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공공기관
도구
- 스마트폰,태블릿 화면크기비교
- 양쪽 윈도우키를 한영한자키로(AutoHotKey)
- 매크로: Robotask Lite
- 파일이름변경: ReNamer Lite
- 파일압축: 반디집
- 공공서식 한글(HWP편집가능, 개인비영리)
- 오피스: 리브레오피스(LibreOffice)
- 텍스트뷰어: 이지뷰어
- PDF: FoxIt리더, ezPDF에디터
- 수학풀이: 울프램 알파 ( WolframAlpha )
- 수치해석: 셈툴, MathFreeOn
- 계산기: Microsoft Mathematics 4.0
- 동영상: 팟플레이어
- 영상음악파일변환: 샤나인코더
- 이미지: 포토웍스
- 이미지: FastStone Photo Resizer
- 화면갈무리: 픽픽
- 이미지 편집: Paint.NET, Krita
- 이미지 뷰어: 꿀뷰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검색
- KS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해외시장뉴스
- 엔팩스(인터넷팩스발송)
- 구글 드라이브(문서도구)
- MS 원드라이브(SkyDrive)
- 네이버 N드라이브
- Box.com (舊 Box.net)
- Dropbox
- 구글 달력
- 모니터/모바일 픽셀 피치 계산
- Intel CPU, 칩셋 정보
- MS윈도우 기본 단축키
- 램디스크
- 초고해상도 관련
- 게임중독
- 표준시각
- 전기요금표/ 한전 사이버지점
- HWP/한컴오피스 뷰어
- 인터넷 속도측정(한국정보화진흥원)
- IT 용어사전
- 우편번호찾기
- 도로명주소 안내, 변환
- TED 강연(네이버, 한글)
- 플라톤아카데미TV
- 세바시
- 명견만리플러스
- 동아사이언스(과학동아)
- 과학동아 라이브러리
- 사이언스타임즈
- 과학잡지 표지 설명기사
- 칸아카데미
- KOCW (한국 오픈 코스웨어) 공개강의
- 네이버 SW 자료실
- 네이버 SW자료실, 기업용 Free
- 계산기
공공데이터베이스
목록
PC Geek's
레디언 HD4670은 2008년께 나왔다 하고, 출시될 적에 100달러미만 보급형으로 나온 것. 요즘은 중고로 나오는데, 그 다음 세대의 엔트리급, HD5450 과 비슷한 가격대로도 가끔 매물이 나온다. 이 녀석의 소비전력은 출처: http://www.xbitlabs.com/articles/graphics/display/powercolor-pcshd4670-512mb_5.html#sect0 idle 8.7와트란 말이 있다. 5450이 6와트대라니까 2와트 남짓 많은 정도. 그러나, http://www.anandtech.com/show/2616/9 여기를 보면, 저기건 꽤 적게 나온 듯한 인상. 요즘은 쿨러빼고 기판은 레퍼런스대로라지만 그래도 혹시 제조사 차이일 수도 있을 것 같고.. http://www...
시스템구성은 250g하드 제외, TV카드 제외. 램3G와 1t하드만 붙은 상태. 작업화면(스트리밍포함)에서 73.6초(5회 평균). 소비 전력은 약 49와트 CPU점유율은 35-40%, 0.9V, 1GHz. 모니터를 더하면(모니터 밝기는 45%정도. 앞서의 그 22"), 5회 평균은 49.14초. 소비 전력은 약 73-74와트. 모니터는 약 ~24와트? 아이들 상태. ~53.2초. 68와트 아이들 상태. 모니터 제외 ~81.4초, 44~45와트. 그럼 모니터는 ~24와트? 이 시스템 구성은 구형 맥미니(코어 듀오 1.66GHz, 놋북하드) 소비 전력의 두 배 정도. 사일런트피씨리뷰의 M3A78-TE 보드관련 비교차트를 보면, 40와트 아래로도 나오긴 함. 이건 저전력모델을 썼고, 놋북하드를 쓴 것. 아이..
테크파워업이란 외국 사이트입니다. http://www.techpowerup.com/reviews/Sapphire/HD_5750/28.html Radeon HD 5750 이 나왔을 때 만들었나 봐요. 지금은 HD6xxx 시리즈가 팔리니까 바로 전전 세대쯤. 상당히 많은 카드를 비교하고 있는데, 그 중 일부만 갈무리. 나머지는 저 링크로 들어가보세요. 요즘 나오는 6시리즈는 저것들보다 소비 전력이 더 줄었다고 합니다. 여튼 저걸 보면, HD5750은 idle 소비 전력이 idle 14와트, 최고로 먹을 때 85와트입니다. 저 목록에서 제일 작은 건 HD4550으로 아이들 6와트, 맥스 19와트. 요즘 HD6450도 그 비슷하지 않을까 싶은데. 만약 비디오카드를 뺀 시스템이 IDLE 60와트, 풀로드 120와..
예전, 절전관련 글을 올릴 때 오픈마켓에서 구입한 2등 형광등기구와 형광등입니다. 국내 업체인 D사에서 나온 저렴한 FPL 36W 2등기구와 형광등 2개 세트였습니다. 가격면에서 보면 꼭 인터넷에서 살 필요는 없습니다. 요즘 많이 싸졌으니까요. 그보다 절전용이라면 새로 나온 FPL 32와트짜리가 더 좋습니다. 밝기는 얼추 비슷하면서 소비 전력이 36 -> 32와트로 줄었다고 하니까요. 제가 이 등을 샀을 때, 금호에서 나온 등기구 세트가 그게 만 오천 원 정도 했습니다(그 때는 32와트 등기구는 소매로는 금호것밖에 팔지 않아서 그 정도 값이었습니다). 형광등입니다. 둥기구를 분해해보았습니다. 이건 형광등 소켓. 사실, 분해해본 건 안정기와 소켓을 따다 집에서 사용하던 방등기구에 붙일까 해서였습니다. 저렴..
셔틀(shuttle) SK21G 베어본의 기본 정보는 아래 다나와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요즘 제품은 아니고 약 5년 정도 됐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다나와 링크: http://pc.danawa.com/price_right.html?shot=Y&defSite=PC&cate1=860&cate2=868&cate3=932&cate4=0&pcode=130264K-Bench 소개: 커뮤니티 - 셔틀 XPC SK21G, 모바일 Athlon 64, Turion 64 정식 지원하는 스페셜 에디션 이 컴퓨터는 꽤 초기에 출시된 베어본에 속합니다. 754핀 AMD 웬체스터, 뉴캐슬, 베니스 CPU를 사용할 수 있고, DDR1 램을 씁니다. 그리고 SATA포트도 있습니다. DVI포트가 없는 게 좀 그렇죠. ^^; 그리고..
DELL Latitude D410 노트북 + 그린아이티씨 GL-ST2150 LCD모니터 조합, 소비전력 하드웨어 본체는 도선 1.73GHz CPU, 램 2GB 화면은 노트북의 12.1인치 1024x768 (4:3 XGA) + 21.5인치 1920x1080 (16:9 Full HD) [ 앞서의 사용기 ] 에서도 적었듯이, 화면 픽셀 피치가 조금 다르지만 글씨 크기가 달라 불편하다고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 앞서 사용기 ]에서 언급했듯 조금 노란 끼를 느끼기도 했는데, 이게 며칠 썼다고.. 이제 모르겠더군요. ^^; 칼라 설정은 아래 적은 대로입니다. 컴퓨터쪽은 기본값대로입니다. ※ 모니터 와이드해상도를 노트북에 입력하는 방법은: (와이드)모니터 해상도를 컴퓨터에 추가하기: Intel GMA900/..
지난 번에 에너지관리공단 사이트를 간략하게 정리했습니다.→ 에너지 관리 공단에 등록된 에너지 절약 제품 정보 (컴퓨터, 모니터, 주변기기, 생활가전 등)거기서, 모니터 항목을 조금 보겠습니다.모니터 구매가이드 : 모니터 절전모드의 에너지절약 기준. 절전모드 소비전력 4와트이하, 전원을 끈 상태에서 2와트이하.모니터: http://kempia.kemco.or.kr/eStari/view/SVViewPCodeList.aspx?pcode=202여기서, 예를 들어 검색을 해보겠습니다.위 화면처럼, 업체명에 '삼성', 모델명에 '24'를 넣어 봅니다. 보통 모니터 모델명에는 인치 숫자가 들어가기 때문에 그래보았습니다.검색 결과는 '업체명' '모델명' '신고확인일'별로 정렬가능하고, 정렬 갯수는 10개..
에너지 관리공단 : http://www.kemco.or.kr/ 에너지 관리공단 효율관리제도 : http://kempia.kemco.or.kr/efficiency_system/home/index.asp 형광등관련해 찾아 보다 알게 된 사이트입니다. 에너지 관리 공단. 80PLUS 나 ENERGYSTAR 마크는 잘 알지만 정작 우리 나라 기관은 또 모르는 게 뭐해서, 여기서는 이 사이트를 정리해 봅니다. 에너지관리공단 사이트는 컴퓨터 관련 뿐 아니라, 모든 가전 제품을 대상으로 합니다. 여기서는 편의상, 그리고 이 사이트의 주제가 그런 만큼, 컴퓨터 관련을 우선으로 봅니다. * 아래 각 url이나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바로 갑니다. 고효율제품 구매가이드 에너지절약형 제품 선택요령 컴퓨터 : 절전모드..
주택용 전기요금 그래프 아래 표는 주택용 전기요금 그래프입니다. 엑셀 파일은 다음에... 정리를 좀 해야겠네요 ^^a 주택용 사용량별 전기요금표 (저압) 앞서의 글, ■ 노트북의 절전 효과(전기요금)와 소비 전력: 데스크탑 대용과 간단한 서버 대용을 생각할 때 ■ 2009/02/22 가정용 전기요금 계산표. 컴퓨터가 먹는 전기는? 을 보고, kWh수가 늘면 가정용 전기 요금은 어떻게 늘어날까 그 추이가 궁금한 분이 계실 겁니다. 저도 그래서 ^^ 그래프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자료가 되는 전기요금표는 원래 한전에서 텍스트로 제공했는데, 다시 찾아 보니 한전에서 전기요금 안내로 주는 홍보물에만 있어 그것을 받아 적었습니다. 관련 한전 URL ■ 한전 사이버 지점: http://cyber.kepco.co.kr..
노트북의 절전 효과와 소비 전력: 데스크탑 대용과 간단한 서버 대용 요즘 절전형 데스크탑, 노트북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요즘 intel E5200 본체를 내장 그래픽, 좋은 파워(*)를 사용한 시스템은 본체 idle 소비 전력이 40와트대에 그치고, 저전압 튜닝을 하면 30와트대로 줄어들기도 합니다. 19인치 LCD 모니터가 최저 밝기에서 25와트 내외, 22인치 LCD 모니터가 최저 밝기에서 40와트대 정도라고 생각하면, 이런 컴퓨터는 인터넷하고 업무용 프로그램을 쓰는 데 전체적으로 80와트 정도만 소비하는 셈입니다. * 좋은 파워: 5-7만원 사이에 있는 평판이 좋은 400와트대 80plus 인증 파워나, 100~300와트내외급으로 믿을 만 한 제조사에서 나온 파워, 60-120와트 사..
앞서의 두 가지 테스트에 이은 노트북 소비 전력 테스트입니다. 측정기기( 적산전력계로 만든 유효소비전력 측정기 )의 한계로 노트북만 연결해서는 안되기에, 90W짜리 CRT모니터를 하나 듀얼로 붙여 놓고 재는 변칙적인 테스트입니다. 첫 번째 글, 소비 전력: 19인치 CRT: 주연테크 900D(삼성 샘트론 9P, 싱크마스터 950P와 동급) 두 번째 글, 소비 전력: DELL D410 노트북의 소비 전력. cpu 점유율 60%(@800MHz)정도에서. 에 이은 세 번째입니다. 이번에는 DELL D410 노트북의 idle, 풀로드 소비 전력을 재봤습니다. 조금 이상한 결과가 나와습니다. 일단 적습니다. 먼저, 전압과 배수 세팅은 이렇습니다. 본래보다 꽤 저전압입니다. 그리고 측정 결과입니다. 방법은 앞 글과..
개요 노트북을 켜고 외부 D-Sub 포트를 통해 19" CRT를 연결한 듀얼 모니터 환경에서 소비 전력을 측정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해서 어느 정도 부하를 주었을 때 이 노트북 소비 전력을 계산했습니다. 노트북: DELL D410 (1.73GHz 도선 Dothan CPU, 1GB램) 외부모니터: 주연테크 900D (샘트론 9P, 싱크마스터 950P 동급) 측정 주연테크 900D 의 소비 전력 측정 결과는 앞서 측정한 글을 참고하세요. 이 글은 그 글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 소비 전력: 주연테크 900D(삼성 샘트론 9P, 싱크마스터 950P와 동급) CRT 모니터 최소 밝기, 최대 대조에서 약 90와트였다는 결과였습니다. 이제 노트북과 더한 결과입니다. 노트북은 듀얼 모니터 모드로, D-sub단자..
제 노트북의 RM Clock 설정값입니다. 약 3개월간 문제없이 잘 써왔으므로 공개합니다. 기종은 델(Dell) D410 이며, CPU는 Dothan코어 펜티엄M 1.73GHz 입니다. 자세한 사양은 앞서의 글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 아톰(Atom N270) vs 도선(Dothan) ? CPU 성능 비교 원래 0.988 ~ 1.308 V인 Core 전압을 위 그림처럼 0.732 ~ 1.068 V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 최저 전압과 최고 전압만 컴퓨터를 다운시켜가며 낮은 값을 알아냈고, 중간값은 자동지정 체크했습니다. 이렇게 저전압을 지정해 얻는 이점은, 펜이 적게 돌고LCD밝기를 낮추고 인터넷과 워드 정도만 할 때 배터리 지속 시간이 거의 한 시간 정도 연장되는 느낌입니다. 기본적으로 perfo..
URL: http://cyber.kepco.co.kr/cyber/index.html 한전 사이버지점에 들어가보면 전기요금표를 볼 수 있습니다. 초기 화면에서 왼쪽의 "전기요금안내"를 클릭하면 다음 화면에서 몇 가지 항목이 나옵니다. 예전에는 무척 딱딱했는데, 꽤 보기 편합니다. 여기서 오늘 볼 곳은 전기요금계산 > 전기요금 계산기 그리고, 전기요금표입니다. 전기요금조회로 들어가면 과거 기록을 볼 수 있습니다. 전기요금표 사용량을 100 kWh마다 나누고, 다음 단계로 갈 때마다 기본료가 오르고, 구간마다 kWh당 요금도 오릅니다. 잘 보면, 기본료는 구간마다 거의 곱절로 오르고, kWh당 요금은 구간마다 오르는 양이 피보나치 수열하고 비슷하죠? 그럼 kWh당 요금은 대체 어떻게 늘어나나? 저 사이트에서는..
URL: http://www.x4-life.de/index.php?id=1272&L=0 옥션 판매자 링크: 현재 국내 온라인에서 파는 곳은 여기밖에 없는 듯합니다. 4만원대 가격이고, 컴퓨터뿐 아니라 가전기기 전부를 잴 수 있습니다. 게다가 유효전력만 체크한다고 합니다. 정확도는 아주 높지는 않고, 그냥 가정용 정도인 듯 합니다만, 가정용이면 됐죠. ^^ (PS. 지금은 다 팔린 모양입니다) 지금까지 제가 쓴 조합은 훅크메타 + 가정용 적산전력계였습니다. 싸게 구입했지만 결국 3만원 정도 들어갔으니까, 저 가격에 저 정도 기능이라면 살 만합니다. 기능이 비슷하면서 컴퓨터 끼워서 쓰는 용도인 잘만 MFC2보다 여러 군데에 쓸 수 있고, 또 항상 붙여 놓지 않아도 되니까요, 이런 기계를 전력계(wattmet..
이 주제를 궁금하게 생각한 계기는, 제 도선 노트북이 전기를 그렇게 적게 먹지 않는다는 걸 알고나서입니다. 정말 정말 최저 클럭, 최저 전압, 최소 밝기로 돌리면 3시간은 넘게 쓸 것 같더군요. 그리고 체감상은 그랬고.. 그렇다면, 말입니다. 전기를 꽤 적게 먹을 것 같았다는 말이죠. 하지만 실은, 어댑터 연결하고 밝게 쓰면 이런 블로그만 적는 데 30와트는 훌쩍 넘게 먹는 것 같았습니다.DELL D410 정보 notebookreview.com dell.com : "with 6-cell 53W/hr battery" 그래서, 그럼 아톰하고 도선하고 CPU나 비교해보자.. 이렇게 생각이 갔습니다. 적게 먹지 않는다면 성능이라도 좋아야지.. -_- 그러다 검색해본 곳이 위 그림에 있는 한 스레드. 여기였습니다..
URL: http://www.parkoz.com/zboard/zboard.php?id=low_power Parkoz.com에 지난 해 개설된 Low Power System Forum; 저전력 시스템관련 포럼입니다. 처음은 무척 한산했는데, 이후 경제위기를 타고 조금씩 인기(?)를 끌고 있는 게시판입니다. 자기 시스템이 얼마나 먹는 지 궁금한 사람들이 대부분이긴 합니다만, 여러 가지 정보도 올라오고.. 사실, 국내에서 저전력관련해 메이저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게시판은 여기뿐이라서요. 저 게시판이 없을 때는 전력관련 글이 오버클럭 게시판에 올라왔지만 이제 이 쪽으로 주로 올라옵니다. 그래서, 절전관련 과거 글은 오버게시판에서 찾아보아야 하고, 저전력 오버관련 글은 지금도 여전히 AMD, Intel오버게시판에 ..
아래 사진은 제가 만들어 쓰는 소비전력 측정기입니다. 대단한 건 아니고, 시판하는 가정용 단상 적산전력계(계량기)에 멀티탭을 연결한 것입니다. 접지선이 없는 건, 그냥 보이는 싼 걸 썼기 때문입니다. (접지여부가 측정값에 어떤 차이를 주는 지는 저는 모릅니다) 액정 오른쪽 구멍에 빨간 LED가 있어서 동작중에 반짝입니다. 저건 전자식이라선지 1펄스당 1와트라고 적혀 있습니다. (1.0Wh/pulse) 주택에서 볼 수 있는 아날로그식 계량기는 전면에 돌아가는 돌돌이 1바퀴당 2Wh 인 것이 있더군요. 저걸 이용해서 소비전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펄스나 돌돌이 바퀴 10 회가 되는 데 걸린 시간을 잽니다. 10번이니까 10으로 나누에서 1번에 몇 초가 걸렸는지 계산하고 3600초(1시간)을 그 값으로 나눠줍니..
Viewed Posts
|
Recent Comments
|
Recent Pos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