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공공기관
도구
- 스마트폰,태블릿 화면크기비교
- 양쪽 윈도우키를 한영한자키로(AutoHotKey)
- 매크로: Robotask Lite
- 파일이름변경: ReNamer Lite
- 파일압축: 반디집
- 공공서식 한글(HWP편집가능, 개인비영리)
- 오피스: 리브레오피스(LibreOffice)
- 텍스트뷰어: 이지뷰어
- PDF: FoxIt리더, ezPDF에디터
- 수학풀이: 울프램 알파 ( WolframAlpha )
- 수치해석: 셈툴, MathFreeOn
- 계산기: Microsoft Mathematics 4.0
- 동영상: 팟플레이어
- 영상음악파일변환: 샤나인코더
- 이미지: 포토웍스
- 이미지: FastStone Photo Resizer
- 화면갈무리: 픽픽
- 이미지 편집: Paint.NET, Krita
- 이미지 뷰어: 꿀뷰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검색
- KS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해외시장뉴스
- 엔팩스(인터넷팩스발송)
- 구글 드라이브(문서도구)
- MS 원드라이브(SkyDrive)
- 네이버 N드라이브
- Box.com (舊 Box.net)
- Dropbox
- 구글 달력
- 모니터/모바일 픽셀 피치 계산
- Intel CPU, 칩셋 정보
- MS윈도우 기본 단축키
- 램디스크
- 초고해상도 관련
- 게임중독
- 표준시각
- 전기요금표/ 한전 사이버지점
- HWP/한컴오피스 뷰어
- 인터넷 속도측정(한국정보화진흥원)
- IT 용어사전
- 우편번호찾기
- 도로명주소 안내, 변환
- TED 강연(네이버, 한글)
- 플라톤아카데미TV
- 세바시
- 명견만리플러스
- 동아사이언스(과학동아)
- 과학동아 라이브러리
- 사이언스타임즈
- 과학잡지 표지 설명기사
- 칸아카데미
- KOCW (한국 오픈 코스웨어) 공개강의
- 네이버 SW 자료실
- 네이버 SW자료실, 기업용 Free
- 계산기
공공데이터베이스
목록
PC Geek'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zDjDJ/btqEPVE7jZw/Bf4Z3fuCq2LFCVYMuJYlc0/img.jpg)
비온 직후 구름낀 흐린 날이라도 실외에서는 화면 밝기 자동으로 두면 밝기는 최대로 자동조절. OLED 화면에서 야간모드/다크모드일 때, 용도에 따라 약간이나마 전기절약이 될 것 깉은데.. 만약 그렇다면, 아이폰이 유행시켜 전세계 스마트폰이 따라한, 흰색배경 검정색글씨는 OLED화면시대의 친환경 사용법에는 맞지 않는 스타일일까? 소비전력을 재보면 이렇다. 배터리기록앱으로 대강 본 것이다. 흰색배경일 때 전화기 소비전류가 두 배가 넘는다. 안드로이드9 파이에서 야간모드 활성화 메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t141R/btqFyfKHBSv/kE2IgUlWGUsPXKU19Q0ph1/img.jpg)
이거 적용대상 가전범위를 확대해 추가시행할 때, 정부가 잘못한다고 비판이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300만원짜리 비싼 가전은 10%환급안해줘도 전기료 절감효과만으로도 유인이 되고, 비싸고 전기먹는 가전일수록 그런 보조금이 없어도 생산자와 소비자가 이득을 보기 때문에 알아서 사고 팔기 때문입니다. 그런데도 강행하더니 결국 돈 다 써간다네요. 왜 주위에서 다 말리는 바보짓을 할까요. http://naver.me/FSKDbYDX 으뜸가전 환급 '불티'…추가 재원 '목청' '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액'이 빠른 속도로 소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경기 보완 측면에서도 '내수 진작책'과 '제조업 살리기'를 위한 추가 재원 마련이 요구된다. 으뜸효율 가전 환급 사업은 고�� n.news.naver.com 기사는 대기업특혜냐..
작년 연말에 한 것과는 별개입니다. 취지는 좋은데, 한도가 20만원에서 30만원으로 늘어나면서 일각에서 '과소비를 조장하는 빈익빈 부익부에, 대기업에 유리한 정책'이라며 비판하기도 했죠. 아무래도 에너지소비효율등급 1등급 가전제품 중 혜택을 새로 더 받게 된 200~300만원짜리 가전이라면 주로 삼성 LG같은 대기업제조품으로 최신기술을 적용해 비싸고 용량과 덩치가 큰 가전제품이다 보니. https://rebate.energy.or.kr/kr/info/info.htm 자세한 내용은 이 링크로 들어가보세요. ○ 사업기간은?구매 : ’20. 03. 23. ~ ’20. 12. 31.신청 : ’20. 03. 23. ~ ’21. 01. 15.※ 재원 소진 시 구매 및 신청이 조기 마감됨 ○ 어디서 구매/신청?구매는..
요즘도 몇몇 언론사 웹사이트는 그리드 소프트웨어라도 얹었는지, 아니면 웹사이트를 엉터리로 짰는지 CPU점유율이 상당한 곳이 많습니다. 보통은 그 탭이 그 창의 전면에 있을 때 CPU를 처묵처묵하는데, 어떤 사이트는 백그라운드에서도 CPU를 잡아먹습니다. 심하게는 슬금슬금 논리코어 하나를 다 먹죠. 백신개발 그리드 기부라면 참지 이건 참.. 저렇게 브라우저 자체가 먹어치우는 건 제 실력가지고는 어쩔 수 없지만,열어놓은 웹사이트들이 시키지 않은 뭔가를 하며 컴퓨터 쿨러를 위잉하고 돌리는 경우에는 탭을 닫아줘야죠. 크롬이나 크로뮴 계열 웹브라우저라면 shift-ESC 키를 누르면 작업관리자 창이 뜹니다.그리고 CPU탭을 눌러 정렬해보면 알 수 있습니다. 꽤 많은 열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모질라 파이어폭스는 ..
2012년 기사) 전기를 적게 쓰면서 더 힘차게 빨아들이는 기술이 어렵기 때문.대개는 모터의 소비전력에 비례하고, 사용시간이 짧기 때문이라고. 청소기는 왜 에너지 효율 1등급이 없을까? 업계 "제품 특성상 효율보다 '흡입력' 등에 더 중점" 아이뉴스24 2012.10.06 2012년기준 2등급까지는 있지만 1등급은 없음.기준을 마춰 전기적게먹게 할 수는 있지만, 그럼 힘도 약해지니 안 팔림. 2020년 업데이트)2020년초 기준으로, 한국에너지공단에서 전기진공청소기 효율 1등급받은 제품을 찾아보면,2011년에 삼성전자에서 많은 모델을 1등급받은 기록이 보인다. 그리고 그것이 다다.1등급먹은 21개 모델 전부 다 삼성전자가 2010~2011년에 받은 것이다. 클릭하면 원래 크기로 보인다 하지만 2등급으로 ..
관심있게 봐야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부분입니다. 전기용품 복지할인 가구에 대한 가전제품 구매기간은 지난 달 말로 끝났고 이달 15일까지 환급신청받습니다. 지금은 전국민대상 구매기간입니다. 연말까지 구매한 제품 중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 환급신청가능한 기간은 내년 초인 2020년 1월 15일까지이며, 이런 종류 정부사업이 그렇듯이 재원소진시 조기마감됩니다.https://rebate.energy.or.kr/복지할인가구대상 환급신청사이트 https://rebate.energy.or.kr/kr/main/main.html 복지할인 비대상인 사람대상 환급신청사이트 https://everyone.rebate.energy.or.kr/kr/main/main.html간단한 제도같지만 신청매뉴얼까지 있고.. ;부가세포함가격..
어떤 스마트플러그를 가지고 있다. (내가 써본 브랜드는 3가지 이상이다) ABC브랜드라고 하자. 이 스마트플러그는 타이머 예약, ON/OFF 예약을 할 수 있지만, 조건부 예약은 제한적이고, 반복 예약은 요일지정 정도다. 만약 하루 중 반복을 많이 하고 싶으면 그 반복만큼 일정갯수를 수동입력해야 한다. ( 켜는 시간 일정 + 끄는 시간 일정 ) x 반복 횟수. 예를 들어, 위와 같은 기계식 절전타이머는 하루 24시간을 15분단위로 켰다 껐다 할 수 있다. 1시간에 돌기가 4개 있어서 그걸 젖히거나 숙이는 식으로 정한다. 따라서, 만약 하루 24시간 중 8시간동안 15분 켜고 15분 끄는 일정을 만들고 싶다면, 원하는 8시간분에 대해서만 15분단위로 돌기를 젖히면 된다. (보면 알겠지만 스마트플러그에 있는..
요즘은 스마트플러그가 대세지만, 재미있게도 스마트플러그라고 나오는 것들이, 바로 저런 기계들이 하는 일을 완전히 대신해 구현한 것은 또 별로 없습니다. 대기업과 스타트업들은 전통적인 이 업계 사람이 아니어서인 것 같습니다. 하나는 자파몰이라는 데서 산 것, 하나는 세광전자것. 1. 돌기 하나의 단위는 15분이고, 바깥으로 젖혀놓으면 ON, 안쪽으로 들어와있으면 OFF 입니다. 2.
스위치가 달려 있는 멀티탭은, 전화기 충전포트가 달렸거나 스마트플러그기능이 있는 것들은 어차피 전원공급회로가 필요하니까 스위치도 LED로 달아놓은 것이 가끔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 멀티탭은 스위치가 하나든 개별접지든 LED는 사용하지 않고 네온스위치를 씁니다. 네온스위치속에 있는 작은 불 하나가 먹는 전력은 어느 분이 측정한 바에 따르면 0.1~0.2W정도로 작다고 합니다. 그리고 제가 멀티탭스위치를 하나씩 켜보면서 전력측정기로 재본 결과도 그렇게 다르지는 않았습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야간에 잘 보이라고 작은 불이 들어간 벽 전등스위치도 비슷하다고 합니다. 그런데, 정부의 대기전력 1W미만 규정이 생긴지 우리 나라도 꽤 되었고, 특히 컴퓨터 파워와 주변기기는 신호대기상태나 최대절전모드+USB전원차단모드..
1.정확히 이 모델에 대해서는 검색되는 정보가 없다. 유통은 됐던 모양이지만.그 기반일 것 같은 것이. ASUS P5RD2-VM이다. https://www.asus.com/kr/Motherboards/P5RD2VM/IDE(PATA) 포트가 2개니까 PATA HDD를 4개나 연결할 수 있다! 그러면서 SATA 2 포트도 4개나 된다! 야호! 소켓 LGA775 펜티엄4 CPU를 지원하는데, P5RD2-TVM/S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P5RD2-VM은 Core 2 Duo를 지원한다는 얘기는 없다. 많이 아쉽다. 이것은 단지 지원여부를 적지 않았을 지도 모르지만..저건 칩셋 자체가 인텔것이 아니라 ATI Radeon Xpress 200 칩셋이란다. X300 코어를 넣었다고 하는데 나중에 Radeon 1150 이라..
아직 구입한 물건은 아님. 구매 전 모아본 정보. 제품은 작년 여름에 처음 나왔고, 펌웨어 업데이트와 서버 업데이트를 하고 나서 앱과 사용법이 개선되어 깔끔해졌다. 이 제품의 동작방식은, 그림을 그리면 아래와 같다. 위엣것이 온라인 모드, 아랫것이 오프라인 모드. 온라인 모드에서는 서버에서 켜고 끄는 스케줄링을 해주는 모양이다(다른 회사 제품들은 그렇게 동작한다). 사용자는 서버에 설정값을 저장하고 명령을 보내고, 서버에서 스마트플러그에 동작을 지시한다.오프라인 모드는 사용자가 직접 켜고 끈다. 오픈마켓에 올라온 문답을 보면 이 제품은 오프라인모드에서도 원격 스위치기능말고도, 예약 on/off 설정을 할 수 있다고 한다. 거의 모든 스마트플러그는 처음 구입해 세팅할 때 1:1로 스마트폰과 연결한다. (애..
하나 더 있으면 좋겠다 싶어서, 질렀다. 이 제품은 소비전력 측정 기능은 없고, 그 자체로는 그냥 알뜰하게 원격 스위치 온, 오프 기능뿐이다. 이것이 인터넷을 통해 서버와 연결되면서 예약 ON/OFF 기능도 붙고, 스케줄이 여럿 들어가고, 네이버 클로바와 아마존 알렉사에 연동도 된다고 한다.(2018.1.3일 기준으로 제품 카페에 구글홈도 연동된다는 사용기가 올라왔다) 이 연동 기능은 몇 달 전에 업데이트된 것 같다. 제품 사진, 메뉴 스크린샷과 자세한 사용기는 나중에 따로 쓰겠다. AI연동도 구매동기 중 하난데, 나중에 시간이 나면 적겠다. ★ 알림: 아직 작성 중인 글입니다. 내용을 추가하거나 사진이나 그림을 더 넣어 너무 길어지면 그 때 가서 글을 나누겠습니다. 당연히, 이 글에서 다룬 S플러그는 ..
절전입니다. CPU점유율을 줄여주는 기능. 눈치껏 현재화면 렌더링이나 스크립트실행, 가상머신 옵션을 손보는 것도 있는 모양이고, 확장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하이버네이션에 준하는 절전모드 옵션을 운영하는 것도 있습니다. 웨일 브라우저 옵션을 제일 먼저 적고, 나머지도 보이는 대로. * 우리 나라 포탈 사이트 중, 구글 크롬에서 화면을 전면 탭(foreground tab)에 두고 CPU점유율을 관찰하면, 다음이 네이버와 비교해 CPU점유율이 몇 배로 높은데, 네이버는 타이머를 실행해 주기적으로 리로딩하는 방식이고 다음은 실시간으로 확인 루틴이 돌아가는 것 같더군요. 네이버가 1~4%먹는 동안 다음은 8~25%정도까지 먹기도 하니 좀 고쳐 주면 좋겠는데.. 몇몇 매체 웹사이트도 그런 데가 있습니다. 반면 ..
요즘 참 여러 회사에서 LED형광등을 만들어 팔고 있습니다. 백열전구 대체용이라고 나오는 것 말고 직관형 형광등 대체용으로 나오는 것 말이죠. 이게 산업 표준이 정해지지 않고 질질 끌다가(전원내장이냐 외장이냐 등) 사실상 "니 맘대로 해라"하고 풀어주면서 쏟아져나온 거라고 예전 언론보도로 본 적 있습니다. 그런데, LED형광등은 일반 LED램프만큼이나 주의해야겠더군요.제품소개에 조명기구로서 기본적인 내용, 그러니까 광속과 밝기 표시가 없는 것이 많습니다.단지 몇 와트 형광등 대체용이라고 써놓은 게 전부인 상품도 있고, 아예 그런 거 없이 백열등보다 얼마 효율적이고 형광등보다 얼마 효율적이라고 다짜고짜 써놓은 데도 많습니다. 아예, 형광등의 색온도는 적지도 않고 LED칩 사양서에 있는 색온도를 적어놓거나 ..
인터파크에 올라온 삼성 중고PC 광고에서 갈무리한 것입니다. 옛날 컴퓨터 파워는 대부분 저랬습니다. 그리고 당시 대기업 제품들은 컴퓨터 본체 전원을 끄면 본체 파워에서 모니터로 가는 전원도 꺼줬죠. 모니터로 가는 전원도 220V AC니까 따로 뭘 하는 건 아닙니다. 그냥 전원 ON.OFF만 해주는 겁니다. 파워 출력에 전혀 부담이 안 됩니다. 저 단자를 추가하니 원가는 몇 십 원? 몇 백원? 더 들겠죠. 저렇게 쓰면 컴퓨터에서 멀티탭까지 가는 전원선이 한 개면 되기 때문에 선정리가 깔끔하게 됩니다. 요즘 파워는 참 엄청 비싼 주제에 저 기능은 없더라고요. 아예 LCD모니터용 12V나 19V던가? 그 출력도 따로 내주면 좋을 텐데 말입니다.'
Viewed Posts
|
Recent Comments
|
Recent Pos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