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공공기관
도구
- 스마트폰,태블릿 화면크기비교
- 양쪽 윈도우키를 한영한자키로(AutoHotKey)
- 매크로: Robotask Lite
- 파일이름변경: ReNamer Lite
- 파일압축: 반디집
- 공공서식 한글(HWP편집가능, 개인비영리)
- 오피스: 리브레오피스(LibreOffice)
- 텍스트뷰어: 이지뷰어
- PDF: FoxIt리더, ezPDF에디터
- 수학풀이: 울프램 알파 ( WolframAlpha )
- 수치해석: 셈툴, MathFreeOn
- 계산기: Microsoft Mathematics 4.0
- 동영상: 팟플레이어
- 영상음악파일변환: 샤나인코더
- 이미지: 포토웍스
- 이미지: FastStone Photo Resizer
- 화면갈무리: 픽픽
- 이미지 편집: Paint.NET, Krita
- 이미지 뷰어: 꿀뷰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검색
- KS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해외시장뉴스
- 엔팩스(인터넷팩스발송)
- 구글 드라이브(문서도구)
- MS 원드라이브(SkyDrive)
- 네이버 N드라이브
- Box.com (舊 Box.net)
- Dropbox
- 구글 달력
- 모니터/모바일 픽셀 피치 계산
- Intel CPU, 칩셋 정보
- MS윈도우 기본 단축키
- 램디스크
- 초고해상도 관련
- 게임중독
- 표준시각
- 전기요금표/ 한전 사이버지점
- HWP/한컴오피스 뷰어
- 인터넷 속도측정(한국정보화진흥원)
- IT 용어사전
- 우편번호찾기
- 도로명주소 안내, 변환
- TED 강연(네이버, 한글)
- 플라톤아카데미TV
- 세바시
- 명견만리플러스
- 동아사이언스(과학동아)
- 과학동아 라이브러리
- 사이언스타임즈
- 과학잡지 표지 설명기사
- 칸아카데미
- KOCW (한국 오픈 코스웨어) 공개강의
- 네이버 SW 자료실
- 네이버 SW자료실, 기업용 Free
- 계산기
공공데이터베이스
목록
PC Geek's
슬슬 맛이 가는 셔틀 박스에 어떤 보드를 끼워넣을 수 있을까 찾아보다 나온 것이, http://blog.danawa.com/prod/?prod_c=1236738 조탁에서 나온 셀러론 ULV를 쓴 미니 itx. 이온칩셋. 램과 하드만 끼워넣으면 된다. DDR3램이니 4G에 2-3만원이고, 하드는 뭐, 있는 거 달면 되고.. 최저가는 10만원이 안 되는데 평균가가 15만원대인 게 탈.. http://blog.danawa.com/prod/?prod_c=1219482 이런 것도 있고, 여튼 이 녀석 성능이 얼만가 보니 좀 불만족. 1080p 재생은 된다는데. 스샷은 이 링크에서. 결국 생각이, 샌디브릿지 펜티엄530 mini-ITX 젯웨이나 애즈락으로 구성해도 15만원 정도로 사니까, 그게 낫다는 결론.
CPU는 AMD의 구형(윈저) 2GHz 듀얼코어 CPU. 콘로 E2140이 나오던 2007년 구입품. (그 때 몇 만원 아끼겠다고 실수를 두 가지 했는데, 하나는 인텔CPU를 안 산 것, 다른 하나는 보드를 690G보드로 안 산 것) CrystalCPUID를 실행한 상태에서 배수 자동조절을 하면 30~60% 점유율을 차지하는데, 이 때 CPU클럭은 흔히 1GH에서 1.4GHz 사이에서 변동. 1GHz 로 고정해도 방송이 끊기지는 않지만, 플래시가 많은 사이트를 읽어들일 때나 구글문서도구, 티스토리 에디터처럼 은근히 CPU순발력이 필요한 사이트에서 조금 거시기한 면이 있음. 가볍게 오피스2003을 쓸 땐 그냥 1GHz고정해도 무방. 만약 원래 이 CPU클럭인 2GHz로 고정하면 CPU점유율은 20%를 넘나..
AMD E-350 은 아톰과 비교하는 글도 꽤 있었습니다. 저도 다른 벤치를 보면서 그렇게도 생각했는데, 꼭 그렇지는 않은 모양입니다. silentpcreview.com 에 올라온 비아코의 새 미니PC 리뷰입니다. 내장 비디오카드는 AMD Radeon 6300 시리즈라고 나온다고. http://www.silentpcreview.com/viako-ml45 - 소비 전력: 아이들 17와트. SSD같은 걸 끼워넣은 벤치가 아니라, 제대로 된 하드디스크를 넣은 실용적인 벤치. - 소음 측정 - 동영상 재생관련: h.264 1080p 동영상을 재생시켰는데, 온도는 30도 정도, 소비 전력은 23와트. 모두 나와 있으니까 꼭 보세요. 평은 아주 좋습니다. 퍼펙트하다고. 한 가지만 단점을 꼽고 있는데, 매우 조용하지..
테크파워업이란 외국 사이트입니다. http://www.techpowerup.com/reviews/Sapphire/HD_5750/28.html Radeon HD 5750 이 나왔을 때 만들었나 봐요. 지금은 HD6xxx 시리즈가 팔리니까 바로 전전 세대쯤. 상당히 많은 카드를 비교하고 있는데, 그 중 일부만 갈무리. 나머지는 저 링크로 들어가보세요. 요즘 나오는 6시리즈는 저것들보다 소비 전력이 더 줄었다고 합니다. 여튼 저걸 보면, HD5750은 idle 소비 전력이 idle 14와트, 최고로 먹을 때 85와트입니다. 저 목록에서 제일 작은 건 HD4550으로 아이들 6와트, 맥스 19와트. 요즘 HD6450도 그 비슷하지 않을까 싶은데. 만약 비디오카드를 뺀 시스템이 IDLE 60와트, 풀로드 120와..
약 4년 전 구입한 윈저3800+ CPU + RS485 보드가 드디어 한계를 보였습니다. 1080p 블루레이 영상을 보니 영상 음성 싱크가 안 맞더군요. 한 오 분쯤 보고 있자니 음성이 뒤로 밀립니다. ㅠ.ㅠ 옛날에 ATI AIW128 을 갖고 동영상볼 때와 비슷한 느낌입니다. 성능부족. 몇 가지 타개책을 생각해봤습니다. 어차피 지금 보드 출력도 d-sub기 때문에, 지포스7025를 하한으로, 가능하면 AMD780G 이상을 사용하는 보드를 중고로 구입한다. 총비용 3만원대일 듯. DDR2램 계속 사용가능. 지금 보드에서 CPU를 3GHz급으로 업글한다. (그것만으로 될까? 또 호환성은?) 비용은 ~5만원 정도 생각 전향한다. 샌디브릿지 i3-2100 + 애즈락의 DVI달렸고 PCI슬롯달린 B3스태핑 메인..
그냥 메모입니다. ----------------------------------------- 21.5인치 TN패널 LCD모니터(그린itc던가), 밝기 47, 명암 75. 내가 원하는 만큼 밝기 세팅. 최저밝기가 아니라. 컴퓨터는 0.85v 아이들. usb무선랜, pci유선랜, tv카드. cpu팬컨트롤 중. 칩셋용 40mm쿨러 두 개. 케이스 흡입팬 한 개. 둘 다 팬컨트롤 중 지난 달 중순부터 히타치 1T 7K1000.C (그 전 시게이트 250g에 비하면 확실히 적게 먹는 편) 전과 비교해 바뀐 건 이 정도. 이 본체와 모니터 시스템 소비 전력은 10회 평균내면 펄스당 약 48초. 75와트임. ※ 여기에 바라쿠다 ATA4 40GB HDD 를 하나, 그리고 usb메모리를 하나 붙이면 idle때 펄스당 약..
요즘 메인보드는 스마트팬 기능을 지원합니다. 4핀 쿨러를 꽂도록 된 보드는 모두 지원한다고 보면 되는데요(전원선 2, 회전수센서 1, 쿨러컨트롤 1핀씩), 기본 옵션보다 이걸 설정하면 훨씬 조용하죠. 보통 아무 것도 건드리지 않은 상태에서 컴퓨터에서 제일 시끄러운 건 CPU쿨러입니다. (게임중에는 VGA쿨러와 파워팬이 돌겠지만) 하지만, idle 상태에서는 더 줄여도 문제가 없거든요. 예를 들어 제 구형 보드는 BIOS 셋업 화면에서 PC Health 메뉴에 그게 있습니다. 보면, Shutdown Temp. Warning Temp 를 정해줄 수 있는데, 이건 CPU 온도가 몇 도까지 뜨거워지면 컴퓨터를 꺼라! 몇 도까지 뜨거워지면 경고음을 내라! 는 설정입니다. 일단 스마트팬의 동작 상한은 Shutdow..
1.5TB 하드디스크 비교 요즘 1.5테라짜리 하드디스크 다나와 최저가가 삼성, 시게이트, WD 모두 12만원 밑으로 내려왔습니다. 가격은 참 좋은데, 안정성이 좀.. 시게이트 7200.11 시리즈는 아직 말이 많고, WD 그린시리즈는 EARS는 아직 별 소리가 없다고 하는데 EADS는 꽝이었다고. (하긴 플래터 4장짜리 3장짜리를 같은 모델에 섞어 파는 것부터 마음에 안 들었습니다) 그리고 절전모드관련에 조금 확인할 것이 있었습니다. 삼성은 예전에 비해서는 이미지가 많이 좋아져서 구체적인 문제점을 지적하는 이야기는 아직 없습니다. 벤치마크 성능은 파코즈에서 찾아보았습니다. 삼성 HD154UI는삼성 공식 페이지에서 소비 전력을 보면, ※ 탐스하드웨어 벤치를 보면 WD와 비교해 소비전력면에서는 대등한 것 ..
뽐뿌닷컴에 올라온 옥션 링크입니다. 이건 사야 해! 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죠. 5만원짜리라니! 모양을 보아하니, 셋탑박스용으로 나왔던 물건이 아닌가 싶네요. 은행업무용같기도 하지만 앞에 VOD 등등 표시가 있고, 가운데 보이는 게 리모콘 수신부같아서 말입니다. (하지만 판매자 설명에 리모트 수신부 언급은 없으니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 나을 듯. 백패널에 IR이란 잭도 보이고요) 사양은 VIA C7 1GHz CPU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mini-ITX 보드인데, TV아웃, SVHS, 컴포넌트 출력이 있고, IDE포트는 물론, SATA포트까지 달려 있습니다. 보드가 작지만 베어본 자체는 그렇게 작지 않은데, 그건 3.5인치 HDD를 내장하기 때문. 내부에는 PCI슬롯도 있지만 그걸 이용하자면 케이스를 교체해야..
요즘 몇몇 글에 "제 노트북이 불안정해졌어요"라는 글을 적은 걸 보셨을 텐데요, 최근에는 아무 이유없이 그냥 리셋되거나, 블루스크린이 나와도 무슨 드라이버가 문제임! 이란 정보를 주지 않을 게 대부분이었습니다. 저는 이것이 윈도XP를 설치한 지 1년이 됐기 때문에, 그리고 여기 올린 여러 가지 프로그램 사용기를 쓰느라 설치한 게 많아서 그런가보다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한 번 밀려고 했는데.. 속는 셈 치고 전압을 한 번 올려봤습니다. (지금까지는 저전압 설정으로 쓰고 있었거든요. 제 노트북 저전압 설정과 소비 전력 측정글) 증상이 Firefox와 Chrome에서는 괜찮지만 IE에서 집중적으로 생기는 것이 아무래도 설정이 꼬여 부하를 더 먹는 건 아닐까.. 이런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전에 "전..
Viewed Posts
|
Recent Comments
|
Recent Pos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