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폰 앱
- 소비전력
- ssd
- 삼성전자
- Freeware
- 게임
- 웹브라우저
- Google.com
- 구글
- Tistory.com
- Naver.com
- diy
- Mozilla Firefox
- Google Chrome
- 구글 크롬
- 애플
- 티스토리
- 보안
- 전자책
- 인터넷 저장공간
- Microsoft
- 코로나19
- 프리웨어
- 마이크로소프트
- 스마트폰
- 가상머신
- 네이버
- 무료 프로그램
- 인공지능
- Apple.com
- 티스토리 새 편집기, ctrl-V 문제
- 크롬이나 크로뮴계열 웹브라우저에서 방문 기록⋯
- 봄날이네요.
- 코로나19 집계(2021. 4. 10. 0시 기준)
- 인프런(inf learn) 오리지널 온라인 강의, 4월 1⋯
- 아파트 베란다 미니태양광용 인버터/:/ HSPV-K36⋯
- 태양광패널 정보/:/ 한화큐셀 Q.PEAK DUO-G5315-⋯
- 2021년 서울특별시 베란다형 태양광 미니발전소⋯
- 2021 서울특별시 태양광 미니발전소(주택, 건물)⋯
- P2P 투자에 관한 기사들
- 태양광 미니발전소 시공기준 (베란다형, 주택형⋯
- (네이버 시리즈온 무료영화) 하늘과 바다, 열다⋯
- 코로나19 집계(2021. 4.9. 0시 기준)/:/ 거리두⋯
- 서울상수도사업본부(아리수) 수도요금 자가검침⋯
- (에픽 게임즈 무료게임) 3 out of 10: Season Two
- LG전자가 스마트폰 사업을 그만두니/:/ LG전자⋯
- 화성탐사선이 싣고 간 헬리콥터, 다음 주 시험비⋯
- 가오몬(GAOMON) 1060PRO 10x6 디지타이저(타블렛⋯
- (인디갈라 무료게임) Stranded In Time
- 코로나19 집계(2021. 4.8. 0시 기준)/:/ 확진자⋯
- 네이버 QR체크인/:/ 개인안심번호/:/ 네이버앱⋯
- 베란다 텃밭용 채소: 상추, 비트
- 메타버스(metaverse = meta + universe)
- 티맵+우버, 그리고 카카오모빌리티+구글
- 게임 오버 GAME OVER - 한스 페터 마르틴
- 봄 갓김치 맛있네요.
- 이번 선거(2021.4.7)는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법 알리미 블로그
- "You are not prepared"
- 구글 크롬보다 모질라 파이어폭스 웹브라우저가⋯
- 아, 정말 북마크 정리 기능 꽝.⋯
- ㅠ.ㅠ 잘 해결되었기를 바랍니다.
- 요즘 계속 블루스크린뜨고 컴퓨⋯
- 저도 안 해봐서 모르는데, 앱이⋯
- 혹시...터치하면 어찌되나요?⋯
- 나중에 본문에 덧붙일 이야기:⋯
- 아, 그랬군요. 알려주셔서 고맙⋯
- 데이터 세이버 기능 아이콘입니⋯
-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O^//
- 세븐모바일 유심 집에서 굴러다⋯
- 링크가 여러 개라.. 그러라고⋯
- 완전방전시키고나서 충전을 시⋯
- 저도 우연히 본 이야기입니다.⋯
- 열대우림 개발을 위한 포석이⋯
- 감사합니다. 그러게요. 전에는⋯
- 새로운 글쓰기 익숙해 질려고는⋯
- 맥북프로 2009(엘 카피탄os)에⋯
- 안녕하세요 포스팅 잘봤습니다.⋯
- 그랬군요. 소식 감사합니다. 그⋯
- 중조 관련 소식은 MOU만 맺고⋯
- 日, 편의점 ‘로봇 알바’ 시대⋯
- 예, 편안한 하루되세요.^^
- 아래 따로 단 링크로 가보세요.⋯
- https://www.canon-europe.com/⋯
- 잘 보고 갑니다. 공감해요.
- 안녕하세요. 구글링하다가 이⋯
- 로지텍 공식 홈이었을 겁니다.⋯
- 위에 사진에 있는 소프트웨어는⋯
- 리뷰야 머야?
- 본글에 나온 저 둘은 정당한 테⋯
목록
PC Geek's

전에도 적었을 텐데, 요즘도 온다. 개인정보가 어디서 샜는지 모르겠는데, 내 이메일 계정이지만 네이버 페이와는 아무 상관없는 계정에 네이버페이를 사칭한 스팸메일이 오는 것이다. 그냥 차단해버리면 되는 문제기는 하고, 다른 간편결제 사업자들도 이런 스팸의 피해를 입고 있겠지만, 이거 어떻게 못하나싶을 때가 있다. 내용 자체는 상품광고다. 무슨 옷가지나 전자제품 등. 그거 파는 몰에서 돈줘서 누가 뿌리는 거겠지. 하지만 내 돈이 결제돼 나갔다고 양식을 그럴 듯하게 만들어 보내기 떄문에 매우 거슬린다.

같은 점포 안에서도 결제할 상품이나 서비스에 따라서는, 네이버통장과 충전포인트, 전환포인트가 다 충분한데도 결제가 안 된 경험이 있었습니다. 디폴트 설정에서 뭘 더 하줘야 했는지, 아니면 그것만 네이버페이결제대상이 아니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전화기 초기화하고 삼성페이를 다시 등록하지 않았는데, 해줬네요.

앱에서 하단 사람아이콘> 결제수단> 쿠페이 원터치결제 설정 기본이 활성화된 상태로, 주문화면에서 결제버튼을 누르면 그대로 결제완료입니가. 저장된 결제정보를 사용합니다. 11번가의 새로운 간편결제방식 중 하나가 그렇고, 미국 아마존(amazon.com)이 원래 이 방식이죠. 만약 자기가 실수를 잘 하거나, 다른 몰처럼 사용하고 싶다거나, 마지막의 마지막에 재확인받는 단계를 꼭 넣고 싶다면 꺼줄 수 있습니다.

몇 년 전까지 월한도가 넉넉해서 사람들이 잘 썼다고 하고, 그 한도가 월 20만원, 월 10만원, 월 5만원으로 줄어서 요즘은 그냥저냥이라는 상품권 충전방법. 저는 이런 걸 잘 몰라서, 사람들이 많이 쓸 때는 제대로 못 썼습니다. 요즘은 월 5만원 한도로 수수료없이 "전환"됩니다. 옥션이나 지마켓 웹이나 앱에서 하면 되고, 그 이상은 컬쳐랜드 앱에서 메뉴를 열어 3%수수료를 차감하고 전환하면 됩니다. (보통 그냥 충전이라고 말하는데, 이런 사이트들은 충전은 카드결제나 현금이체할 때를 말하고, 전환은 다른 사이트의 현금성 포인트를 옮길 때를 두고 구별해 말하기를 잘 합니다. 사이트마다 말이 다를 수 있으니 주의) 옥션 앱에서 전환하기.위 화면에서 "전환"을 터치. 그러면 아래처럼 전환가능한 다른 회사 포인..

본래 ISP/Paybooc앱은 bc카드(신용카드)결제용 앱이지만 이것도 추가됐군요. 12월 중순에 시작해서 1월 말까지입니다. 페이코, 토스같이 계좌이체 충전, 정기/기준액미만시 자동충전, 잔액부족시 자동충전기능이 있습니다. 온오프라인에서 다 쓸 수 있는데, 사용방법은, 온라인몰에서는 신용카드, bc카드결제를 고른 다음, 이어 뜨는 페이북앱 안에서 카드말고 페이북 머니를 고르면 됩니다.일단 이벤트는, 1. 충전계좌를 연결하면 바로 2000포인트 충전 2. 3만원 이상 결제하면 바로 5천포인트 충전 3. 결제액의 2% 리워드 이벤트. 최대 5천포인트. 이렇습니다.

하나멤버스앱에 설명이 있길래 갈무리. CU편의점 동전(잔돈) 하나머니 적립은, 물건살 때 현금결제가 아니라 주머니에 남은 동전을 주고 적립해달라는 건 안 되겠죠? 되려나? ^^ (한국은행이 이런 적립을 권장합니다. 동전발행비용을 줄이려고. 문제는 저금통이 '파편화'된다는 건데.. 또, 동전이 적립금이나 포인트가 되는 순간 서비스 약관에 따라 유효기한이 생겨, 경과 후 소멸(업체 낙전수입)되죠. 가능성있어보이는 대안이 없지는 않지만 아직은 점포마다 적립처와 사용조건이 제각각. 매장에서 잔돈 적립하고 잊어버리면 나중에 그 머니/포인트/적립금이 내 "현금"이 아니라 구매 포인트인 줄 착각하고 버릴 수도 있으니 주의.) 하나머니로 일단 적립되면, 그 자체로도 쓸 수 있고, 네이버페이나 이베이 스마일페이로도 넘길..

차이페이는 은행계좌에 연동하는 (토스비슷한) 계좌이체방식 간편결제입니다. 그 구현에 블록체인을 썼다고 해서 화제가 된 적 있었는데, 2019년에 시작했습니다. 이후 차이카드라고, 선불충전방식 체크카드를 내놓기도 했습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finance.chai.app차이 - 결제마다 할인받는 간편결제 - Google Play 앱% 할인의 차이 - 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혜택 규모가 얼마나 되는지 고민하지 마세요 - 결제할 때마다, 차이 나는 가격으로. 내 소비는 스마트해집니다. % BOOST 의 차이 - 차이카드로 부스트 play.google.com 가입과정 이 다음은 금융기관 계좌를 연동하는 화면입니다. 앱 화면..
기프트카드는 잔액 환불에 대해서는 상품권과 비슷하게 규정이 따로 있지만,사용면에서는 (특히 소지자 등록을 한 경우에는. 온라인결제를 하려면 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신용카드와 똑같이 처리된다. 아래는 우리은행의 경우. 스크린샷.https://sccd.wooribank.com/ccd/Dream?withyou=CDCIF0093 기프트카드 유형에 따라 온라인거래 이용 방법이 상이하오니, 확인 후 이용 바랍니다 * 무기명식 : BC카드 홈페이지(www.bccard.com) > 기프트카드 인터넷 사용등록 > ISP/paybook(페이북) 서비스 신청 > 온라인거래 이용 * 기명식 : BC카드 홈페이지(www.bccard.com) > ISP/paybook(페이북) 서비스 신청 > 온라인거래 이용 사용취소 * 가맹점에..

정부 재난지원금을 카드 포인트로 신청하고, 지역화폐도 그 카드예 연결한 경우, 본래 둘 다 카드 포인트로 처리됩니다. 영수증에는 카드결제고, 단말기에 따라 지원금 잔액이 나오기도 했죠. 그리고 결제 우선순위는 사용기한이 있는 정부 재난지원금이 먼저고 사용기한이 따로 없거나 아주 긴 지역화폐충전포인트가 그 다음입니다. 그리고 보통 신용카드 포인트 처리방식처럼, 포인트를 사용할 경우 잔액이 부족하면 남은 액수를 다음달 청구금액으로 결제하죠. 그런데 이렇게 한 카드에 두 종류(여기에 카드시 포인트까지 하면 세 가지) 포인트가 걸려 있는 경우, 적용우선순위대로 순차적으로 차감하지는 않습니다. 최우선 결제포인트가 0이 되면 나머지는 신용카드라면 결제대금으로 청구되고, 체크카드라면 계좌인출된다고 저는 알고 있습니다..
계좌이체로 현금충전하면 충전포인트가 됩니다.캐시백종류는 적립포인트가 됩니다.얼마 전에 컬쳐랜드 충전(기본적으로 수수료를 6% 뗍니다. 컬쳐랜드 사이트 참조) 이벤트로 넣어보니, 그건 적립포인트로 들어가있군요. 이벤트라서 그런가? 일단 이 두 가지는 확실하게 구별됩니다. 토스(toss)가 배워야 할 부분이기도 하죠. 사용면에서는, 기본적으로 결제하는 데 불편을 겪은 적은 없습니다만, 개선해주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본 적이 있기는 합니다.

컬쳐랜드 앱에서 간단히 할 수 있습니다. 전환수수료를 6% 떼기 때문에(예: 컬쳐캐쉬 10600원으로 네이버페이 1만포인트 충전), 컬쳐랜드 상품권 할인율을 고려하면 이득은 없다고 볼 수 있지만, 필요한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첫 전환시 1만원어치 전환수수료에 해당하는 600원을 0원으로 해주는 이벤트 중입니다. 체험용.

gmarket에서 isp/paybooc결제가 안되는 구매가 있어서, 나머지 해보라는 것 중 덜 번거로울 것 같은 걸로 하나 찍어보았다. 카드사마다 앱하나씩 깔아야 하나.. 쩝. 카드 등록방법, 사용방법은 특별할 게 없다. 시키는 대로 따라하면 된다.

서비스한 지 오래됐을 탠데. 1.흔한 소셜공구사이트도 이벤트충전머니의 소멸예고표시 정도는 해주고 알라딘같은 온라인서점은 아예, 소멸 전에 문자메시지(SMS)를 보내줍니다. 그런데 토스는 임의로 넣고 빼는 듯. 토스가 아직 '은행'은 아니지만, 만약 은행이 '입출금계좌', '주거래계좌' 에 대고 멋대로 이런 짓한다고 생각하면 난리나겠죠. 앞으로도 그렇게 할 생각이라면, 그렇게 임의로 넣었다 뺐다할 부분은 주계좌와 분리해 포인트식으로 관리 표시하고, 송금/결제할 때 자동으로 우선차감되게 하는 게 좋지 않을까요. 적어도 기본 설정으로 사용할 때는, 보기 쉬운 곳에 소멸예고표시는 없고 팝업도 없는 것 같으며, 온갖 잡다한 광고와 섞여 나오는 알림표시가 구석에 작게 있습니다. 마케팅 문자알림/푸쉬알림 모두 켜놨지..
A은행과 B은행 계좌를 일단 등록해놨으면 이체하는 게 간단해서 좋네요. 그 등록과정에 공인인증서가 필요없는 대신 이것저것 물어보고"편하게 쓸 수 있도록" 여러가지 해놓는 게 있지만요. 만약 A은행의 입출금계좌를 연결했을 경우,A은행의 모든 계좌를 홈화면에 보여주는 건 좀 그렇네요.게다가 그 은행에 보유한 모든 자산을 다 합산해 상단에 보여주는 모양입니다.토스앱의 화면 상단에 큰 글씨로 보여주는 액수는 보통 요구불예금 중에서도 자기가 그달에 쓸 수 있는 생활비로 생각할 때가 많지 않을까 생각하면 좀 그렇죠. 개선해주었으면.

주주룩 따라해보았습니다. 일단은 "한도계좌(한도제한계좌)"로 개설되며, 그걸 풀어주려면 필요한 절차를 밟아줘야 하는 듯.공인인증서없는 비대면이라 신분증촬영, 기재정보를 확인하고, 기존 거래은행의 계좌(한도계좌가 아닌 계좌)에 1원송금하고 확인받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그 뒤로 이거저거 해주면 계좌개설 완료. 은행창구가서 저와 직원이 하는 일처리를 제가 스마트폰으로 다 하는 것과 같습니다. 토스에서 이 계좌를 연결하고 잔고를 조회할 때는 기업은행 원 아이디가 필요합니다. 이것은 기업은랭 개인뱅킹 앱을 깐 다음에 가입절차를 진행하고, 그 다음에 원아이디를 만들어주면 됩니다. 기업은행앱 챗봇에 one 아이디 라고 치면 메뉴 바로가기가 뜨던가? ※ 편의기능 중 하나로, 토스는 서버에 계좌연결정보를 저장하는 옵션이..

1. 소셜공구사이트로 시작한 티몬에는 무료배송상품이 많고, 그 중에는 우편배송상품도 많습니다. 간단한 스마트폰 악세사리류나 작은 물건들, 샘플로 조금 사서 확인해보고 싶은 걸 구입할 때 좋습니다. 우편배송인 만큼 때때로 분실되는 일이 있다고 하고 관련 커뮤니티에 그런 얘길 적는 사람도 드물지 않은데, 판매자들도 일정액이상 택배라고 공지하고 그 사이트도 알고 있는지 이런 문자를 보내고 수취확인기간도 넉넉히 잡습니다. 2. 네이버페이(네이버통장말고)로 우리은행계좌이체충전하면, 오픈뱅킹 출금이체(자동이체)가 설정됐다고 우리은행에서 문자가 옵니다. 일회성 충전을 했는데 왜 자동이체란 말이 나오는지 모르겠는데, 토스 계좌이체처럼 두 번째에는 더 간편하게 하려고 처음부터 저렇게 설정한 걸까요?

네이버앱 홈화면에서 오른쪽 상단 네이버페이를 터치해 열고 내 지갑 항목을 보면 가입화면 링크가 있습니다 네이버앱에서만 가입기능하다고 나옵니다. 주된 가입목적이 ㅡ CMA이자 ㅡ 결재시 포인트 캐시백일 테니까 그 부분을 잘 읽어보세요. 특히 지금 네이버페이를 충전해 사용 중인 사람들. 현재 네이버페이 결제화면에는 2.5%캐시백이벤트라고 떠있지만 그건 네이버통장을 개설한 다음 이야기입니다. 네이버통장없이 그냥 네이버페이 충전포인트로만 결제하면 1%기본캐시백만 들어옵니다. 모든 조건을 충족하면 3% (조건은 스크린샷 참조)
네이버페이로 결제하는 화면에서, 충전포인트 사용 전, 할인 및 포인트 항목에서 포인트차감할 수 있습니다.몇몇 다른 회사 서비스에 적립된 포인트를 네이버페이 결제용으로 전환할 수 있는데, 어떤 회사(롯데 엘포인트)는 이달(2020년 7월)말까지만 전환가능하고 어떤 회사(신한포인트)는 네이버쪽에서는 전환이 안 되고 그 회사 앱에서 전환시켜야 합니다. 어떤 회사(KB 포인트리)는 그 회사의 특정 서비스에 가입한 상태라야 조회가능합니다. 엘포인트(L.Point), 마이신한포인트, KB포인트리, 하나머니, PAYCO 포인트 회사에 따라 전액전환을 눌러도 한 번에 다 안 되고 잔돈이 조금 남는 수가 있는데, 그건 반복해서 전환시키면 다 넘어옵니다.

사용할 때는 신경쓰지 않아 듣지 못했는데 조용한 곳에서 결제대기화면을 띄워보니 모뎀소리같은 소리가 작게 나는군요. ^^ (처음에 알았다가 잊어버렸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마, 여러 방식에 쓸 수 있게 해서 매장 결제단말기 중에 이 소리를 듣고 통신하는 게 있는 모양인데, 몰랐습니다.

카드가 연회비없는 그 종류인데 딱히 도움될 것 같지 않아 잊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ISP/paybooc 앱을 다시 깔고 로그인해보니, BC TOP포인트 옆에 에코머니 포인트가 얼마쯤 쌓여있는 게 보였습니디. 에코머니사이트는 회원가입필요합니다. bc카드나 페이북 앱에서 전환할 수 있는지 여부는 아직 모르겠습니다. http://www.ecomoney.co.kr/app/green/html/customer/ecomoney/point.jsp에코머니당신의 친환경 실천! 그린카드가 기억합니다.www.ecomoney.co.kr 몇 가지 선택지가 보입니다. ㅡ 현금전환. 2만 포인트 이상 2만 포인트 단위. ㅡ bc 카드 top포인트전환. 1포인트 이상 1포인트 단위. 이게 제일 무난하군요. ㅡ 기부. 1천 포인트 이상..
먼저 삼성카드 웹사이트로 가서https://www.samsungcard.com주메뉴에서 카드> 기프트카드> 부가서비스그러면 아래 화면이 나온다. 소지자등록을 하면 소득공제등록, 온라인등록, 잔액알림문자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음. 신청버튼을 누르면 회원이면 로그인, 비회원이면 공인인증서 인증 후 진행. 다른 카드회사처럼(?) 이런 과정은 딱히 가입하지 않아도 진행할 수 있는데, 다른 카드사들도 마찬가지로 카드사들은 되도록 회원가입유도한다. 물론, 그 회사의 카드를 사용 중이라면 당연, 로그인하는 게 편하다.
증권사 제휴통장이면서 금리를 더 준다더니, 역시나 CMA-RP 아래와 같은 안내문이 보입니다. 가입하려 하거나 관심있는 분들은 일단 읽고 넘어가기. https://campaign.naver.com/npay/naver-account-open/ 네이버통장은 미래에셋대우 CMA-RP형 통장입니다. CMA RP매수금액 1만원 이상인 경우에만 수익률이 적용됩니다. 2020년 8월 31일까지 전월 네이버페이 구매실적 조건 없이수익률 연 3%(100만원 한도, 세전)가 제공됩니다. 100만원 초과 ~ 1,000만원 이내 보유 금액은 연 1% 약정수익률이 적용되며, 1,000만원 초과금액은 연 0.35% 약정수익률로 적용됩니다. 약정수익률은 2020.6.1 세전 기준이며, 시장금리 상황(한국은행 정책기준 등)에 따라 ..
Recent Posts
(... 더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