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
- 스마트폰
- 마이크로소프트
- ssd
- 보안
- Google Chrome
- Google.com
- Tistory.com
- 소비전력
- Apple.com
- Microsoft
- 네이버
- Mozilla Firefox
- 코로나19
- Freeware
- 프리웨어
- Naver.com
- diy
- 삼성전자
- 웹브라우저
- 스마트폰 앱
- 구글
- 전자책
- 게임
- 구글 크롬
- 가상머신
- 인터넷 저장공간
- 무료 프로그램
- 인공지능
- 티스토리
- 티스토리 새 편집기, ctrl-V 문제
- 크롬이나 크로뮴계열 웹브라우저에서 방문 기록⋯
- 봄날이네요.
- 코로나19 집계(2021. 4. 10. 0시 기준)
- 인프런(inf learn) 오리지널 온라인 강의, 4월 1⋯
- 아파트 베란다 미니태양광용 인버터/:/ HSPV-K36⋯
- 태양광패널 정보/:/ 한화큐셀 Q.PEAK DUO-G5315-⋯
- 2021년 서울특별시 베란다형 태양광 미니발전소⋯
- 2021 서울특별시 태양광 미니발전소(주택, 건물)⋯
- P2P 투자에 관한 기사들
- 태양광 미니발전소 시공기준 (베란다형, 주택형⋯
- (네이버 시리즈온 무료영화) 하늘과 바다, 열다⋯
- 코로나19 집계(2021. 4.9. 0시 기준)/:/ 거리두⋯
- 서울상수도사업본부(아리수) 수도요금 자가검침⋯
- (에픽 게임즈 무료게임) 3 out of 10: Season Two
- LG전자가 스마트폰 사업을 그만두니/:/ LG전자⋯
- 화성탐사선이 싣고 간 헬리콥터, 다음 주 시험비⋯
- 가오몬(GAOMON) 1060PRO 10x6 디지타이저(타블렛⋯
- (인디갈라 무료게임) Stranded In Time
- 코로나19 집계(2021. 4.8. 0시 기준)/:/ 확진자⋯
- 네이버 QR체크인/:/ 개인안심번호/:/ 네이버앱⋯
- 베란다 텃밭용 채소: 상추, 비트
- 메타버스(metaverse = meta + universe)
- 티맵+우버, 그리고 카카오모빌리티+구글
- 게임 오버 GAME OVER - 한스 페터 마르틴
- 봄 갓김치 맛있네요.
- 이번 선거(2021.4.7)는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법 알리미 블로그
- "You are not prepared"
- 구글 크롬보다 모질라 파이어폭스 웹브라우저가⋯
- 아, 정말 북마크 정리 기능 꽝.⋯
- ㅠ.ㅠ 잘 해결되었기를 바랍니다.
- 요즘 계속 블루스크린뜨고 컴퓨⋯
- 저도 안 해봐서 모르는데, 앱이⋯
- 혹시...터치하면 어찌되나요?⋯
- 나중에 본문에 덧붙일 이야기:⋯
- 아, 그랬군요. 알려주셔서 고맙⋯
- 데이터 세이버 기능 아이콘입니⋯
-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O^//
- 세븐모바일 유심 집에서 굴러다⋯
- 링크가 여러 개라.. 그러라고⋯
- 완전방전시키고나서 충전을 시⋯
- 저도 우연히 본 이야기입니다.⋯
- 열대우림 개발을 위한 포석이⋯
- 감사합니다. 그러게요. 전에는⋯
- 새로운 글쓰기 익숙해 질려고는⋯
- 맥북프로 2009(엘 카피탄os)에⋯
- 안녕하세요 포스팅 잘봤습니다.⋯
- 그랬군요. 소식 감사합니다. 그⋯
- 중조 관련 소식은 MOU만 맺고⋯
- 日, 편의점 ‘로봇 알바’ 시대⋯
- 예, 편안한 하루되세요.^^
- 아래 따로 단 링크로 가보세요.⋯
- https://www.canon-europe.com/⋯
- 잘 보고 갑니다. 공감해요.
- 안녕하세요. 구글링하다가 이⋯
- 로지텍 공식 홈이었을 겁니다.⋯
- 위에 사진에 있는 소프트웨어는⋯
- 리뷰야 머야?
- 본글에 나온 저 둘은 정당한 테⋯
목록
PC Geek's

며칠 전부터 컴퓨터 하드웨어 커뮤니티가 시끄러웠는데.. 그것입니다. http://naver.me/I5jx5wsM '지포스 대란'…용산 전자상가가 통째로 흔들린다 “RTX30 시리즈에 대한 높은 기대를 예상했지만 이 정도일 줄은 몰랐습니다. 충분한 대비를 하지 못했습니다. 사과드립니다.” 엔비디아는 지난 21일 홈페이지에 사과문을 올렸다. 17일 글로벌 시� n.news.naver.com 용산전자상가가 아니라 쿠팡, 11번가 등에서 판매한다고. https://www.nvidia.com/ko-kr/geforce/graphics-cards/30-series/rtx-3080/ http://m.danawa.com/product/product.html?code=12204362&cateCode=112753 [다나와]..
익스트림 튜너 계열.https://www.galax.com/en/xtreme-tuner-plus-rtxXtreme Tuner Plus for GeForce RTX 20 & GTX 16 Series Xtreme Tuner Plus for Work The Frames SeriesXtreme Tuner Plus for GeForce GTX 10 Series & BeforeXtremeTuner for SSD 6.0.0.9요즘 카드에 쓰는 새 버전과, 옛날 구형 카드에 쓰는 구버전을 받을 수 있다. GTX650용은 저기 before찍힌 것. 설치 화면실행 화면차단해주었다. 업데이트 관련이겠지만. 실행화면은 별다를 것 없다. 이걸 깔아본 이유는, 내 GTX650에 전에 이걸 깔았을 때 저장해둔 값이 펌웨어에 저장되..
요즘 카드는 팬속력조절이 자유롭게 되지만,옛날 VGA는 그 옵션이 없거나, 기본 50%부터 시작하는 게 있습니다.제것도 50%부터 시작하는 놈이라서 빼놓기도 했지만여름에는 그렇게 하면 그래픽, 동영상 가속기능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도 가끔 뻗더군요. 센서값을 읽어 표시해주는 프로그램을 트레이에 띄워두면 40~50도 남짓인데VGA방알판에 손가락대보니 꽤 뜨거웠습니다. 흠.. 하여간 정확히 그 탓인지는 모르겠지만, 다운되는 원인이 아무래도 그것같아서, 증상: 1. 블루스크린이 나오고 이유는 다양함.2. 사용하던 컴퓨터 화면을 잠시 표시해주는데, 그때 화면 좌상단에 옛날 8비트때 폭주하면 VRAM깨진 화면같은 사각형이 보임. 그리고 컴퓨터가 리셋됨. 옛날 컴퓨에 달아 쓰던 CPU/케이스쿨러용 저항을 달아줬습니다..
컴퓨터가 불안정하다싶으면 해주는 것.게임을 안 하니 처음 설치할 때 윈도우기본으로 깔아놓고 잊어버리기도 합니다. GTX650은 나온지 무척 오래됐지만 아직 드라이버는 나오는 중.https://www.nvidia.co.kr/Download/index.aspx?lang=kr 설치기록깜빡임현상 있음. 그래픽을 많이 잡아먹는 게임은 점점 멀어지고 있어서,어쩌면 다음 그래픽카드는 없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니면 인공지능어시스턴트같은 걸 구동하기 위해서 단다든가..
쿨러 팬날개와 방열판에 먼지낀 것을 닦아 내고, 기판에 쌓인 먼지도 닦아냈다.실내에선 불어내는 청소는 무리고 역시 물티슈가 쓸모있다.얇고 강한 플라스틱(헤라 종류가 굳)과 물티슈를 사용. 만약 쇠자를 쓴다면 물티슈를 찢고 나와 기판 패턴이나 부품을 그어버리는 불상사가 없도록 조심할 것! 그럴 뻔 해서 금속재질 도구는 추천하지 않는다. 팬의 플라스틱도 마찬가지로 물티슈로 먼지쌓인 것을 닦아낸다. 조립은 분해의 역순. 깔끔해졌다. 소리도 덜 난다. 어? 중고로 사긴 했지만 여태 zotac물건인 줄 알고 있었는데 갤럭시? 그러고 보니, 백패널 포트달린 것이 내가 주문한 것과 일치하는 지만 확인했지, 팬쿨러 위에 붙은 딱지를 확인할 생각은 못했다.
MSI 애프터버너는 MSI에서 나오는 그래픽카드, 특히 nVidia 레퍼런스를 따르는 카드용으로 사람들이 잘 쓰던 것입니다. https://www.msi.com/page/afterburner 용량은 50메가 정도 되고, 스킨은 모형자동차 무선조정 콘트롤러처럼 디자인해놨습니다. :) 이런 용도에 서버 프로그램이 왜 필요한지 모르겠어서, 그건 빼주라 했습니다. 설치 용량은 60MB정도 됩니다. 작지 않습니다. 오버클럭도 되지만 언더클럭도 됩니다.팬스피드는 슬라이드바에선 50%밑으로 못 내립니다. 지금 해준 설정입니다. 윈도우 IME에 가린 부분은 윈도우 시작시 최소화해 트레이에 넣는 것.전압조절기능을 사용하되 서드파티로, 전압모니터링 사용. 자동업뎃 확인안함. 이건 도움말 갈무리한것. 팬스피드.. 일단 0부..
윈도우 10 설치할 때 깔리는 기본 드라이버를 가지고는 nVidia 제어판에서 안 되는 기능이 있어 혹시나하고 시도해본 것 기록.https://www.nvidia.co.kr/Download/Find.aspx?lang=kr#인증된 WHQL , GRD , SD , QNF , ODE , BETA 릴리스"인증된 WHQL" Windows 하드웨어 품질 연구소 테스트 또는 WHQL 테스트는 타사(예 Microsoft 이외의 회사)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서 일련의 테스트를 수행하고 이러한 테스트의 로그 파일을 Microsoft에 제출하여 검토하도록 하는 테스트 프로세스입니다. 절차는 여러 하드웨어와 여러 Microsoft Windows 버전 같은 광범위한 장비에서 자체 테스트를 실행하는 Microsoft도 포함할 수..
모니터의 물리해상도보다 높은 해상도를 윈도우 제어판에 표시하도록 합니다.그래서 윈도우에서 돌아가는 프로그램은 지금 해상도가 실제 모니터 물리해상도보다 높다고 착각합니다. 이것은 예전에 리프레쉬율같 파라메터를 바꾸는 것하고는 또 다른 것인 듯. 주로 게임할 때 모니터 해상도에 비해 비디오카드가 많이 고사양이면 화면을 부드럽게 만들려고 이렇게 하기도 한다네요. 그러니까1920*1080 해상도인 모니터에서 3840*2160 해상도를 보거나 (2배 튀기기)2560*1440 해상도인 모니터에서 3840*2160 해상도를 볼 때 (1.5배 튀기기)사용하는 기능입니다. 장치와 OS와 드라이버 조합에 따라 안 될 수도 있습니다. 검색해보니, "액세스 거부" 에러창이 뜨면 지포스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해주란 말이 보입니다...
전용 포트가 아니라 USB포트로 연결하는 외장 비디오카드는 대역폭 문제때문에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래서 full HD해상도는 커녕 가로 1368해상도 아래의 usb전자액자 수준이 많았던 걸로 저는 기억합니다. 그런데 USB 3.0포트가 기본으로 달리게 되면서, 이 쪽으로도 꽤 쓸 만 한 게 나오는 모양입니다. 더불어, 중국산 usb악세사리라 값도 쌉니다! 편하게 적어갑니다.우선 프레스코 FL2000DX 칩셋에 대해. 리뷰하신 분 글 링크합니다.http://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use&wr_id=964846http://review009.tistory.com/281 요약: 1. 리뷰 제품은 D-sub 포트가 달렸다. 업무용 멀티모니터, 마이크..
* 내것은 몇 년 전 GTX650이라 지금것들은 훨씬 나아졌을 것이다. 5년도 더 전 것인가? 제어 소프트웨어가 마음데로 설정되는 옵션이 거의 없다.팬속도는 50%에서 아래로는 내려가지도 않고GPU클럭, 메모리클럭도 조절바는 있지만 되는 건 한정돼 있어.메이저 브랜드에 비해 이런 게 불편한 게 바로 이런 것이다.(같은 이유로, 폭스콘 메인보드도 비추한다. 역시 OEM용이란.. 불편한 구석이 여럿 있다. 이건 MSI도 마찬가지)하여간, 다른 브랜드를 잘 몰라서 딱 뭐라고 누구에게 추천할 게 없어 이걸 비추하는 것도 상대적인, 그것도 몇 세대 구형제품에 대한 평가에 불과하지만, 그런 한계와 함께 일단 적어둔다.
이게 맞는 지는 모르겠지만.해보니 처음에는 누래진 것 같았는데 좀 지나고 보니 모르겠네요.눈이 쉽게 잊어버립니다.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버튼 클릭. 문맥 메뉴 호출한 뒤 nVidia 제어판 클릭 왼쪽 메뉴에서 디스플레이> 바탕 화면 컬러 설정 조정오른쪽 화면에서 2번. nVidia 설정 사용 체크컬러 채널에서 청색 선택밝기가 기본 50%로 되어 있을 텐데 그것을 40%로 줄여 줌. 화면 색감이 좀 달라질 것임(노란 기가 들 것임)변경사항이 생기면 제어판 창 오른쪽 하단에 적용 버튼이 생기니까 그걸 클릭. 그냥 모니터 OSD 메뉴 패널을 호출해 색온도를 줄여주는 게 좋습니다만(눈생각해서 이렇게 할 정도면 먼저 모니터 메뉴에서 색온도를 낮추라고 하죠.기본값이 9300K 일 텐데 그걸 6500K 로 줄여주라..
윈도우 업데이트때 선택사항으로 뜨긴 하지만안 할 수도 있고 에러나는 수도 있고.. 조립 PC라면 필요할 지도 모를 업데이트 유틸리티 http://www.intel.com/p/ko_KR/support/detect이 유틸리티를 실행하고 나서 드라이버 다운로드받아 설치프로세스로 갈 때까지는 컴퓨터를 재시작할 필요는 없습니다.
특히 HDMI 포트를 사용할 때 좀 뿌연 감이 있다고 여긴다면 확인해볼 만한 팁으로 널리 알려진 것인데요, DVI포트로 연결된 모니터라도 16-255가 기본으로 잡혀 있을 때가 있습니다. 제 컴퓨터처럼. 저는 몰랐습니다. NVIDIA 제어판을 연 다음에,비디오> 비디오 컬러 설정 조정 항목으로 들어갑니다. 먼저 모니터를 지정합니다. 다음 컬러 조정 방법 항목에서"비디오 플레이어 설정 사용"을"NVIDIA 설정 사용"으로 하면고급 탭을 고칠 수 있는데, 거기서동적 범위를 "전체(0-255)"를 선택하고 아래 "적용"버튼을 눌러줍니다. [ 알게 된 곳 링크 ]
설치해도 에러가 나는데.. 조금 찾아본 것.http://www.intel.biz/support/kr/graphics/sb/cs-009483.htm
VGA가 붙어 있고, 재생기가 CUDA 가속을 지원할 때,1080P 영상을 재생하면 비디오 클럭이 올라간다. 문제는 소비 전력인데.. 예전에 본 어느 글을 생각하면, CPU 자체 동영상가속으로 재생할 수 있으면(특히 인텔) 그게 전기를 적게 먹는다는 말을 어디서 읽은 것 같다. 작업 분담측면에서는 외장VGA가 노는 것보다는 일을 나누는 게 낫지만, 4K같이 비디오파워가 필요한 게 아니라면 그렇다는 얘기였는데.. 비디오성능을 활용하는 게임을 거의 안 하다 보니, 이 VGA는 거의 듀얼링크 모니터 출력용으로만 쓰는 지라.. 테라나 아키에이지라도 한 번 깔아볼까? 다음팟 플레이어를 예를 들어,코덱부분은 변경하지 않고, 일단 검색만 해두고,DXVA 설정으로 들어가서, 이렇게, 주 항목을 체크해주고,디코더 항목에..
모 사이트에서 보고 찾아본 것. 1. 두 회사의 상대 점유율 (2003~2014)http://www.dvhardware.net/article62306.html(작은 그림을 클릭하면 크게 보인다) 2. GPU시장 자체의 파이 (1981~2014)http://gfxspeak.com/2014/05/19/graphics-market-quarter/2천년대에 들어와서 데스크탑의 성장세가 정체되고 노트북이 폭발적으로 커졌다. 주요 회사들이 노트북에 집중한 것이 트렌드를 따라간 것이네. 2010년대에 들어와, 스마트폰과 태블릿이 크게 퍼질 때와 비슷하게, 노트북의 시장이 크게 꺾였다. 데탑은 고만고만한 상태를 유지. 그리고 이 시기, 인텔이 샌디브리지를 내놓은 시기와 얼추 비슷하게, 2천년대 중반 이후 횡보하던 데탑..
자꾸 알림표가 뜨길래, 드라이버 버전이 중요한 게임은 안 하지만 윈도우 에러 등 몇 가지 문제를 손보는 김에 이것도 판올림해주었습니다.
항상 그런 지는 모르겠지만 nVidia 제어판이 우선합니다. 예를 들어, 윈도우 제어판에서 이런 배치를 해도 nVidia 제어판에 이런 식으로 돼있으면 nVidia 제어판에서 한 게 그대로 적용됩니다. 윈도우 제어판에서 바꿔도 실제로는 아래처럼. 그래서, nVidia 제어판에서 손대주지 않았다면 모르겠는데, 일단 nVidia 제어판에서 디스플레이 배치를 손봐줬다면, 앞으로도 여기서 바뀌주는 게 낫다는 이야기.
Recent Posts
(... 더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