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공공기관
도구
- 스마트폰,태블릿 화면크기비교
- 양쪽 윈도우키를 한영한자키로(AutoHotKey)
- 매크로: Robotask Lite
- 파일이름변경: ReNamer Lite
- 파일압축: 반디집
- 공공서식 한글(HWP편집가능, 개인비영리)
- 오피스: 리브레오피스(LibreOffice)
- 텍스트뷰어: 이지뷰어
- PDF: FoxIt리더, ezPDF에디터
- 수학풀이: 울프램 알파 ( WolframAlpha )
- 수치해석: 셈툴, MathFreeOn
- 계산기: Microsoft Mathematics 4.0
- 동영상: 팟플레이어
- 영상음악파일변환: 샤나인코더
- 이미지: 포토웍스
- 이미지: FastStone Photo Resizer
- 화면갈무리: 픽픽
- 이미지 편집: Paint.NET, Krita
- 이미지 뷰어: 꿀뷰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검색
- KS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해외시장뉴스
- 엔팩스(인터넷팩스발송)
- 구글 드라이브(문서도구)
- MS 원드라이브(SkyDrive)
- 네이버 N드라이브
- Box.com (舊 Box.net)
- Dropbox
- 구글 달력
- 모니터/모바일 픽셀 피치 계산
- Intel CPU, 칩셋 정보
- MS윈도우 기본 단축키
- 램디스크
- 초고해상도 관련
- 게임중독
- 표준시각
- 전기요금표/ 한전 사이버지점
- HWP/한컴오피스 뷰어
- 인터넷 속도측정(한국정보화진흥원)
- IT 용어사전
- 우편번호찾기
- 도로명주소 안내, 변환
- TED 강연(네이버, 한글)
- 플라톤아카데미TV
- 세바시
- 명견만리플러스
- 동아사이언스(과학동아)
- 과학동아 라이브러리
- 사이언스타임즈
- 과학잡지 표지 설명기사
- 칸아카데미
- KOCW (한국 오픈 코스웨어) 공개강의
- 네이버 SW 자료실
- 네이버 SW자료실, 기업용 Free
- 계산기
공공데이터베이스
목록
PC Geek'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7t64/btsL7Q49lpi/GQwUEHFyWpCLXxkP6qjkr0/tfile.jpg)
특정 시점에이미지를 업로드할 때,사용자가 지정한 이미지에만앱이 접근할 수 있게 한 것입니다.아래 스크린샷처럼 말이죠."앱은 사용자가 선택한 사진에만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어느 정도까지 적용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일부 앱은 저런 화면이 뜨지 않고일부 앱은 저게 뜨던데..저거 구글인가요, 삼성인가요?어쨌든 모든 앱이 저런 식으로 제한받으면 좋겠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Y7T45/btsLMY3BimJ/czpK0pSfNNdZpFeDnRa7xk/tfile.jpg)
알테쉬 중 그래도 덜하다는 알리의 경우인데..자세한 건 PC웹에서 봐야 합니다.이용약관https://terms.alicdn.com/legal-agreement/terms/c_platform_service_agreement/20240406223307785/20240406223307785.html 이용약관terms.alicdn.com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2mMbK/btsKkIOC5AW/nxK0d8SVy5puw2UHF9d1w0/img.jpg)
1. 자기들은 회원등록 이래 모든 관리비 정보를 축적해 그 빅데이터를 이용하면서, 회원들은 자기집 관리비데이터를 다운받을 수 없게 하죠. 예를 들어, 이달 전기요금이 이만큼 나왔다면, 작년 이달, 재작년, 그 전 해 여름 전기요금은 얼마일까? 궁금해도 이 앱에서는 알 수 없습니다. 앱 설명에는 "작년 이맘때와 비교"라고 말하지만 그건, 2024년 9월분 고지서의 전기요금과 2023년 9월분 고지서의 전기요금을 비교한다는 것이지, 2023년 8월분도 안 나오고 2022년 9월분도 안 나옵니다. 2. 이건 KT나 알뜰폰회사들도 마찬가지죠. 요금과 사용량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면서 보여주지도 않고 회원이 자기 데이터를 종합해 다운받지도 못하게 합니다. 그리고 사실상 모든 "스마트 ○○○" IoT 회사들도 마찬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XItL/btsIXwoaqUk/7mHX6vzeSLkJzL1zjrHgj0/img.jpg)
해당하면 받으세요. www.gmarket.co.kr 지금부터의 마켓, G마켓할인 전 금액977,170원할인율7%899,000원 삼성 비스포크 RWP54421BF 직수형 냉온정수기 빌트인 색상선택 예약설치 무료배송 구매 735www.gmarket.co.kr * 이것말고도 지마켓, 옥션, 쓱닷컴(이마트 온라인몰 포함)에서 한동안 구매하지 않은 회원용 할인쿠폰이 나오기도 합니다(지마켓은 그것이 저걸로 바뀐 것). 둘 다 쿠폰받는 화면에 나오거나, 내 계정화면으로 들어가면 팝업으로 뜹니다. ** 알리익스프레스같은 중국몰의 공습이 너무 심각해져서 그런 것 같네요. 알리와 알리 판매자들이 개인정보보호는 1도 안 하는 건 저도 체감하고 있습니다. 알리에 뭐 주문하면 며칠 내로 주식리딩방문자, 도박권유문자, 결제사기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k0ywj/btsIS7oey4V/vLoNE1sqexRqPjf6BYkXo1/img.jpg)
클립보드에 저장된, 복사된 텍스트를 한 번에 지우는 버튼이 필요합니다. 지금은 한 번에 1개씩만 지울 수 있습니다. 중국앱이 점점 많이 파고들고 있고 특히 틱톡은 클립보드를 들여다본다고 하더군요. 보안문제로 필요한 기능입니다. 1. 한 번에 전부 지우기 2. 복사된 텍스트의 최대 유지 갯수를 지정하거나, 24시간이나 사용자가 지정한 며칠 지난 건 자동삭제하는 기능 * 갤럭시 굿락 키카페(keys cafe)도 마찬가지지만 그건 그래도 한번에 지우기 버튼은 있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Smae/btsImMszJwG/7PsyEyZi2wijxKkQIkYaV0/img.png)
공정거래위원회가 국내 통신판매 사업자 신고를 거부해온 테무를 전자상거래법 위반으로 판단했다. 테무와 같은 논리로 통신판매사업자 신고를 거부한 쉬인, 큐텐 등 다른 해외 e커머스 사업자들 역시 통신판매사업자 신고 대상으로 판단하고 조만간 후속 조치를 할 예정 - 머니투데이 2024.6.14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060414391663739 [단독]알리는 했는데 테무·쉬인 '거부'…통신판매업 신고 명령 내린다 - 머니투데이공정거래위원회가 국내 통신판매 사업자 신고를 거부해온 테무를 전자상거래법 위반으로 판단했다. 테무와 같은 논리로 통신판매사업자 신고를 거부한 쉬인, 큐텐 등 다른 해외 e커머스 사업자news.mt.co.kr 출처: YTN 뉴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s0ah/btsC34dC1eJ/N5rM46Hfs6eiX2Bka2KLdk/img.jpg)
뭐, 그렇다고요. ㅡ..ㅡa;;;;; 카카오톡이 무료라지만 어중간한 이유죠. 어떻게든 이용자간 시냅스를 만들려고 말을 이리 저리 바꿔가며 결국 정보주시고 서로 이웃하쇼 발악하는 페이스북이나 외국 SNS를 겪어보면 카톡은 양반이란 생각이 종종 들지만, 내 대화록을 로컬저장하고 싶어도 돈줘야 하고. (대부분 저장할 가치가 없다면 없기는 하지만, 그래도 그건 아니죠) 전화기 기변할 때 SMS, MMS 수천 건은 삼성 스마트 스위치같은 앱을 써서 무료로 이동되는데, 만약 카카오톡으로 대화했다면? 그 기록은 돈주고 백업하든가 아니면 날리는 것 아닌가요. 이 부분에 대해 분명하고 간단하며 안전한 방법이 있어야 합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JZbA/btsCyIvf01U/b8bVRkoMKu0CVdjY6nRk71/img.jpg)
이닥 초에 나온 것입니다. (보도참고) 오랫동안 이용하지 않는 인터넷서비스, 계속 이용할지, 탈퇴할지 꼭 확인하세요! - 온라인사업자는 자율적 휴면정책 마련 - 이용자는 잊고 있던 인터넷서비스 계속 이용 또는 탈퇴 여부 결정 - 개인정보 포털(www.privacy.go.kr) ‘웹사이트 회원탈퇴 서비스’를 활용해 지원 https://www.pipc.go.kr/np/cop/bbs/selectBoardArticle.do?bbsId=BS074&mCode=C020010000&nttId=9573 ㅡ 유효기간제 규정 삭제는 정보주체와 개인정보처리자의 의사를 존중하여 개별 서비스의 특성에 맞게 휴면고객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하도록 한 것이므로, 자사 서비스의 특성에 맞게 휴면정책을 개편해야 한다. ㅡ 국세기본법,..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13XvB/btsAUp4Aui2/LT1ONgbTLYOp8hn8k1ifIk/img.jpg)
마케팅 수신동의항목을 계열사별로 지정가능했던 것입니다. 보통은 통으로 표 하나 걸어놓고 전체동의를 요구하는 사이트가 많았거든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wleg/btsv8eG1Huw/LGdVVGQWp0ntXhSypmPrmk/img.jpg)
전에 삼성 스위치로 이게 됐던가? 해봐야 알겠는데, 만약 안 된다면, 따로 설정해주거나 적어두는 게 좋을 듯. 그런데 이게 AP(공유기)에 접속하지 않고 전화기에 수동저장이 됐던가? 모르겠다. 일단 공공와이파이나 공공기관 와이파이 중 몇 가지처럼 SSID만 확인하거나 SSID/pasdword만이라면 공유기에 SSID를 만들어서 모사하고 접속시켜 저장할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해볼 것.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1cdKB/btsiuJtDamJ/pPN84ur6XpZgfCGKeKr4ZK/img.jpg)
1. 공유버튼에 카카오톡이 없는 것도 재미있지만 PC웹 화면이라 그렇거니하고 생각할 수 있기는 합니다(카톡도 PC용 클라이언트가 있지만), 그리고 더 많은 SNS를 열거할 수도 있겠지만, 그냥 URL 카피도 있으면 좋을 텐데요. PC웹의 웹브라우저면 주소창 URL텍스트를 복사해도 되지 않냐고 말할 수 있을지 모릅니다만, 보통 그 창에 표시되는 URL은 각종 정보가 추가돼서 지저분하죠. 2. 그리고 또,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배송정보 표시를 고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이건 온라인 서점들 사이트도 마찬가지고 어떤 몰은 크게 실수한 다음에 고치기도 했는데.. 그러니까, 해당 지역 상세주소와 수취인 이름까지 표시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그 대신, 광역시로 해서 충분하면 광역시로 하고, 몰에서 더 자세하게 표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J7gl/btr7g8YWOl9/RrJMuEydr8ZmkaIFpjsiS1/img.jpg)
금감원 보도자료입니다. 하나카드쪽. 검색해보니 카드사마다 이런 거 전달하더군요. 금융감독원 소비자 주의경보 요약)■ 온라인 쇼핑몰 이용 시 개인정보 유출 주의 [소비자경보 2023-8호] 1. 카드 결제 시 주민등록번호 전체 숫자, 카드 비밀번호 네자리 등의 개인정보 입력을 요구한다면 의심하고 이를 거절하세요! 2. 해외 직구 사이트 이용 시 카드정보를 결제 페이지에 저장해놓는 행위를 삼가세요! 3. 해외 직구사이트 이용 시 ‘해외 온라인 거래용 가상카드’를 발급 받으시면 정보유출 위험으로부터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하나카드 이용자는) 원큐페이앱에서 ‘해외 온라인 안심결제’를 검색하세요. 4. 온라인 쇼핑 후 카드정보 피싱 등이 의심되는 경우 즉시 하나카드 콜센터(☎1800-1111)로 카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zFRjT/btr5aFRjY9P/iwWpEVxOOHANidlBpaaBLK/img.jpg)
스마트폰 카메라로 사진찍을 때, 카메라앱에서 위치정보를 넣지 말라고 설정하지 않으면 파일 EXIF 정보에 현재 위치를 저장하는 걸 알고 있을 겁니다. 이 사진이 원본 그대로 공유하거나 업로드, SNS에 올리면 사생활이 추적될 수 있습니다. 리사이즈나 크기조정 및 다른 편집을 하더라도, 그런 프로그램이나 앱이 EXIF정보를 지우지 않는 게 많습니다. 그래서 자기는 지웠다고 생각했는데 그렇지 않을 수가 있습니다. 주의해야 하는 부분. 그리고 스마트폰 카메라앱에서는 위치정보가 지워진 상태라도, 구글쪽에서 채우는 방법도 있는 모양. 사진 위치 관리하기 위치 추가하기 예상 위치 수정 또는 삭제하기 누락된 위치 추정하기 위치가 포함된 사진 공유하기 https://support.google.com/photos/an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d77Wx/btr0JONbQ3r/iaQzVxMSic86sr6QSAFv61/img.jpg)
블루투스 연결기능이 있는 혈압계는 그냥 기본기능(1회측정값만 보여주거나, 최근 몇 번 측정값만 메모리버튼을 눌러 보여주는 방식)만 있는 혈압계에 비해 단 1만원이라도 비싸다. 물론, 조금 고급모델이기는 하기 때문에 다른 기능도 약간이라도 좋은 게 달리기도 하고, 블루투스 연결은 굳이 안 써도 그만이기는 하다. 다만, 그냥 종이수첩에 혈압을 기록하겠다면 굳이 블루투스연결기능을 보고 구입할 필요는 없고, 2명이 혈압계 하나를 공유해 재겠다면, 블루투스연결은 까다롭거나 쓰지 못할 수 있다. 일단 오므론 혈압계를 보면, 오므론 커넥트라는 블루투스 연결 스마트폰 앱을 사용하는데, 아래 이미지는 오므론 공식몰( http://omronmall.co.kr/ )에서 가져온 것이다. 이건 삼성헬스앱에 등록된 기계처럼, 동..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uu6et/btrUDi61Q29/AntFK4AsBhhWLkSBAZ771k/img.jpg)
일단 과거탐색 기준 시간은 없군요. 구글이 설립되기 전까지 날짜지정가능. 그리고, 구글 크롬 브라우저의 방문기록 저장은 최근 90일분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그게 아니거나, 항상 그렇지는 않은 것 같더군요. 제 생각인데, 그건 구글에 개인정보기록을 동의하지 않았을 때인 것 같고, 동의해줬을 때는 무한정 과거까지 소급하는 게 아닌가하는 생각이 문득 들었습니다. 오늘 크롬 브라우저에서 과거로 스크롤다운해보니 90일치를 넘는 8월달것도 나왔습니다. 제가 모르고 있었습니다. 알고 보니, 이렇다고. https://myactivity.google.com/activitycontrols/webandapp?utm_source=my-activity 내 활동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내 활동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데이터를 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P3bkv/btrGUr4g4wr/MuzienRlVPjJGXtTtxAtDK/img.jpg)
이런 종류를 요구합니다 그리고, 앱에서 팔로잉을 한 번 터치하면 끄는(언팔로)하는 버튼을 찾을 수 없네요. 또한, 예전과 마찬가지로 개인정보공개를 많이 요구하고 또 현상태의 공개 비공개여부가 표시는 되는 것 같지만 직관적이지 못해 상태를 확신하기 어려웠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Ehth/btrD19cNKdh/WNLWYe0y5Fvfib6n5Lh2pk/img.jpg)
아래 권한을 "필수"로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위치정보, 전화, 파일접근, 카메라. 위 권한은 국민이 날씨정보를 이용하거나 제보하는 데 있어 편리하거나 관청이 편리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기상청이 날씨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하는 데 반드시 필요하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날씨앱을 켜서 ㅡ 사전에 즐겨찾기한 위치의 날씨만 볼 수도 있고 ㅡ 사진업로드하지 않을 사람도 있고 ㅡ 재난알림은 재난문자로 만족할 사람도 있을 겁니다. ㅡ 앱 자체가 사용하는 변수 임시저장을 위해 꼭 파일접근권한이 필요하지도 않을 겁니다. 왜 이걸 다 허용해야 쓸 수 있도록 한 거죠? 작년인가 그 전부터 기상청 날씨앱은 그런 권한을 요구해왔지만 동의해주지 않아도 어쨌든 이용할 수 있었습니다. 메뉴만 들어가면 그걸 요구해서 귀찮았지만. 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ZxlrI/btrrReeu473/Vqp3LWEmPRH9KQsYBanDv0/img.jpg)
옵트 인은 "사전에" 등록된 목록만 허가하는 것, 옵트 아웃은 일단 방치하고 "사후에" 그 결과를 보고 다음부터 불허할 것을 정해주는 것. 이메일을 옵트 인방식으로 설정하면 등록된 연락처에서 온 메일빼고 나머진 모두 수신거부하거나 스팸메일함에 넣어버리는 것. 옵트 아웃방식으로 설정하면 일단 모든 이메일일 받은 편지함에 오고, 그 중 스팸메일함에 보낼 것을 정해주면 다음부터 그렇게 하는 것.. 메일서비스 대부분은 옵트 아웃 방식을 기본 기능으로 갖고 있고, 단순 로직이나 인공지능이 스팸으로 분류하거나 많은 사람(crowd)이 스팸으로 신고한 메일은 자동으로 스팸메일함에 넣어버리고 이용자가 사후에 메일함을 확인하도록 하는 기능을 on/off할 수 있게 하거나 기본으로 넣는 곳이 있다. 예를 들어, 게임사이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3R28d/btrskuuhOVj/V1g9p71IWVFGFceYAsicKK/img.jpg)
그래프로 간단히 나오고, 그나마 얼마나 오래 전 자료까지 기록되는지 알 수 없습니다. 게다가, 확보한 데이터는 개별 가전제품에 종속돼서, 만약 제품불량으로 교환받아 기계를 새로 등록하면, 이전 기계의 에너지모니터링기록은 삭제됩니다. 이건 불합리하죠. 데이터는 제것이니까요. 그리고 내 기계가 사용한 전력량을 내게 제대로 수치를 보여주지 않는 것도 잘못입니다. 어차피 내 삼성계정에 저장하지 않습니까. 전력랑모니터 기능이 있는 비싼 가전을 샀지만, 내 냉장고 소비전력을 알고 싶으면 전력계를 새로 사야 하는 형편이 됐네요. 삼성전자는 개선해주기를 바랍니다. 이왕이면 자기 앱에 등록한 가전 에너지모니터링 데이터는 csv파일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해주기를 바랍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3WdS5/btroQGdMkld/tpWAK5kHunOo0iVNhZlOE1/img.jpg)
요즘 본 것 중 참 잘 적었네요. 알기 쉽고.. 한 가지 아쉬운 점이랄까, 설치화면에서는 어느 앱이든 대부분 그런데, 개선하면 좋겠다싶은 부분은, 핀치투줌으로 확대해 읽을 수 없다는 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5nGf/btrinsZmNXv/jxRkjthhlqlojHPz3dydmk/img.jpg)
기본으로 두면 공유기나 ISP가 제공하는 DNS가 되지만, 클라우드플레어나 다른 것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네이버 웨일이지만 다른 브라우저도 비슷한 게 있을 겁니다. 설정> 개인정보 보호> 보안> 보안 DNS 사용 > 다음 항목 사용 저 중 하나를 고를 수 있게 돼있고, "맞춤설정"을 누르면 아마 직접입력가능할 듯. 클라우드플레어(Cloudflare)정도면 쓸 만합니다. 해주세요. 어떤 이유로 DNS수준에서 접근차단된 웹사이트를 여는 데 도움될 수 있습니다. ※ 저 기능의 본래 목적은 평범한 개인들이 생각하는 그런 것과는 조금 다르다고 합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pdaJk/btrc4E5qLuW/k6WbZEmCAf7gK3nBGRdRg1/img.jpg)
그런데 그 사이트들의 행태에는 종류가 있더라고요.. 몇몇 외국사이트를 보면 이런 식이더군요. 1. 동의만 요구하는 유형 "OK. I Agree" 이것밖에 누를 게 없습니다. 하나 더 있다고 한다면 Read more 정도? 동의하지 않으면 물론 그 팝업은 계속 남아있죠. 화면 일부를 가린 채로 서핑은 가능합니다. 2. 동의하지 않으면 서핑불가능한 유형 에, 마치 "18세(19세) 이상인가요?" 확인팝업처럼, 동의하지 않음을 클릭하면 검색엔진이나 Sorry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3. 전체동의와 세부동의 설정화면이 있는 유형 팝업에는 전체동의버튼과 세부설정버튼이 있고, 세부설정버튼을 누르면, 세부적으로 쿠키 항목마다 동의/부동의를 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냥 X버튼이나 그 비슷한 것을 누르면 어떻게 하..
Viewed Posts
|
Recent Comments
|
Recent Pos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