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공공기관
도구
- 스마트폰,태블릿 화면크기비교
- 양쪽 윈도우키를 한영한자키로(AutoHotKey)
- 매크로: Robotask Lite
- 파일이름변경: ReNamer Lite
- 파일압축: 반디집
- 공공서식 한글(HWP편집가능, 개인비영리)
- 오피스: 리브레오피스(LibreOffice)
- 텍스트뷰어: 이지뷰어
- PDF: FoxIt리더, ezPDF에디터
- 수학풀이: 울프램 알파 ( WolframAlpha )
- 수치해석: 셈툴, MathFreeOn
- 계산기: Microsoft Mathematics 4.0
- 동영상: 팟플레이어
- 영상음악파일변환: 샤나인코더
- 이미지: 포토웍스
- 이미지: FastStone Photo Resizer
- 화면갈무리: 픽픽
- 이미지 편집: Paint.NET, Krita
- 이미지 뷰어: 꿀뷰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검색
- KS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해외시장뉴스
- 엔팩스(인터넷팩스발송)
- 구글 드라이브(문서도구)
- MS 원드라이브(SkyDrive)
- 네이버 N드라이브
- Box.com (舊 Box.net)
- Dropbox
- 구글 달력
- 모니터/모바일 픽셀 피치 계산
- Intel CPU, 칩셋 정보
- MS윈도우 기본 단축키
- 램디스크
- 초고해상도 관련
- 게임중독
- 표준시각
- 전기요금표/ 한전 사이버지점
- HWP/한컴오피스 뷰어
- 인터넷 속도측정(한국정보화진흥원)
- IT 용어사전
- 우편번호찾기
- 도로명주소 안내, 변환
- TED 강연(네이버, 한글)
- 플라톤아카데미TV
- 세바시
- 명견만리플러스
- 동아사이언스(과학동아)
- 과학동아 라이브러리
- 사이언스타임즈
- 과학잡지 표지 설명기사
- 칸아카데미
- KOCW (한국 오픈 코스웨어) 공개강의
- 네이버 SW 자료실
- 네이버 SW자료실, 기업용 Free
- 계산기
공공데이터베이스
목록
PC Geek's
SSD, 논리파티션이나 물리디스크 전체를 한 번 읽어주거나 써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이 주장하기를, 1) 하드디스크는 억세스를 하지 않고 오래 놔두면 디스크 플래터 위 마그네틱이 약해지고 2) SSD, usb메모리는 억세스하지 않고 오래 놔두면 마찬가지로 데이터가 날아갈 수 있다 그러니 가끔 전체를 읽어주거나(플래시메모리), 읽고 써주면(하드디스크) 도움이 된다. 이런 말을 하고 있네요. 설명서에도 플래시메모리는 쓰기 수명이 있으니 프로그램을 쓸 때 읽기만 해줘도 된다고. (usb드라이브, 메모리카드는 몰라도 요즘 나오는 SSD는 가끔 한 번씩은 전체쓰기를 해줘도 별 문제는 없습니다. 하지만 저번 삼성 드라이브 읽기성능이야기때같은 경우라면 이 유틸리티에서는 read only mode로 해도 될 ..
CPU-Z, GPU-Z라는 프로그램이 있었고 이제 SSD-Z라는 프로그램까지 나왔습니다.제작사는 다르겠지만 CPU-Z가 유명하다 보니 이렇게 붙은 모양. ㅎㅎ 사이트 링크입니다.http://aezay.dk/aezay/ssdz/ 아직 베타버전이라서 실행파일과 설명 문서파일이 압축파일로 묶여 있습니다.아래는 실행 스크린샷. 클릭하면 원래 크기로 보입니다.
1.250기가 SSD에 여유가 40기가 정도 남아있네요. 페이지 파일을 60기가대를 잡아놓기는 했습니다만, 그걸 풀어도 120기가가 아슬아슬할 정도입니다. 좀 절약해주면 별 문제는 없기는 하지만..관리를 해주지 않고 편하게 쓰려면 240기가 이상은 돼야겠네요. 2.RAM, 가상 메모리, 페이지 파일 및 Windows의 메모리 관리 - 마이크로소프트 32비트 윈도우에서 /PAE 옵션쓰기., : 램 4기가짜리 컴퓨터라도 이 옵션으로 몇백메가 정도는 쓸 수 있다고 하더군요.(쓸 수 있는 지 여부는 하드웨어 구성에 따라 달라진다지만) 3.윈도우OS에 필요한 램 크기에 관한 어떤 글 링크그러고 보면.. 이하 여담입니다. 편하게 적습니다. 윈도우 3.x를 쓸 때는 램 4메가면 한글윈도우가 돌아갔다.윈도우 3.11 ..
저번 속도저하문제 이후 패치가 나왔죠. 그래서 괜찮아진 것 같기는 한데, 약 2~3천 개 정도 사진파일이 있는 폴더를 열면 윈도 탐색기 썸네일 표시가 버벅이더군요. 좀 기다려야 마지막 파일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원래 그런가? 그리고 얼마 전에 삼성 매지션 업데이트가 새로 나왔습니다. 래피드모드를 켜놓은 상태였는데.. 시키는 대로 하세요. 저는 확인버튼을 눌러 그대로 진행했습니다. 여기쯤에서 재부팅 설치 계속 여기서 재부팅. 재부팅하기 전에는 재부팅된다고 알림창에 써주면 좋을 텐데. 앞서 부팅될 거라고 하긴 했습니다만, 친절한 프로그램은 재부팅 직전 알림에 컴퓨터 리셋한다고 알림을 주죠. ※ 저는 인덱싱을 활성화해놓았습니다. 재설치하며 RAPID모드를 끈 김에 이건 그냥 끈 채로 두었습니다. 오버프로비저..
는 교훈을 얻었습니다. 저는 보통 사람이니까, 실행하고 디스크를 날려먹고 나서 말입니다. ㅠ.ㅠ 몇 달 전에 마이크론(Micron) M500 120GB SSD를 샀다고 했습니다.사고 나서 얼마 뒤, 프리징이 의심되는 증상이 있었는데 그냥 넘어갔더랬죠. 기록을 뒤져보니 적어놨네요.컴퓨터 자체가 구형이기도 했고.. AMD기도 했고.. 그래도 SATA2 였는데. 얼마 전부터 자꾸 체감이 되고, 한 십 분 정도 간격으로 얼었다 풀리는 게 짜증나서혹시 이거 OS가 트리밍을 안 해주나? 이런 생각이 들어 인터넷에서 수동 트림 프로그램을 찾아보았습니다.그리고 발견한 어떤 프로그램, "이 화면이 나오면 해봐도 될 거예요" 라길래 해봤죠. ㅡ.ㅡa이하, 편하게 적습니다. 생각없는 실행 결과는 그 프로그램 자체는 정상적인..
앞서, 프리징같은 증상이 생겼다고 몇 번 메모한 적 있다.그래서 펌웨어 업데이트를 해보려 찾아본 결과.결론부터 말하면, 내것은 업뎃필요없다. mu05 최신버전임.바이오스 전원 옵션을 건드려봐야겠다. ( 쿨엔조이 참고 ) 마이크론 사이트에선,MU05 버전 업데이트 프로그램과 문서가 있다. 문서는 한글은 지원하지 않으니 영어판을 봐야 한다. 추가. 마이크론 웹사이트에서 이걸 받으려면 회원가입해야 하는데, 가입해도 되긴 하겠지만, 마이크론 포럼 웹사이트에 직접 링크가 있으니 참고. 나중에 완전 고장난 다음에 혹시 이걸 안 해줘서 문제가 생겼나 생각도 했는데, 예전에 이 글을 썼으니 펌업을 안 해서 생긴 문제는 아니다. SSD가 그냥 고장난 것. 설명서에는 별다른 건 없다. 프로그램을 실행한 다음 시키는 대로 ..
이런 기술적인 내용은 전에는 작은 랜카드같은 걸 팔 때도 종이설명서에 들어있었는데요즘은 종이를 절약하려는 지 박스에 없더군요.PDF설명서입니다. 맨 앞에는 제품번호 읽는 법이 나옵니다.그리고 그 다음에는 동작얼개와 커넥터 핀 설명.그 외, 성능과 안정성 관련 사양 공개및 고지.끝에는 프로그래밍 관련 내용같은데 길어서 발췌하지 않았습니다. 일반용으로 쓸 때,120기가짜리는 72TB정도가 보증된 쓰기수명. 조건이 좋으면 125TB. 소비전력도 용량따라 다른데, 120기가짜리는 아이들 80밀리와트, 억세스 평균 150밀리와트.아마도 최대속도 순차전송조건같은(저 위에 읽기 500나온 조건) 다른 기준에서는 최대 2.1와트. 이것보다 많이 먹지는 안을 거라는 최고값으로 놓은 모양(인텔번같은). 마이크론 SSD의 ..
이 인간들은 회사 안에 국어쓰는 놈이 없나? 저 화면에서, 하이버네이션 모드가 지금 활성화돼있을까요, 비활성화돼있을까요?수퍼페치는 활성화돼있을까요, 비활성화돼있을까요? "활성화","비활성화"라 쓴 버튼을 배치하는 대신"활성화합니다", "비활성화합니다" 버튼을 배치하거나현재 설정 상태를 같이 표시해주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사용자가 자신이 하는 행동으로 무엇이 바뀔 지 예상할 수 있도록 UI를 구성해줘야 좋지 않습니까. 안 그래요? 그런데 저 프로그램을 쓴 지 1년이 지났지만 그런 개선은 없더군요.지금도 헛갈려요. 840EVO 가 느려지는 버그를 고치는 프로그램이 나왔을 때도, 실행했더니 순 영문만 올라와서 멍했는데 이 녀석들 정말..
HD Tune 점수가 떨어진 건 알고 있었는데, SSD에 넣은 가상머신을 복제했더니 엄청 느린 걸 알게 됐습니다. 그리고 파일이 많은 임시폴더도 썸네일 만드는 게 느려진 걸 알게 됐고. 그래서 찾아봤습니다. 삼성 매지션 프로그램은 새 펌웨어를 알려주지 않습니다. 삼성전자 사이트에 들어가봐야 나옵니다.http://www.samsung.com/global/business/semiconductor/minisite/SSD/kr/html/support/downloads.html 매뉴얼도 영어. 한국회사면서도 한글에 인색해요. 혹시 삼성의 SSD사업부 소프트웨어 개발인재는 인도사람? 이걸 까는데 이런 프로그램입니다.시작하면 1단계에서 펌웨어 업데이트를 합니다. 디스크 펌웨어 업데이트이므로, 그 다음에는 무조건 재시..
KBench 22일자 뉴스에 840 EVO 시리즈가 이상이 있는 모양이란 기사가 올라왔고, 지금 말이 퍼지고 있는데, 저 기사에 따르면 삼성에서는 펌웨어 업데이트를 준비하고 있다고 합니다. 제조사가 적절한 해결책(?)을 내놓을 때까지 삼성 SSD 중 적어도 TLC 메모리를 사용한 840, 840 EVO 시리즈는 구입하기보다는 일단 지켜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기사에 "저장한 지 오래된 파일만 읽기가 느리다"는 얘기는 어쩌면 알고리즘 개선(펌웨어 업데이트)으로 해결할 수 있을 지도 모르겠고, 혹시 포맷하면 괜찮아질 지 궁금증을 불러일으키는데 그렇다고 마이그레이션 다음 날려보기는 참 번거롭네요. ㅎㅎ 저는 기다리렵니다. HD TUNE 프로그램으로 읽기 테스트를 하면 구입시 초기와 달리널뛰기 벤치마크 곡선..
업데이트를 해주었습니다.설치 과정, 그리고 설치 후 찍은 스크린샷입니다.뭐가 바뀌었는 지 한 번 둘러보세요. 시스템 정보수집 허용(필수) 시리얼 등록(선택) 최적화. 처음부터 SSD에 윈도우를 설치해준 사람은 이런 거 필요있을까 잘 모르겠음.하지만 하드디스크에서 사용하던 OS를 SSD로 떠서(마이그레이션) 사용하는 사람들은 필요할 지도.멋대로 바꿔서 불편한 것도 있고, 모아놔서 편한 것도 있고 해서 불만글도 썼는데 이젠 그냥 저냥 귀찮.. 해달라는 대로 해줬음. 딱히 쓸모가 있는 지는 모르겠음.이게 새로 만들어진 건가, 이전부터 있던 건가 모르겠다. RAPID 모드. SSD의 일부를 램에 캐싱하는 것. SSD가 DDR2시절 램디스크만큼 빠르지만 그래도 DDR3 램디스크는 더 빠르니까. 끝으로, 이건 지난..
크리스탈 디스크마크와 AS SSD입니다. 시스템 사양(AIDA64)부터 성능테스트 스크린샷(윈도우 체험지수, CrystalDiskMark, AS-SSD)입니다. 1. 먼저 시스템. 구형 중의 구형입니다. 윈저3800+ 2.0GHz를 오버클럭해 4600+로 표시된 것. 하드디스크에 설치된 윈도우를 마이그레이션 툴로 파티션 복사해넣고 부팅한 것. 드라이버는 따로 깔지 않았습니다. 2. SSD 상세사양 3. 성능 체험지수는 7.6 정도로 나왔고 (이 컴퓨터의 낮은 사양, 그리고 별로 좋지 않을 AMD SB700 사우스칩셋을 쓴 SATA2포트란 점을 감안해야 합니다) 역시 SATA2 연결에서, 크리스탈 디스크마크는 읽기 252가 나왔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SATA3포트에 물려 한 벤치와 비교하면, 순차 쓰기 성..
중국산 무료 프로그램. 이 글을 쓰는 시점에는 까는 데 별 문제 없었음.제작사 사이트 및 다운로드 링크: http://www.disk-partition.com/free-partition-manager.html 1. OS Migration왼쪽 세로메뉴에서 Migrate OS to SSD or HDD 선택. 그러니까 SSD든 HDD든 그냥 새 디스크로 운영체제 파티션을 옮기는 메뉴임. 아래 화면에서는 디스크 1이 새로 물린 SSD, 디스크2가 지금 부팅하드. 마이그레이션 시작. 어디로 옮길 지 지정. 여기서는 당연히 비어 있는 새 SSD 선택(부팅하드는 선택지에 안 나온다) SSD는 120기가인데 하드디스크의 C드라이브는 55기가이므로, OS를 넣은 다음 파티션을 어떻게 할 것인지 묻는 화면이다. 그냥 그대..
삼성은 이런 요구 없었거든요. 그래서 마이크론이 건방지다고 생각했습니다.삼성 SSD는 2mm 어댑터는 없지만 설치 시디는 줍니다. 그 시디 안에는 마이그레이션 툴도 들어있고 SSD매니저 프로그램도 들어있죠. 그런데 마이크론은 그런 거 없는 주제에, 제조사 웹사이트를 찾아가서 support page 에 들어가면 기껏 하는 말이 로그인.. 에휴, 장사하고 싶은 걸까요. -_-; M500은 기업납품용은 아니고 소비자용인 것 같은데.. http://www.micron.com/products/solid-state-storage/client-ssd#fullPart&306=4 물론, HDD -> SSD 로 시스템 부트파티션을 옮겨주는 마이그레이션프로그램은 무료 툴도 많아요. SSD관리 프로그램 까짓거 윈도우 7이상이..
전에 32GB짜리를 메모한 적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요즘 최저가로 올라오는 128GB짜리입니다. 제조사 홈페이지: www.adata-group.com JMicron JMF661 컨트롤러 사용AS SSD 벤치로 읽기 360, 쓰기 130 정도. 지금 국내 시장에는 이것보다 몇 천 원 위에, Sandforce SF-2281 칩셋을 사용한 SP900 시리즈가 나와 있습니다. 웬만하면 그 쪽이 나으리라 생각합니다. 새 모델이고, 칩셋 평판도, 쓰기속도도 그 쪽이 낫거든요. 하지만 벤치를 보면 글쎄요. 삼성 840 EVO 120GB vs ADATA SP900 128GB: 음.. 이런 걸 보면 8만원대 초에 SP900 사느니 마이크론 M500사거나 9만원대에 840 EVO사는 게 속편할 듯. 다른 벤치는 더 나은 ..
트랜샌드 사이트에 따르면전송률만 보면 SSD 320이 SSD 340보다 나은 모델같다.SSD 320은 샌드포스 칩셋, SSD 340은 JMicron 칩셋이다. JMicron 667H 라고 해서, 그 계열에선 무난한 모양.SSD 340 128GB짜리의 읽기 쓰기 성능은 마이크론 M500 (이건 마벨 칩셋이다) 정도는 나오는 모양. 다나와 사용기에 흑산님이 올린 내용을 보면, 테스트 시스템은 이렇다고 한다.펜티엄 G3220, 램 4GB, 애즈락 H81M-DGS R2.0, 그리고 윈도우7 64비트. 내가 생각하고 있던 마지막 컴퓨터 업그레이드 예상 사양과 비슷해서, 크리스탈디스크마크 결과도 눈여겨봤는데,순차 읽기 472 쓰기 146, 랜덤 읽기 29, 쓰기 86에 QD32는 264/145전에 내 주력 본체에 ..
삼성 매지션 요즘 버전 메뉴를 열어보면 나오는 기능입니다.옛날 탐스하드웨어 리뷰에서 마이크론것이 삼성보다 보안면에서 약간 낫다고 말하면서 삼성것이 보완될 거라 했던가. 그게 생각나서 메모해둡니다. 저기 간단히 붙는 설명을 보면, Class 0 은 컴퓨터의 BIOS에서 지원하는 경우TCG Opal 은 어떤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한 모드. 삼성, 마이크론, 그리고 다른 회사들도 이런 모드가 있다고. Encrypted Drive 는 지정한 방식으로 완전히 초기화한 다음 OS부터 설치해야 한다네요.
위 제품명 태그를 클릭하면 과거 벤치글 요약을 볼 수 있습니다.아래 스크린샷은 마이크론 사이트에서. 120GB 짜리는 읽기 500MB/s 이하, 쓰기 130MB/s 이하, 랜덤IOPS 62000/35000 마벨 컨트롤러를 사용했습니다. 120GB, 240GB 모두 요즘, 브랜드 SSD 중에 가장 저렴하게 풀리고 있습니다. 쓰기 속도가 120GB짜리는 과거 삼성840급이란 게 아쉽습니다만, 포한 가격대가 삼성 840EVO 병행수입품보다 싸고, 소위 쓰기속도가 더 빠른 듣보잡 브랜드와 비슷한 수준입니다(마이너 브랜드보다는 안정성이 낫지 않겠냐는 기대를 받는 상품이죠). 240GB정도 되면, 쓰기 속도도 SATA2급은 되니 봐줄 만 합니다.
Viewed Posts
|
Recent Comments
|
Recent Pos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