단 링크로 가보세요.⋯
- https://www.canon-europe.com/⋯
- 잘 보고 갑니다. 공감해요.
- 안녕하세요. 구글링하다가 이⋯
- 로지텍 공식 홈이었을 겁니다.⋯
- 위에 사진에 있는 소프트웨어는⋯
- 리뷰야 머야?
- 본글에 나온 저 둘은 정당한 테⋯
목록
PC Geek's

2.4GHz만 되는 N2까지 이지메시 업데이트가 되는데, A704NS-BCM은 소식이 없네요. 역시 틈새시장용같이 대역폭지원하고 칩셋별나고 기능붙은 건 사면 안 되는 걸까.. 무척 오랫동안 업데이트해줘서 고맙게 쓰고 있지만, 이 제품보다 5년은 더 전에 출시됐을 모델이 지원펌업이 됐는데 이건 빠져서 아쉬웠습니다. usb포트를 활용한 네트워크인쇄 기능은 아직 잘 되니까, 프린터를 바꿀 때까지는 계속 쓸 생각입니다. 뭐.. 기다려는 보지만, 이젠 그렇게 기대는 안 되네요. 어차피 갈아탈 일이 없는 통신사에 공유기바꿔달라고 해볼까.

일단 펌웨어 업데이트는 돼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걸 지원하는 공유기 모델이라야 하죠. 에이전트는 지원인데 컨트롤러(WAN에 연결된 놈)가 지원하지 않는다면 쓸모없습니다. 저는 컨트롤러가 돼야 할 공유기에 프린터가 물려 있고 WAN성능이 더 좋은데, 이지메시 펌웨어가 아직 안 나왔습니다. 아 정말.. 에이전트용으로 물린 공유기에는 그 펌웨어가 나왔고요. 심지어 이제 안 쓰는 300Mbps짜리 구모델도 이지메시 펌웨어가 나왔는데, 쩝... 그래서 아래 기록을 보면, 마지막 스샷에 지원하는 공유기를 찾을 수 없다고 에러를 띄웁니다. 이지메시 접속기 다운로드와 사용법 iptime.com/iptime/?page_id=126&uid=20609&mod=document 이지메시 설명서(pdf) iptime.com/i..

기록 스크린샷입니다. Public WiFi Free 를 터치. 밑에 Secure 의 ssid도 보이네요. 요즘은 설문을 받네요. 광고도 생각하는 모양입니다. 네, 돈이 들겠죠. (다만 전에 서울시 버스였나, 입찰결과가 신통찮아 보도된 적이 있었는데 어떻게 됐을지.. 이왕 지역밀착형으로 한다면 이쪽으로도 뭔가 할 수 있능까요?)

와이파이 연결때만 구글포토 업로드, 와이파이 연결때만 앱 업데이트 설정일 때, 데이터를 마음껏 쓰는 것 같다. 그래서 데이터 무제한이 아닌 요금제라면 얼어준 사람이 곤란할 수 있겠는데.. 어떻게들 쓰지? 안드로이드 9까지는 QoS설정이나 다른 관리메뉴는 없던데. 요즘 버전 안드로이드OS에는, 접속 속도가 얼마 아래면 무선랜연결에서만 동기화나 업뎃하는 걸 끄는 기능이 있을까? 구글 포토나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그런 설정은 없는데.. 일단 무선랜연결이라 해도 집안 공유기나 팍팍 나오지, 공공와이파이나 QoS걸린 카페같으면 매가 연결한 장치가 WAN이 유선인터넷인지 휴대폰 에그나 핫스팟인지 접속속도로는 구별할 수 없다. OS차원에서 기능을 만들어 구별해주는 수밖에 없을텐데..
장치 관리자로 가서, 네트워크 어댑터> 장치 속성> 고급> 속도 및 이중 항목을 열어보자. 간혹 내부에서 꼬이면, 10Mbps 로 설정돼있을 수 있다. 그때 100Mbps 전이중으로만 해줘도 시원한 느낌일 것이다.

꽤 편하게 만들어놨습니다. 글씨는 작은 편이지만 그건 어쩔 수 없고, 웹브라우저의 손가락줌으로 키우면 됩니다. 예를 들어, 모질라 파이어폭스의 설정에는 이런 게 있죠. 세부메뉴 화면입니다. 아래는 무선네츠워크 설정. ※ 전모델 펌웨어 업데이트를 하느라 바빴는지 아니면 개별모델에 상관있는 보안이슈는 일단락됐는지, 요즘은 펌웨어 업데이트가 뜸하네요. 이건 MIMO가 안되는 구모델이라서 그럴까. 가끔 껐다 켜주면 좋지만, 가정용으로는 참 잘 만든 기계입니다. 공유기 보증기한이 지난 다음 튜닝을 하겠다 생각한다면 1. 메인칩에 큰 방열판을 달거나 다른 냉각법을 생각한다. 가정용인데 여름에는 플라스틱 겉케이스가, 만져보면 뜨끈뜨끈할 때가 있습니다. 폰으로 유튜브보는 게 고작일 텐데. 2. 어댑터를 그 공유기용 전..

대표적으로 구글 포토 백업 및 동기화기능 구글 플레이스토어 앱설치기능 에 그런 옵션이 있는데요, 취약점이 있습니다. 다른 전화기를 무선랜 핫스팟으로 경유해 네트워크에 연결한 경우에는 가리지 않죠. 그래서 좋은 의도로 잠시 열어준 친구 데이터를 다 잡아먹을 수도.. 이런 경우를 고려해주려면, 개별 앱의 설정이 안드로이드OS의 API를 이용할 것이기 때문에, OS차원에거 손봐주어야 합니다. 구글이 됐든 전화기 제조사가 됐든 말이죠. 그럴 경우 방식은, 이렇게 하면 될 것 같은데.. : 모바일 데이터와 같게 취급해 트래픽설정을 적용하는 SSID목록을 OS에서 등록하고 관리하면 될 것입니다. 그리고, 스마트폰만이 아니라 다른 기계(리눅스와 윈도우기계)도, 무선랜이든 유선랜이든 이런 식으로 앱/푸로그램/서비스별로..
웹페이지 품질을 테스트하는 웹사이트에서 몇 초 걸린다고 보여주는 게 공신력이 있습니다. 자기 컴퓨터에선 웹브라우저와 캐시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서.. 하지만 자기 웹브라우저에서, 인터넷 회선속도를 지정해 대략적인 체험을 해보고 싶다면,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그 중 하나. 크롬쪽이라면 F12키를 눌러 개발자모드 화면을 연 다음 정해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이건 어떻게 적어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이렇게 입력하면 다운과 업이 각각 400이란 말(full-duplex)일 테니 스마트폰 모바일데이터 400kbps하고는 다를 것 같은데.. (하프 듀플렉스 400kbps는 단순화해서 다운로드 400kbps일 땐 업로드가 0이이고, 다운로드 350kbps일 때 업로드가 50kbps란 말이 맞죠? 아닌가?)..
지금 이 컴퓨터에 물린 공유기는 아니지만, 소식입니다. 이지메시(EasyMesh) 베타 시험 펌웨어 3차 배포 ipTIME Mesh 접속기 v1.06 설치, 실행화면.
어느 기사와 그 기사의 해석글을 보다 떠올렸습니다. 이걸 안 고쳤구나. Google DNS 소개https://www.netmanias.com/ko/post/blog/5357/dns-google-network-protocol/google-dns Configure your network settings to use Google Public DNShttps://developers.google.com/speed/public-dns/docs/using Google Public DNShttps://developers.google.com/speed/public-dns 그 기사에서 언급한 DNS over HTTPS (DoH).. 구글 크롬과 모질라 파이어폭스 웹브라우저는 향후 ISP가 가입자 웹서핑기록 추적을 막을 도..
고가모델부터 펌웨어를 배포하기 시작했고, 지금 출시한 802.11ac모델은 모두 지원하는 걸 지금 방침으로 삼았다고 합니다. http://iptime.com/iptime/?page_id=16&uid=20611&mod=document 이지 메시(EasyMesh) 네트워크 기술이란 - 보드나라 2018.11.무선랜 확장기에서, 멀티브리지(리피터), SSID를 같은 이름으로 설정한 것과 크게 다른 점 하나는, 이동하며 사용할 때 같은 이지메시망에 등록된 여러 공유기 중 전파가 센 쪽으로 자동으로 바꿔준다(핸드 오버)는 것. (지금까지는 연결이 끊어지면 그때 새로 망을 검색해 연결해줌) 이것 자체는 공유기나 컴퓨터/단말기의 앱으로 비슷하게 구현할 수 있지만, 그것보다 나은 게 몇 가지 있다는 모양입니다. 유튜브..
고장나서 어디 놔둔 지 몇 년 된 녀석을 분해해보았다. 공유기 고장은 주로 어댑터라지만 이건 어댑터는 괜찮고 공유기가 간 것(다른 공유기에 되는 어댑터를 끼워도 전원불이 안 들어왔다). 그래도 한 7년은 쓴 것 같으니 괜찮지 않은가.. ^^. 번들 공유기(그래도 디자인은 있어야 할 거 다 챙겼고 견고하게 잘 만들었다)답게(?) 안테나는 일체형이다. 단, 이 안테나가 성능이 꽤 좋아서 당시 같은 등급 KT것보다 이 공유기가 전파가 셌다.국내제조품이다! 메이드 인 코리아!착실하게 박혀 있는 나사 네 개를 풀고 뚜껑을 따보니, 이런 광경이 나를 반겨주더라. 기판에 빈 데가 없이 부품이 다 차있는 건 참 아름답..다고 하긴 좀 그렇고 기분이 좋다.무선랜 칩셋은 라링크것같은데, 무슨 슬롯에 끼워져 있다. 떼내지 ..
윈도우를 마지막 부팅한 다음 지금까지 카운트한 양일 터인데..(그러니까, 하이버네이션하면 초기화되지 않습니다) "제어판\네트워크 및 인터넷\네트워크 연결" 에서 어댑터(랜카드) 선택 이걸 표시해주면서 왜, 시스템에서 매일 사용한 업/다운 트래픽 통계는 만들지 않고 꼭 서드파티 프로그램을 써서 하도록 헀을까요. 윈도우 10에서는 어땠는지 생각나지 않는데..
전에 어디에 쓴 것 같은데 기억이 안 남 ;;efm네트웍스의 홈페이지https://iptime.com/iptime/?page_id=11&pf=15&pt=119&pd=1다시 한 번 적지만, 구형 공유기임.무선은 2.45GHz 300Mbps. 2Tx-2Rx 채널 본딩 적용. 안테나는 4dBi짜리라고 함. 무선랜쪽의 벤치마크 결과는 95Mbps정도까지 나온다고. 내가 써봤을 때도 그랬다.유선은 100Mbps 만. WAN 1포트, LAN 4포트. 오래 전에 출시돼서,, 달린 메모리도 요즘 공유기의 몇 분의 1에 불과하다.CPU는 390MHz MIPS 32bit 라고 함.혹시 이 공유기를 사용하다 고장났다면 어댑터를 바꿔볼 것.아이피타임답게 요즘도 공유기 펌웨어 업데이트 지원이 되고 있다! 지금은 유무선 리피터로..
2019년인 지금은 의미없는 일이지만, 802.11b 11Mbps, 802.11g 54Mbps 짜리로 연결되는 구형 기계를 사용하거나 802.11n 150Mbps로 연결되지만 프로그램이 오래됐거나 문제가 있거나, 공유기가 설정이 별로 없다면, 지금도 있을 수 있는 경우. 원래 국가별로 차이가 있었죠. 우린지 미국인지는 모르겠지만 어디서 그랬어요. 그래서 공유기도 국가설정에 따라 1~13번까지 쓰느냐가 갈리기도 했죠. 이젠 의미없는 줄 알았는데, 저희 집 공유기에 물리는 것들 중에 가리는 게 아직 있더군요. 그래서 적어 둡니다.neple 150Mbps usb랜카드가 카드 문제인지 아니면 설정프로그램 문제인지 확인하지는 않았지만, 공유기에서 13번 채널을 사용할 때는 SSID를 찾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컴퓨..
[WAN] - UTP2 -(- 공유기 -)- 단말기 UTP2에 랜선물리는 단말기는 다 공인IP를 받습니다. 그래서 전에는 KT IPTV는 여기 물려놓았더랬죠.이걸 물리지 않고 바로 인터넷공유기를 연결하면 100메가로만 잡힙니다.(일부 예외.. UTP2를 빼고 WAN에 직접 물려도 회선 속도를 다 뽑아주는 공유기가 있기는 하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iptime의 최고급형 모델 중 일부) 자동모드고, 속도 1Gbps로 되어 있지만, WAN포트는 100M입니다.이 기계가 증폭기역할을 하기 때문.(요즘은 이게 필요없는 아파트도 있지만) 어쨌든 그렇습니다. 그래서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보통은 이걸 반드시 사용해야 합니다.옛날 xDSL시대의 모뎀처럼, 가정용 광케이블(?) 서비스처럼 말이죠. :-| 약정이 거의 끝..
몇 가지 검색 결과 메모입니다.방통위, 와이파이 혼신 최소화 가이드라인 2011년□ 사설 무선랜 공유기 이용자 공공기관 기업 가정 등 (AP) ( , , )가. 무선랜 공유기 설치 시에 무선랜용 채널 중 전파간섭이 적은 (1~13)채널 중에서 개를 선택 하여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1, 5 ,9 ,13)나 무선랜 공유기 설치 시 무선랜 성능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타 무선랜 공유기와 충분한 거리를 확보하여 설치 및 사용 할 것을 권장합니다.다. 무선랜 공유기의 채널대역폭은 이하로 설정하여 운영 할 22㎒ 것을 권장합니다. 참조 【 】 와이파이 채널대역폭 구성 (WiFi) ○ 채널 대역이 서로 겹치지 않은 1, 5, 9, 13채널 사용으로 혼신 최소화 ○ 채널 증폭 본딩 시 두 개 채널을 선점 ( )하게..
옛날, 그러니까 11Mbps 무선랜을 쓸 땐 이렇게 알고 있었습니다:"무선랜이 (적어도 수평으로) 지향성이 있어서 공유기 안테나가 1자면 컴퓨터 무선랜안테나도 1자가 좋다"고.요즘은 무선랜카드도 콩알만 한 것까지 있고 모바일 단말기도 종류가 많은 요즘은 적어도 기계따라 다른 듯. ^^a 재미로 저런 식으로 놓고 속도벤치를 해봤는데,전화기 속에 들어간 안테나는 여러 방향을 고려해서 만드는 지, 이렇다 할 차이를 느끼지 못했습니다. 아니면 전화기가 구형이라 연결 대역폭이 적어 그 전파수준에서도 괜찮았을 지도 모르겠지만. 옛날에 컴퓨터용 무선랜카드 안테나를 가지고 몇 가지 해봤을 때는 차이가 났는데..
파일전송할 때 CPU점유율이 많이 오를 경우의 이야기인데, 딱히 암호화를 해서라고 짐작가진 않아서 말이다.하드웨어 인터럽트가 CPU를 먹을 만 한 것이, 내 컴퓨터에서는 그것 정도밖에 생각나는 게 없다. 그렇다고 해서 인텔랜카드를 가지고 있지도 않고.. 100메가짜리 PCI랜카드를 끼워서 전송률 비교해볼까? 요즘은 사실상 의미없다는 결론이 대종이다. 그러니 이 글을 읽고 이렇게 생각하지 않도록 하자.뭐가 저 점유율을 먹을까 생각했지만 마땅한 용의자(^^)가 나오지 않아 이것까지 떠올린 것이다. PS. 나중에 확인하기로, ACPI.sys 문제였다.윈도우7 OS가 절전모드에 문제가 있다.
알림: 이 사용기는 제조사 지원(협찬)받은 물품을 사용하고 작성된 것임을 미리 알려둡니다. ipTIME A604G-MU는 집에서 유선인터넷속도는 그렇게 신경안쓰고 대부분의 단말기가 무선으로 연결돼 있는 환경에 맞습니다. (외부 인터넷)WAN포트가 1Gbps지만 (컴퓨터/NAS연결)LAN포트가 100Mbps 짜리이므로, NAS장치나 클라우드를 기가비트 유선랜 대역폭을 활용해 이용하는 사람들은 A604G-MU의 타겟이 아닙니다. 하지만 유선은 100Mbps급이면 괜찮다고 보면서 안정적인 무선랜 환경을 요구한다면 타겟이 맞습니다. 요즘 집에서 컴퓨터 거의 안 켜고 꼭 컴퓨터로 할 일(아직 앱이 없으면서 공인인증서가 필요한 것들)이 없으면 집에서도 폰과 태블릿, 스마트TV만 보는 분들 꽤 있죠? 사양 iptim..
대개는 상식이지만, 그래도 읽어둘 만 합니다."로봇의 모양이 변하면,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는 게 가능해 진다" - 연합뉴스"대부분의 공공 와이파이는 보안 설정이 없지만 '퍼블릭 와이파이 시큐어(Public WiFi Secure)'라는 명칭의 와이파이는 데이터가 암호화돼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와이파이 설정에서 자물쇠 아이콘이 있는 '퍼블릭 와이파이 시큐어'를 클릭하고, EAP 방식은 'PEAP', 2단계 인증은 'MSCHAPV2'를 선택한 뒤 ID와 비밀번호에 각각 'wifi'를 입력하면 쓸 수 있다.""일반 와이파이 이용 시에는 가급적 자동 접속 기능은 끄고, 기존에 접속했던 와이파이 리스트는 주기적으로 지워줘야 한다"여러 가지 이야기가 있으니 기사 원문을 보세요. IT전문지가 아니라 일반 매체라서 그대..
인터넷 클라우드 저장소에 업로드할 때, 100메가랜은 확실히 너무 오래 걸려서 알아본 것.인터넷망에 연결할 것이기 때문에, 내부망용과 달리 아무 브랜드나 써선 안 될 것이다. 다나와에서 기가와이파이 분류가 무선 5GHz, 유선 1Gbps인데.. 3만원대부터 시작한다. 유선 4포트면 충분.그냥 유선공유기 중 기가비트는, 요즘은 굳이 유선만 되는 공유기는 안 팔리는 지 이 쪽에서 고르는 건 의미없어보인다. (팔긴 하는데, 무선을 뺀 것 치고는 그다지 안 싸다. 찾는 사람이 적어서인 듯) 그렇게 비싸지도 않지만, 또 그렇게 싸지도 않네. 이왕이면 싶어서 MU-MIMO 를 지원하는 것으로 걸러 가격정렬해 보니,어떻게 할까.. 일단 익스텐더는 필요없고, 두 번째와 세 번째의 큰 차이는 칩셋차이, usb3.0 지원..
여러 가지 설정을 바로 볼 수 있어 좋지만,웹 화면을 그대로 구현하지는 못했다. 앱이라 더 편하게 해주겠다고 메뉴를 만든 건 좋았는데, 웹 화면에서 보여 주는 정보를 다 보여 주지는 않으며(예를 들어 게스트 무선 네트워크), 웹 화면에서 설정할 수 있었던 것 중 일부는 건드리지 못하는 것 같다. 전용 앱임에도!이 부분은 개선할 필요가 있다.그냥 웹브라우저로 공유기에 로그인해 사용하면 그만이지만, 이왕 앱을 내줬으면 신경써주면 좋겠지. (모바일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공유기 url로 연결되는 바로가기를 폰 바탕화면 아이콘으로 내주는 기능도 있으면 나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다음블로그를 웹서핑하다 댓글적으면 다음블로그 바로가기 아이콘을 스마트폰 바탕화면에 만들라고 집요하게 뜨는 플로팅 메뉴가 있다..
캠에서 나가는 트래픽을 지정할 수 있고캠으로 접속할 때 공유기단에서 추가적인 로그인 단계를 제공한다면중국산 IP캠도 안심하고 쓸 수 있을 텐데. ipCAM 도우미란?]ipCAM 도우미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IP CAM을 ipTIME NAS로 등록하여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NAS에 등록된 IP CAM 조회 및 추가/수정/삭제/영상보기를 통해인터넷이 연결된 어디서나 IP CAM을 쉽게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ipDISK 계정을 이용한 NAS 접속시에는 NAS 웹UI를 통한 ipDISK 서비스 계정 등록이 필수입니다. http://iptime.com/iptime/?page_id=126&uid=18485&mod=document 사용 개념을 잘 이해하지 못했는데, 일단 체크만 해 둡니다. 전용 하드웨어가 필요하..
Recent Posts
(... 더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