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공공기관
도구
- 스마트폰,태블릿 화면크기비교
- 양쪽 윈도우키를 한영한자키로(AutoHotKey)
- 매크로: Robotask Lite
- 파일이름변경: ReNamer Lite
- 파일압축: 반디집
- 공공서식 한글(HWP편집가능, 개인비영리)
- 오피스: 리브레오피스(LibreOffice)
- 텍스트뷰어: 이지뷰어
- PDF: FoxIt리더, ezPDF에디터
- 수학풀이: 울프램 알파 ( WolframAlpha )
- 수치해석: 셈툴, MathFreeOn
- 계산기: Microsoft Mathematics 4.0
- 동영상: 팟플레이어
- 영상음악파일변환: 샤나인코더
- 이미지: 포토웍스
- 이미지: FastStone Photo Resizer
- 화면갈무리: 픽픽
- 이미지 편집: Paint.NET, Krita
- 이미지 뷰어: 꿀뷰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검색
- KS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해외시장뉴스
- 엔팩스(인터넷팩스발송)
- 구글 드라이브(문서도구)
- MS 원드라이브(SkyDrive)
- 네이버 N드라이브
- Box.com (舊 Box.net)
- Dropbox
- 구글 달력
- 모니터/모바일 픽셀 피치 계산
- Intel CPU, 칩셋 정보
- MS윈도우 기본 단축키
- 램디스크
- 초고해상도 관련
- 게임중독
- 표준시각
- 전기요금표/ 한전 사이버지점
- HWP/한컴오피스 뷰어
- 인터넷 속도측정(한국정보화진흥원)
- IT 용어사전
- 우편번호찾기
- 도로명주소 안내, 변환
- TED 강연(네이버, 한글)
- 플라톤아카데미TV
- 세바시
- 명견만리플러스
- 동아사이언스(과학동아)
- 과학동아 라이브러리
- 사이언스타임즈
- 과학잡지 표지 설명기사
- 칸아카데미
- KOCW (한국 오픈 코스웨어) 공개강의
- 네이버 SW 자료실
- 네이버 SW자료실, 기업용 Free
- 계산기
공공데이터베이스
목록
PC Geek's
탐스하드웨어, 2009년 기사입니다. 기본적으로 그래픽카드에 관한 이야기지만, 컴퓨터 본체 소비 전력을 계산할 해 이렇게 한다~며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옛날 글이지만 읽어볼 만 합니다. How Much Power Does Your Graphics Card Need? January 21, 2009 by Tino Kreiss Table of contents 1. 3D Performance Requires The Most Electricity 2. Graphic Chip Comparison And Test Configuration 3. Power Consumption Test System And Electricity Cost 4. Power Consumption--Graphics Cards And Elect..
i3-3220, 8GB, HDD 웹브라우저창 몇 개 띄운 상태에서 HTS, 스트리밍 방송을 켜보았다. 4스레드 중 2개는 확실히 이용.나머지 2개는 남아돔. 전에 어디서 읽기로, 이렇게 쓸 경우, 일하는 두 개는 각각의 코어고, 가끔 거들고 노는 두 개는 하이퍼스레드라고 들었는데..(확인 필요) 이걸 조립하고 난 뒤에, 윈저2GHz때와 달리 웹브라우징하면서 점유율 100%먹는 경우가 없었다. 80-95% 정도까지는 올라간다.그리고 잠잠. HTS는 불규칙하게 점유율을 끌어올리는 경우가 잦다. 그래서 잠잠하다고 안심은 아니다. 저 상태에서, 옥션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았다. 그리고 클릭을 몇 번 했더니 역시 오픈마켓 사이트. 새 CPU를 달았어도 참 보람이 없네. 내후년쯤이면 100%칠 기세. 여기에 웹브라우..
이 보드는 국내서는 이엠텍이 유통하는 모양. B75칩셋이고 7만원대 초중반.기가바이트의 동가격대 보드와 비슷한 레이아웃(램슬롯 4개, DVI, dsub, hdmi 포트 matx)기가냐 이거냐 묻는다면 네임밸류는 약간 더 비싼 기가겠지만, 그보다 조금 싸면서 비슷하단 점에서.(기가가 리비전으로 잘 논다지만 올해 나올 cpu들은 다 지원해주겠지. B75자체가 아이비용인데) 어쨌든 간에, 이 보드에 대해서는 좀 시간을 내서 보드쪽에 나중에 따로 적을 테고, 플레이웨어에 올라온 리뷰만 적어둔다. 소비전력이 잘 나와 있는 리뷰라서. http://www.playwares.com/xe/23955761 CPU: i5-3550 (3.3GHz/ 터보시 3.7GHz, 캐시 6메가) 보드: B75MU3+램 8기가(4기가 2)..
파코즈에 소개와 댓글이 올라와서 링크합니다.뉴캐슬이 붙어 있는 셔틀케이스를 재활용하기 좋겠다 싶어서 이 글을 메모하게 됐습니다.그런데, 댓글 중에 보이는, CPU성능을 보니, 흠.. 근처에 윈저나 브리즈번일 AMD Athlon 64 X2 Dual Core 2GHz 와 2.2GHz 가 보이고첫 콘로인 E2160, E2180. 그 뒤에 나온 E1400, E4300이 근처에 있군요. 물론, Celeron 847은 클럭이 저 구형 cpu들에 비해 절반 정도고, 소비전력은 더 적어서요즘은 아톰급 라인업으로 나오는 종류라 그 자체로는 저전력이고 괜찮다 할 수 있지만, http://ark.intel.com/ko/products/56056/Intel-Celeron-Processor-847-2M-Cache-1_10-GH..
제목 오타 수정했습니다. 트리니티를..이런. 전에 언급한 사일런트PC리뷰 메모에서,25%정도 CPU를 먹는 작업과 idle 상태에서 소비 전력은 i3나 A10이나 큰 차이가 없었다.이 부분이 요즘 i3를 사용하면서 자꾸 생각이 난다. 왜냐고? 게임을 하지 않으면 50%이상 점유율을 꾸준히 가져가는 일이 없거든.웹브라우징할 때 무거운 사이트에서 좀 먹긴 하지만, 그것도 로딩할 때 그러지 트레이에 뜬 작업관리자 막대를 보면 25%이상을 꾸준히 먹는 것 같지는 않아. 여기서 생각이, 실사용 소비전력면에서 A10-5700이나 A10-5800K 는 i3와 큰 차이가 없을 것 같다..는 상상이다.상상이다. (게다가 난 AMD안 샀다) 그러니 낚인 다음에 "너때문이야!"하지는 마시고.. ㅎㅎ 쿼드코어..는 아니고 쿼..
1.6GHz로 동작하는 낮은 클럭 상태에서 CPU-Z 표시값입니다. C1E같은 게 적용된 모양인데, 0.66V입니다. 그리고 좀 일을 하지만 1.6GHz일 때는 1.09V입니다. 아래. 저 둘 사이에 몇 단계 전압이 더 보입니다. 0.69, 0.7, 0.8, 0.9 등. 전에 다른 보드에서 시험해보기로, CPU-Z는 바이오스에서 주는 값을 표시했습니다.그래서,1.1V지만 일부 보드에서 지원하는 바이오스에서 +0.1V 쉬프트하는 걸 해버리면 그걸 인지못하기도 했습니다. 즉, 그 경우 1.2V가 아니라 그냥 1.1V로 표시하는 식이었죠. 왜 이 이야기를 하냐 하면, 저 값도 정확한 지는 모를 일이라는 겁니다. 보드 제공 유틸리티도 같은 전압을 표시해주기는 합니다만.. 그리고, 3.3GHz에서 여러 작업을 해..
팁은 아니고 메모입니다. 샌디는 몰라도 FSB와 배수가 아이비와 같은 방식이니까 안 되겠죠.스크린샷 나갑니다. 이렇게 정보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고, 아래와 같이, 배수도 다 안 나옵니다. i3-3220의 클럭배수는 16-33배지만, 저렇게 15.5x가 최대 이래서, 조정해볼 엄두도 내지 못했습니다.사실, 이 프로그램은 지금은 업데이트가 되지 않아요. 이건 몇 년 전, AMD 64 X2 CPU와 인텔의 Conroe CPU가 나올 때가 끝인 모양입니다. 여기까지.
파코즈에서 사용기 하나 읽은 소감입니다.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low_power&no=6558 메인보드는 애즈락 B75M이라고 하고,파워는 80플러스골드 예의 그 슈플 350와트.아이들 소비 전력이 33와트 정도라네요. 저게 저출력에서 효율이 꽤 좋은 파워라서,그냥 80플러스 브론즈파워라면 몇 와트 더 먹는다고 봐야겠습니다.그리고 여기에, 이 보드는 비디오 포트가 셋이고 듀얼모니터는 지원하지만, 듀얼링크 해상도는 지원하지 않습니다.이 부분에 대해서는 전에 적은 글을 참고하세요.때문에 지금 사용 중인 듀얼링크 모니터를 쓰려면 지포스나 AMD 비디오카드를 하나 달아야 하고,그럼 7와트 먹는 절전형으로 사도 아이들 소비 전력은 40와트 정도.. 대신 디지털포..
clien.net 에 올라온 글http://clien.career.co.kr/cs2/bbs/board.php?bo_table=news&wr_id=1534678http://clien.career.co.kr/cs2/bbs/board.php?bo_table=news&wr_id=1534772 다른 글에 적었듯, 제게도 맥 미니가 한 대 있었습니다. 지금은 어머니 컴퓨터입니다. 물론, 부트캠프. 본체가 작아서 주방에 두고 있어요. 키보드, 마우스도 물론, 윈도용입니다. 읽다가 해본 몇 가지 생각. 사실관계를 확인하지 않은 생각이니 틀린 게 분명히 있습니다. - 맥 미니는 잘 만든 컴퓨터다- 매킨토시치고는 가격대 성능비가 좋다. (요즘 맥이 10년 전보다는 확실히 많이 팔리고, 가성비를 찾아가고 있지만. 맥북 에어..
이 글을 쓰게 한 게시물 링크는 여기: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low_power&no=6526&category=1 아래와 같은 시스템이고, 측정값이라 합니다. 인용합니다.i5-3570MSI H77MA-G43팀그룹 PC10600 8G x 4사파이어 HD5450 512M 팬리스웬디 2테라 그린 3개삼성 830 128G시게이트 SS-400ET 가) idle, screen off, HDD 파킹 : 33~35W나) idle, screen on : 41W (HDD가 파킹된 상태인지 idle 상태인 지 불분명)다) light web surfing : 50W 1.Radeon HD5450 의 idle 소비 전력은 6~7와트 사이란 말을 어디서 본 적 있습니다.그럼 내장출력..
나우퍼그입니다.http://www.nowpug.com/154667 벤치 결과는 전체적으로 아이비가 성능이 낫습니다.그건 비교한 두 cpu의 클럭이 아이비가 3.3G, 샌디가 3.1G인 점을 고려해야 하는데, 그래도 평균적으로 아이비가 좀 더 낫습니다. 테스트시스템의 소비 전력은 맨 뒤에 나오는데테스트 시스템에서 아이들 소비 전력은 1와트, 풀로드 소비 전력은 5와트 정도 아이비가 적습니다.(아이들시 소비 전력은 44와트) 한 단계 더 미세한 공정으로 넘어갔는데, 생각만큼, 그러니까, TDP만큼 줄어들진 않아서 실망입니다만,둘이 가격차가 별로 없다면 굳이 샌디를 살 이유는 없네요.(지금 다나와 최저가기준 1만원차이입니다. 그래서, 구입하는 사람이 저 둘을 비교한다면 아마 중고 2100과 새것 3220사이가..
1.자카테 종류는 쳐다볼 일도 없고,라노, 트리니티같은 건 사양표와 벤치를 보고 있으면 용도는 뻔해 보인다. 하루 몇 시간 안 켜면서 평균 cpu사용 50%미만, 그 외 캐주얼게임 조금 돌리는 정도인 가정용 컴퓨터. 하루 16~24시간 정도 오래 켜놓고 쓰는 용도로는 전기료 문제가 있어보인다. 다만, 그 켜놓는 시간 동안 cpu가 idle하는 시간이 대부분이라면 AMD도 인텔을 많이 따라왔음을 최근 벤치에서 보는데, 그래서 이 부분은 세세한 설정에 따라 실사용 시스템에서는 뒤집힐 수 있다. 파워 효율, SSD사용 여부, HDD종류 등. 사업용 전기를 쓰면 얼마나 싼 지는 모르겠지만 게임용으로 좋을 지는 평은 그럭 저럭인 것 같고세트의 가격이 충분히 저렴하게 시작하면 컴퓨터 실습실용으로 초기 비용을 줄일 ..
소비전력부분http://www.playwares.com/xe/23708036 좀 극적으로 차이가 나는데, 이건 silentpcreview쪽 글을 참고할 것. 오버클럭하지 않아도 아이들 클럭에서 소비 전력이 꽤 높은 것은,Radeon HD7870이 꽃혀 있어서인 듯.
http://www.playwares.com/xe/24756703 내용 약간: 업치락뒤치락. 동클럭이나 fsb는 샌디가 좋음. gpu와 몇 가지 명령는 아이비가 좋다 하고.그래선지 cpu일반은 비슷하고 샌디가 나은 것도 있음그래픽쪽은 아이비 승 소비 전력은 비슷한데, 풀로드에서 샌디가 15와트 정도 더 먹었다.아이비의 경우, 아이들 32와트, 풀로드 60와트.테스트 세팅은 내장비디오, odd, hdd 그리고 80plus gold 등급 파워.따라서, 일반 80plus 브론즈파워라면 둘 다 한 10와트 정도 더 먹는다고 봐야 할 것 같다. 그냥 근거없는 짐작에.
본체는 예의 그 윈저 (하드 두 개 달린 것), cpu전압은 1.075V 고정. 칩셋오버 없음CPU사용량은 70%이상, 칩셋쪽도 플래시 동영상과 작은 게임 하나. 방법은 적산전력계 펄스 세어서. ^^) 34초 정도.즉 106와트 정도 소비. 여기서 모니터를 끄고 보니 43초 정도.즉, 85와트 정도 소비? 그러니 둘의 차이, 22와트 근처가 이 모니터 소비 전력.모니터 세팅은 제일 어두운 밝기. LED라선지 아니면 IPS패널이라선지 모르겠는데, CCFL 백라이트 TN패널 21.5인치의 30%밝기보다 낫다. 실사용상 문제 없음.
모델명: 굿모닝전자 GM-2701 다나와 상품정보에서. 링크에서 선비님 댓글: 최저밝기 22와트최대밝기 63와트일반사용 45~50와트 측정기기는 널리 쓰이는 그 물건.
클라우드 PC란 게 있다는 걸 어떤 사용기를 보고 알게 됐습니다.그리고 거기 달린 댓글을 보다가, 어, 이거 몇 년 전 씬클라이언트네? 이런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단말기 역할을 안드로이드 가 들어가는 스마트 스틱 종류+모니터, 혹은 태블릿 PC가 해버리는 거죠.네, 안드로이드 PC가 씬클라이언트고, 앱을 통해 원격 서버, 클라우드 PC에 접속하면 거기에 자신의 데스크탑 환경이 있는 것입니다. MS의 윈도 메쉬였나? 그거나 구글의 크롬놋북은 결국 단말역할을 할 기계가 필요하다는 점에서딱히 끌리지 않았는데, 클라우드PC도 결국 마찬가지지만 이건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TV용으로 나오는 usb랜카드만한 안드로이드 미니PC를 이용해서 환경을 꾸밀 수 있으니.. 뭐 따지고 보면 결국 하이텔 단말기(유닉스 ..
2.2~2.4GHz로 쓰지는 않고 있음. 여름이라선지, 메인보드 갈면서 써멀구리스를 적게 발라서인지. 다운, 블루스크린 등. 그래서, 2기가 기본 클럭. 전압은 겨울보다 한두 칸씩 올려준 상태. 프로그램은 crystalcpuid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low_power&no=6413&category=1아이들 25와트, 풀로드 55와트. 요즘 27인치 LED모니터의 최대 소비전력이 Full HD는 50와트 미만, 2560*1440은 70와트 정도인 모양이고 최저 밝기로 내려가면 그 절반 정도라던데(확인 필요), 컴퓨터 본체 소비 전력은 꾸준히 줄어들고 있네요. 아이들 20와트대 후반은 클락데일 CPU를 사용한 컴퓨터 본체로 측정한 얘기도 전에 있었습니다. 그 컴퓨터의 파워는 저 링크 속 컴퓨터처럼 80plus GOLD 등급도 아니었어요. 다만, 한 단계 더 가늘어진 만큼 풀로드는 저 녀석이 더 적게 먹겠죠. 아, 참, 기억에 클락데일은 전압다이어트를 한 것 같고 SSD였는 지는 잘..
최저 소비전력 모드로 동작, mouse without borders 를 써서 서브모니터 대용으로 이용. 전압 자료는 이전 rmclock 세팅값 차용. 이 프로그램의 시작옵션은 흔히 Crystalcpuid.exe /CQ /HIDE 아래는 readme.txt 에서 발췌 ------------------------------------------------------------------------------ Command line Option ------------------------------------------------------------------------------ for general /Q = Save as PNG image. (temp.png) /S = Save as Text. (temp..
사일런트피씨리뷰(silentpcreview.com) 에 올라온 소프트웨어 리뷰입니다.컴퓨터 조용하게 만드는 데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 쯤은 들어봤을 프로그램입니다.컴퓨터에 달린 팬속도를 감시하고 기록하고, 또 가능하면 그걸 조절하는 프로그램입니다.메인보드에 달린 관련 칩셋하고 상관이 있어서 되는 것도 있고 안 되는 것도 있었지만요즘은 옛날처럼 다양하게 나오지는 않으니까요. 링크합니다. SpeedFan: A Guide to Universal Motherboard Fan Control
레디언 HD4670은 2008년께 나왔다 하고, 출시될 적에 100달러미만 보급형으로 나온 것. 요즘은 중고로 나오는데, 그 다음 세대의 엔트리급, HD5450 과 비슷한 가격대로도 가끔 매물이 나온다. 이 녀석의 소비전력은 출처: http://www.xbitlabs.com/articles/graphics/display/powercolor-pcshd4670-512mb_5.html#sect0 idle 8.7와트란 말이 있다. 5450이 6와트대라니까 2와트 남짓 많은 정도. 그러나, http://www.anandtech.com/show/2616/9 여기를 보면, 저기건 꽤 적게 나온 듯한 인상. 요즘은 쿨러빼고 기판은 레퍼런스대로라지만 그래도 혹시 제조사 차이일 수도 있을 것 같고.. http://www...
파코즈에 올라온 글입니다. 발제글 본문만 읽어보세요.[수정] AMD의 논문 그림이 들어있네요. 뚜껑따기 시범글은 같은 게시판의 그 화면 다른 글에 보입니다. http://www.parkoz.com/zboard/view.php?id=over_freeboard&page=1&sn1=&divpage=5&sn=off&ss=on&sc=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6466 하트스프레더가 뭐냐면, 오른쪽 그림 CPU의 금속부분입니다. 예전 CPU는 왼쪽처럼 칩부분(코어; 중앙의 검은 사각형)이 직접 노출돼있었지만 요즘은 다 오른쪽처럼 나옵니다. 왼쪽 녀석의 각 모서리에는 동그랗게 검은 고무 완충재가 붙어 있는데, 서멀구리스를 바르고 쿨러를 눌러 고정할 때 코어를 깨먹지 말라고..
윈저 3800+ 65 W CPU at 2.2GHz 스트리밍 방송, 프로그램 하나, 웹브라우저 여럿 클럭 고정. 21.5인치 모니터는 밝기 30 19인치 모니터는 밝기 0 둘 다 CCFL cpu점유율은 이삼십 % 소비전력은 106와트. 19인치를 끄니 87와트 정도.. 한 20와트 빠지네.
AMD 저전력 CPU를 사용한 HP 마이크로서버입니다. 큐브형 모양에, 하드디스크 4개를 쉽게 달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 사용기를 하나 링크합니다. HP Proliant Microserver (HP-N36L / HP-N40L) 하드디스크 2개 사용시 아이들 소비 전력은 30와트 근처. 4개 다 달면 40와트 정도 될 거라 예상한다는 글이 보입니다. 내친 김에 넷에서 검색해 본 다른 글에는 하드 2개에 35와트 http://www.hifi.co.kr/481708 덤으로 건진 맥 미니 모델별 소비 전력 http://support.apple.com/kb/HT3468?viewlocale=ko_KR&locale=ko_KR (대기 = idle) http://clien.career.co.kr/cs2/bbs/b..
때늦은 은박신공입니다. 2007년께쯤 콘로와 콘셀이 나오면서 유명했던 트릭입니다. 그 땐 오버 안 해도 불편하지 않아서 그냥 두었다가 뒤늦게 해보았습니다. 싱글코어 콘셀 1.6GHz, 램 1GB 에서, 2.4GHz, 2GB로 올리니 아주 괜찮네요. 윈도XP가 끝날 때까지 그냥 써도 되겠습니다. ㅎㅎ 아래 링크와 거기 딸린 링크들을 보고 했는데, 어이없이 쉽게 돼서.. 아, 참 다행입니다. ^^ 그냥 2번, 5번 접점을 알미늄테이프로 붙여주었습니다. 그림은 아래 링크들 참고. 2-5번 전체를, 테이프를 접지도 않고 그냥 붙이고 ㄷ자 모양이 나오게 중간을 잘라 3,4번 접점은 노출시켜주었습니다. 그리고 . 부팅하니 원래 200MHz던 것이 266MHz 로 바뀌어 있고 수동조정 들어가서 PCIE. Async...
Tiché PC HDD Vibration Killer 라는 물건입니다. 딱히 대단한 물건은 아니고, 3.5인치 하드디스크용 가이드와 고정쇠를 기본으로 하고 그 사이에 완충재를 쓴 것입니다. 매달린 것도 아니고 고정된 것도 아닌 모양. 벤치를 보면 소음측정한 걸 볼 수 있는데, 소리는 약간 줄고 소음도 부드러워졌다고. DIY로 저것 비슷한 형태를 만든 사람들은 많았습니다. 하드디스크와 케이스 고정쇠 사이에 뭐가 됐든 완충재를 쓰면 소리가 부드러워지고 약간 작아지기도 하거든요. 전에도 적었지만 옛날 대기업 제품도 완충재를 쓰거나 밀봉한 적이 있습니다. 23유로 정도라는데.. 요즘 하드도 비싸고 대세는 SSD라 딱히 매력이 느껴지진 않네요. 이런 것도 있다는 정도로 봐두세요. :)
가격비교사이트에서 볼 수 있는 사양서에서, 2650*1440 해상도를 지원하는 바이패스형(비디오 단자라고는 듀얼링크 DVI단자만 달린)27인치 LED 모니터의 표기 소비 전력은 약 55~85와트 사이에 많습니다. 백라이트가, CCFL일 때도 그렇고, LED도 대충 들리는 소리로는 최저밝기로 쓰면, 밝기 조정으로 백라이트 밝기가 바뀌는 경우에는 제조사가 표시한 최대소비전력의 1/2-2/3까지 내려가기도 한다더라고요. 그래서 좀 찾아보았습니다. 마이크로보드의 N2706SPC(LED) 모델은, 바이패스형(듀얼링크DVI만)인데, 최대소비전력 69와트인데, 26와트에서 쓸 수 있다고 표시. 최소인지는 확인 필요. 같은 회사의 고급형, N2716WQX 모델은 가격이 쑥 웃단인데, 최대소비전력은 110와트, 최저소비..
2010년 하반기 등록제품부터. 인치수 정렬입니다. ON모드 소비 전력은 적은 기준을 모르겠는데, 눈에 띄는 어떤 제품은 다나와 제품소개란에 표시된 최대소비전력이고 다른 제품은 기준은 모르겠지만 실사용 소비전력인 것 같습니다. 저런 데 표시된 동작 중 모니터 소비전력은 1) 최대소비전력(보통 최대밝기, TV튜너사용 등), 2) 공장출하시 설정, 이를테면 밝기(bright) 50%에서의 소비 전력, 3) 밝기 0%에서의 소비 전력 중 하나겠지만.. 그 외 관행상 22인치로 표시된 모델 중에는 21.5인치짜리도 있을 수 있고.. 여러 가지로 확인 필요. 사실, 저 링크에 들어가보면 훨씬 많은 목록이 나오는데, 저 목록 자체가 대기전력에 중점을 둔 것이고, ON모드 소비전력은 필수항목이 아닙니다. 그래서, 많..
시스템구성은 250g하드 제외, TV카드 제외. 램3G와 1t하드만 붙은 상태. 작업화면(스트리밍포함)에서 73.6초(5회 평균). 소비 전력은 약 49와트 CPU점유율은 35-40%, 0.9V, 1GHz. 모니터를 더하면(모니터 밝기는 45%정도. 앞서의 그 22"), 5회 평균은 49.14초. 소비 전력은 약 73-74와트. 모니터는 약 ~24와트? 아이들 상태. ~53.2초. 68와트 아이들 상태. 모니터 제외 ~81.4초, 44~45와트. 그럼 모니터는 ~24와트? 이 시스템 구성은 구형 맥미니(코어 듀오 1.66GHz, 놋북하드) 소비 전력의 두 배 정도. 사일런트피씨리뷰의 M3A78-TE 보드관련 비교차트를 보면, 40와트 아래로도 나오긴 함. 이건 저전력모델을 썼고, 놋북하드를 쓴 것. 아이..
Viewed Posts
|
Recent Comments
|
Recent Pos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