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공공기관
도구
- 스마트폰,태블릿 화면크기비교
- 양쪽 윈도우키를 한영한자키로(AutoHotKey)
- 매크로: Robotask Lite
- 파일이름변경: ReNamer Lite
- 파일압축: 반디집
- 공공서식 한글(HWP편집가능, 개인비영리)
- 오피스: 리브레오피스(LibreOffice)
- 텍스트뷰어: 이지뷰어
- PDF: FoxIt리더, ezPDF에디터
- 수학풀이: 울프램 알파 ( WolframAlpha )
- 수치해석: 셈툴, MathFreeOn
- 계산기: Microsoft Mathematics 4.0
- 동영상: 팟플레이어
- 영상음악파일변환: 샤나인코더
- 이미지: 포토웍스
- 이미지: FastStone Photo Resizer
- 화면갈무리: 픽픽
- 이미지 편집: Paint.NET, Krita
- 이미지 뷰어: 꿀뷰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검색
- KS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해외시장뉴스
- 엔팩스(인터넷팩스발송)
- 구글 드라이브(문서도구)
- MS 원드라이브(SkyDrive)
- 네이버 N드라이브
- Box.com (舊 Box.net)
- Dropbox
- 구글 달력
- 모니터/모바일 픽셀 피치 계산
- Intel CPU, 칩셋 정보
- MS윈도우 기본 단축키
- 램디스크
- 초고해상도 관련
- 게임중독
- 표준시각
- 전기요금표/ 한전 사이버지점
- HWP/한컴오피스 뷰어
- 인터넷 속도측정(한국정보화진흥원)
- IT 용어사전
- 우편번호찾기
- 도로명주소 안내, 변환
- TED 강연(네이버, 한글)
- 플라톤아카데미TV
- 세바시
- 명견만리플러스
- 동아사이언스(과학동아)
- 과학동아 라이브러리
- 사이언스타임즈
- 과학잡지 표지 설명기사
- 칸아카데미
- KOCW (한국 오픈 코스웨어) 공개강의
- 네이버 SW 자료실
- 네이버 SW자료실, 기업용 Free
- 계산기
공공데이터베이스
목록
PC Geek's
주요 세금에 관한 간략한 카드뉴스식 소개,세금 및 연중 납세시기 안내> 조선시대 등 옛날 세금제도 소개 근로장려금부가가치세 연말정산 컨설팅 등입니다. https://blog.naver.com/ntscafe
"1950년대~1990년대, 컴퓨터 엔지니어의 이야기"라고 요약할 수 있는 책. 슈퍼컴퓨터를 사랑한 슈퍼맨 시모어 크레이 이야기찰스 J. 머리 지음 | 이재범 옮김 | 지식함지 | 2015년 08월 11일 출간 https://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barcode=9791195258444 프롤로그: 교차로에서 91. 암호해독가들 182. 인큐베이터 383. 시모어 684. 엔지니어의 천국 1145. 돼지 여물통 1466. CRAY-1 1817. 크레이의 방식 2128. 새로운 천재 2409. 정리 272 인용 하나: "크레이는 기계의 원천 성능을 망가뜨리는 큰 명령어 세트를 원하지 않았다.또한 그는 호환성도 원하지 않았다. 그에게 호환성은 독약이었다.그것..
권중달교수님의 자치통감 완역판(서문 + 본문 294권 +부록)은 종이책과 전자책으로 나와 있습니다. 종이책은 1질 A세트 + B세트 또는 각권, 전자책은 1질, 또는 전 294권 + 서문과 부록 각권입니다. 그러니까, 전자책은 원하는 연대의 원하는 내용이 든 권만 골라서 구입 가능합니다. 그 외 같은 저자의 매우 짧은 분량 해설본으로 평설자치통감이 종이책과 전자책 각각 8권짜리로 있습니다. 전공자가 아니면 평설자치통감으로 시작하는 편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아래 책은 칼럼인데 무료책으로, 몇몇 온라인서점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 중 하나입니다. 차 례정년퇴임에 부쳐새 삶 시작하기에 주저 없이 축하를 건넵니다 머리말역사라는 창을 통해 세상 보는 즐거움 제1부 역사와 현실, 그 경계에 서서고별강의 -..
조선왕조실록을 공개한 정부 사이트입니다. 사이트 하단에 국사편찬위원회라고 되어 있군요. 원래 조선왕조실록이 디지털로 번역된 것은 약 15년 전 쯤으로 알고 있습니다. 당시 서울시스템에서 이런 사업을 주도했는데, 각 대학에서 사기는 했지만 그걸 네트워크로 서비스한 데다가, 심지어 국사전공 교수와 학생들까지도 백업 시디를 사 쓰는 바람에 망한 사업이 됐다는 얘긴 들은 적이 있습니다. (;;;) 90년대에 서울시스템에서 이런 사업 주도한 게 여럿 있었다고 기억하는데.. 여담은 이쯤 하고, 주소: http://sillok.history.go.kr/main/main.jsp 위 사이트에서 조선왕조 실록을 볼 수 있습니다. 국역은 한글판을 말하고, 원문은 원문입니다. 그리고 이미지는 스캔본. 셋을 다 보면 아래와 같..
Viewed Posts
|
Recent Comments
|
Recent Pos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