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공공기관
도구
- 스마트폰,태블릿 화면크기비교
- 양쪽 윈도우키를 한영한자키로(AutoHotKey)
- 매크로: Robotask Lite
- 파일이름변경: ReNamer Lite
- 파일압축: 반디집
- 공공서식 한글(HWP편집가능, 개인비영리)
- 오피스: 리브레오피스(LibreOffice)
- 텍스트뷰어: 이지뷰어
- PDF: FoxIt리더, ezPDF에디터
- 수학풀이: 울프램 알파 ( WolframAlpha )
- 수치해석: 셈툴, MathFreeOn
- 계산기: Microsoft Mathematics 4.0
- 동영상: 팟플레이어
- 영상음악파일변환: 샤나인코더
- 이미지: 포토웍스
- 이미지: FastStone Photo Resizer
- 화면갈무리: 픽픽
- 이미지 편집: Paint.NET, Krita
- 이미지 뷰어: 꿀뷰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검색
- KS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해외시장뉴스
- 엔팩스(인터넷팩스발송)
- 구글 드라이브(문서도구)
- MS 원드라이브(SkyDrive)
- 네이버 N드라이브
- Box.com (舊 Box.net)
- Dropbox
- 구글 달력
- 모니터/모바일 픽셀 피치 계산
- Intel CPU, 칩셋 정보
- MS윈도우 기본 단축키
- 램디스크
- 초고해상도 관련
- 게임중독
- 표준시각
- 전기요금표/ 한전 사이버지점
- HWP/한컴오피스 뷰어
- 인터넷 속도측정(한국정보화진흥원)
- IT 용어사전
- 우편번호찾기
- 도로명주소 안내, 변환
- TED 강연(네이버, 한글)
- 플라톤아카데미TV
- 세바시
- 명견만리플러스
- 동아사이언스(과학동아)
- 과학동아 라이브러리
- 사이언스타임즈
- 과학잡지 표지 설명기사
- 칸아카데미
- KOCW (한국 오픈 코스웨어) 공개강의
- 네이버 SW 자료실
- 네이버 SW자료실, 기업용 Free
- 계산기
공공데이터베이스
목록
PC Geek's
AMD에서 배포하는 것입니다. 프리웨어라고 하네요. 아래 그림에 Freeware 라고 적혀 있어 더 확인하지 않습니다. * 홈페이지/다운로드: http://www.radeonramdisk.com/ * 알게 된 곳[ 링크] 인텔, AMD 시스템 모두 쓸 수 있다고. 그 말은 칩셋을 가리지 않는다는 뜻이겠죠? 이걸 왜 만들었을까요? 읽어보면, AMD메모리를 장착했으면 6기가까지 만들 수 있는 프로모션 운운하는데.. AMD에서 디램도 팔았나? 그럼 디램 번들로 출시하는 거야? 설마.. 일단 저 그림에 따르면, 램디스크 용량은 최대 4GB 제한 지원하는 OS는 윈도 비스타 이후로 제약이 붙어있습니다. (윈도 XP사용자는 개인용 무료 버전으로는 VSuite Ramdisk 을 추천) 보통 램드라이브 종류는 다른 제..
데이터램 램디스크는, 개인용으로 쓸 수 있는 프리웨어 버전은 램디스크 파티션을 생성할 때 NTFS 로 자동포맷해주지 않고(이미지 파일 저장하는 경우에는 NTFS로 사용자가 포맷하면 그 이미지를 마운트해 쓸 수 있게 해주는 모양이지만), 드라이브 문자도 자동으로 지정합니다. 그래서 저번 사용기에는 드라이브 문자를 지정할 수 없다고 적었는데요, 그게 되더군요. 윈도 제어판, 디스크 관리로 들어가서, 램디스크 파티션에 마우스 오른버튼을 올린 뒤에 드라이브 문자 변경 메뉴로 들어가 바꿔주면 됩니다. 램디스크 이미지를 저장하지 않더라도, 설정은 저장되는지 알아서 됩니다. 매뉴얼을 읽어보니, 윈도의 그 관리자가 뜨기 전에 데이터램의 장치드라이버가 먼저 떠서, 장치관리자에서 지정한 게 항상 적용되는 모양입니다. 1달..
VSuite Ramdisk는 윈도 XP정도만 지원하는 관계로 다른 걸 찾다가 당분간 같은 회사의 상용 프로그램인 프리모 램디스크를 쓰고 있습니다. 30일 시험판입니다. 제작사 사이트는 여기: http://www.romexsoftware.com/en-us/primo-ramdisk/index.html 버전별 비교는 여기: http://www.romexsoftware.com/en-us/primo-ramdisk/features.html 어떤 화면이 나오는 지 스크린샷을 남깁니다. 이것이 실행화면입니다. 램디스크가 하나 잡혀있습니다. 등록 아이콘을 누르면 나오는 화면 램디스크를 만들어보겠습니다. 새로 추가하면 먼저 용량을 정하고, SCSI로 에뮬레이트할 건지 아니면 직접IO를 할 것인지 정합니다. DirectIO..
아직 베타테스트 중이라고 합니다. 180일간 사용할 수 있는 버전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http://www.romexsoftware.com/en-us/fancy-cache/index.html 이 프로그램은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동작한다고 해요. 저도 아직 안 써봐서 모르겠지만, 설명에 보면 몇 가지 눈에 띄는 구절이 보이는데, 1) 레디부스트와 비슷하게 동작시킬 수 있고2) SSD를 캐시 매체로 쓸 수 있고3) 하드디스크 중 특정 볼륨만 지정해서 캐시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 이렇습니다.3번같은 건, 즉, 주 작업에 필요한 하드만 이 프로그램이 캐시할 수 있도록 한다는 건데..윈도 시스템 캐시를 무시하고 동작할 수 있는 지는 확인해봐야.설명 중에는, 윈도 캐시를 무시하는 기능을 가진 프로그램들이 있는데..
아쉽게도 애즈락 메인보드 사용자만 되는 모양입니다.다른 보드 사용자도 설치는 할 수 있지만, 동작하지는 않습니다. 성능은, 몇 군데 검색해본 글로는 기능은 많지 않지만 가볍게 쓰는 용도로는 웬만한 상용 램디스크보다 못하지 않다고 합니다. http://www.asrock.com/feature/xfastram/ 그런데, 애즈락이 ASUS 자회사쟎아요? 그런데 보면 인스턴트 부트였나? 그것도 그렇고 이 프로그램도 그렇고.. 탐나는 프로그램은 애즈락 메인보드에서만 돌아갑니다. 괜히 배아프달까.. 더 비싼 보드에서 왜 안 되는 건데? -_-
2012.9.1. 내용추가 갱신합니다. VSuite Ramdisk 가 윈도XP용은 프리웨어버전이 동작하는데, 윈도7에선 상용을 써야 해서 찾아본 것 중 하나입니다. 제작사 주소: http://www.bonddisc.com/ 인스톨러 다운로드 주소: http://www.bonddisc.com/install.htm 보통 램디스크에 있음직한 그런 게.. 잘 안 보입니다. 기능이 없다는 게 아니라, 기능이 너무 많고 메뉴가 복잡해서 어디 붙었는 지 모르겠어요. 대충 드라이브 문자잡고 용량잡고 붙이는 건 바로 됩니다만.. 스샷 나갑니다. 사용조건에 동의하면 콘솔창이 열리면서 설치됩니다. 장치 드라이버를 만들므로 윈도7에선 이런 창을 봅니다. 시작프로그램 항목에도 하나 등록합니다. 도움말이 나온 뒤에, 장치관리자 ..
12가지 램디스크 벤치라는 글을 보고 깔아본 것입니다. VSuite Ramdisk가 윈도 7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호환성모드로 억지로 깔 수 있을 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시도해보지 않았습니다) http://www.ltr-data.se/opencode.html/#ImDisk이건 일단 개인에게 무료입니다. 설치하고 나면 윈도 제어판에 메뉴가 생깁니다. 본 화면 처음이니까, mount new를 클릭합니다.아래와 같이 잡아줍니다. 이미지를 정해줄 수 있습니다. 종료할 때 저장하고 시작할 때 읽어오는 그거겠죠.이미지는 읽기 전용, 읽기 쓰기 가능하게 둘 다 됩니다. 만들고 나면 포맷하게 됩니다. 포맷형식은 마음대로.
윈도 7에서 설치됩니다. 개인에게 무료인 퍼스널 버전에서는 드라이브 문자를 지정할 수 없습니다. 주소: http://memory.dataram.com/products-and-services/software/ramdisk 설치 화면 메뉴. 포맷은 이렇게 돼있네요.. NTFS를 쓸 수 있는지 부분은 확인 필요. 이미지 저장 가능. Start Ramdisk를 클릭하면 램디스크 장치를 설치할까 묻습니다. 재부팅은 필요없습니다. 성능은 VSuite와 비슷해보입니다.
http://www.romexsoftware.com/en-us/vsuite-ramdisk/download.html
수퍼스피드 램디스크는 상용 프로그램입니다. 궁금해서 깔아본 내용 메모입니다.http://www.superspeed.com/desktop/ramdisk.php 두 가지 버전이 있습니다. 그 중 Ramdisk 버전을 설치. 14일 시험판입니다. 설치를 마치면 장치 관리자에 램디스크를 등록하고, 컴퓨터를 재시작하라고 요구합니다. 첫 실행화면 (+) 버튼을 누르면 램디스크를 만듭니다. 다 만든 다음에는 포맷. 전송률이 얼마나 나오나 궁금해서 HDTune 2.55를 실행해보았습니다.이 컴퓨터는 DDR2 800 램이며 싱글 채널입니다. 전송률은 희한하게 나왔는데, 원래 하드디스크벤치 프로그램이라 그런 모양입니다.한 번은 1200MB/s 가 나오고, 한 번은 600MB/s 가 나오네요.
짧은 경험담. 도움 안 되는 메모입니다. eboostr 이란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여러 차례 적었습니다. 저건 윈도XP에서 readyboost 를 해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죠. 프로그램값이 램값보다 비싼 요즘은 그리 쓸모가 없지만요. ㅎㅎ 램을 달면 더 나으니까요. 요즘은 컴퓨터 사용 환경이 좀 제약된 경우에나.. readyboost나 eboostr 둘 다 안 쓰고도 USB메모리나 플래시메모리를 캐시로 쓰는 방법은 있습니다. 바로, 제어판에서 스왑파일 폴더 설정하는 부분을 열어서 USB메모리에 스왑을 할당하는 거죠. 윈도 7이라면 제어판> 시스템> 고급 시스템 설정 > 성능 > 설정> 고급 > 가상메모리 로 들어가면 됩니다. 다르게 적어서 그렇지 메뉴는 XP와 같아요. 여기서 USB메모리의 드라이브 문자를 ..
옛날 플로피디스크에는 쓰기 금지 탭이 있었습니다. SD메모리카드도 그게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 많이 쓰는 microSD나 usb메모리에는 그런 거 없습니다. 그래서 생각한 편법입니다. 안 쓰는 저용량 microSD 카드를 SDcard 어댑터에 담습니다. SD카드 어댑터는 보통 쓰기금지탭 혹은 Lock스위치가 있으니까 그걸 쓰자는 거죠. 그리고 그 어댑터를 다시 SD card reader 기에 넣습니다. 요즘은 그냥 그거 넣고 뚜껑을 닫아버리면 부피는 크지만 -_-; usb메모리 대용으로 쓸 수 있기는 하더군요. 어쨌든 공인인증서나 인스톨시디 이미지처럼 한 번 넣어 두면 읽기만 할 것들은 일단 복사해 넣은 다음 저 탭을 내려서 읽기만 가능하게 한 뒤에 넣어 쓰자는 이야기. 무척 번거롭고 쓸데없는 짓이긴 한..
기사가 떴군요. 일반 USB를 소프트웨어 조작만으로 국가정보원 인증 보안 USB로 만들어준다는 얘긴 다 엉터리란 기사입니다. 국정원은 그런 거 안 해준다고. 그냥 일반 USB쓸 것 같으면 TrueCrypt 같은 암호화툴을 깔아 쓰는 건 어떨까요.
요즘 램값이 싸죠. 램 2~4G(※) 와 윈도 XP 구성에서 포토샵 대용량 파일 편집을 하지 않는다면 아래와 같이 해줘도 나쁘지 않을 겁니다. 아마 윈도 시스템이 사용하는 시작메뉴나 시스템dll을 더 많이 메모리로 읽어오는 것 같네요. 이건 제어판> 시스템> 고급 탭 > 성능항목의 설정> 고급 탭 ※ 윈도XP는 OS 전체에서 램 3.xx GB이상은 사용하지 못합니다 PAE 옵션을 사용해서 더 쓸 수 있기는 하지만 그건 메인보드에 따라 까다로울 수 있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더 상위버전 윈도는 32비트건 64비트건 조금씩 제약이 풀렸다고.
usb메모리 에러가 나서 써본 체크하고 초기화하는 유틸리티 몇 가지와 스샷입니다. http://cafe.naver.com/ultimateusb.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clubid=17324811%26articleid=707 http://en.kioskea.net/download/download-815-hdd-low-level-format-tool http://www.softpedia.com/dyn-postdownload.php?p=101054&t=4&i=1 http://muzbox.tistory.com/195
아래 내용은 제 컴퓨터에서 한 번 해본 결과입니다. 주의해 읽어주세요. 컴퓨터는 램 1G입니다. 먼저 IE로 옥션 상품창 중에 좀 양이 많은 페이지 네 개를 열었습니다. 단, 플래시는 전부 꺼주었습니다. 토렌트는 램을 얼마나 점유할까 다운 0.6 kB/s 업 20 kB/s 인 상태던 토런트를 죽여보았습니다. ※ 이 토렌트 설정 상태는 여기 페이지파일이 한 400MB 정도 줄었습니다. 그리고 사용 가능한 실제메모리가 230MB 정도 늘었습니다. 많이 먹고 있었군요. 램 1GB밖에 안 달린 컴퓨터에서 이건 타격이 됩니다. 그리고, 여기서 옥션 상품설명 웹페이지를 하나 꺼보았습니다. 실제 메모리가 240MB 정도 돌아왔고, 페이지파일도 360MB정도 줄었습니다. 자, 이제 웹서핑용 컴퓨터가 저사양이란 말은 해..
윈도XP는 약 10년 전에 나온 것이니까요. 요즘 윈도7에서는 이거 바뀌었나 해서 적어봅니다. 슬슬 데탑에 7 깔아봐야겠네요. "하드웨어 안전 제거" 기능을 모르는 사람은 요즘 없을 겁니다. 컴퓨터를 사용하지만 요즘 기준으로 컴맹이라고 할 저의 부모님도 알고 계십니다. USB메모리에 저장한 공인인증서라든가, 엑셀 파일이 깨지지 않도록 하려면 "이렇게 제거하세요~" 하고 알려드린 대로 잘 지키시거든요. 어르신들은 절대로 해선 안 되는 거, 반드시 해야 하는 거라고 단순한 거 하나 가르쳐드리면 잘 지키십니다. 이거 저거 복잡하게 설명 들어가면 어렵지만. 여튼 저 기능은 Microsoft가 윈도 XP 지원을 종료할 때까지 하나도 변하지 않고 저렇게 남았습니다. 트레이에 있는 아이콘에 마우스 우버튼 클릭해서 종..
서핑중 알게 된 팁 몇 가지가 있어서, 그 링크들을 전에 램디스크 관련해 적은 글 링크와 함께 정리했습니다. 옛날 글: 여기는 IE 임시 폴더를 램디스크에 정해주는 방법, VSuite Ramdisk사용법 등입니다. http://dsct1472.tistory.com/93 램디스크 드라이브, 이를테면 Z:드라이브 하나를 온전하게 구글 크롬 인터넷 캐시폴더로 사용하는 방법. 디스크 관리자에 보면 NTFS 파일 시스템은 폴더 밑에 다른 드라이브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옛날 도스시절 SUBST/JOIN 비슷한 것입니다. 잘 동작하는 모양입니다. 아, 구글 크롬에서는 임시 인터넷 폴더 크기를 정해주는 방법은 아직 찾지 못했습니다. 이 방법은 IE/크롬/불여우 모두 적용할 수 있지만, 브라우저마다 램디스크를..
작년 연말께 용산 소이전자 서비스센터에 다녀왔습니다. 예전에 구입해 애니콜 S510에 끼워 사용하던 microSD 1GB 메모리카드가 인식이 안 됐기 때문인데요, 여름에도 한 번 갔는데 마침 간 날이 하계 휴가라 다른 일만 보고 돌아올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번에는 확실하게 확인하고 찾아갔습니다. ^^ ※ 소이전자 홈페이지: http://www.soi.co.kr/ 갈 때 준비물은 소이전자 정품 홀로그램 스티커가 붙은 메모리카드. 정품 스티커는 위 홈페이지에서 확인합니다. 이게 용량별로 정품 여부를 미리 확인하는 방법이 있거든요. 혹시 잘못 알고 소이전자 제품이 아닌 걸 구입했다면 헛걸음이니 미리 확인. 교환은 금방 됐습니다. 홀로그램을 확인하고 바로 해주시더군요. 한 가지 좋은 일도 있었고.. ^^; 1기..
Viewed Posts
|
Recent Comments
|
Recent Pos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