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요즘 주택용 수도계량기, 원격검침기계를 보급하더군요 본문

저전력, 전기요금/real DIY

요즘 주택용 수도계량기, 원격검침기계를 보급하더군요

수도계량기의 수명이 8년이던가? 몇 년 되는데, 
그 기간이 지나면 지역 수도사업소에서 계량기를 교체해줍니다.
새 계량기는 디지털 방식인데, 원격검침기를 붙여주는 곳도 있습니다. 아직은 전면 시행은 아니고 시범사업인 것 같습니다만.. 앞으로 전기도, 가스도 그렇게 바뀌겠죠. 이런 기계는 2017년에 이미 개발되었고 지자체들이 관심을 보였다는 기사가 보입니다.
 

 
전기쪽은 스마트그리드사업과 연동돼있기도 하고,
요즘 전기요금을 골격은 일단 계시제로 바꾼 상태인데 그걸 본격적으로 적용하려면
(발전단가가 비싼 시간대면 전기요금도 비싸게, 싼 시간다면 전기요금도 싸게.. 여기에 개인 태양광 발전소에서 남는 전기가 있어 그게 전력망에 유입될 때, 전력망에 주는 부담을 수수료로 제하고 기여분을 지급한다든가하는 것도 길게 보면 가능해지겠지요)
서울시는 LoRa라는 통신방식으로 공공 IoT망을 구축하겠다고 발표한 적 있습니다. 이제 발표한 것이니 지금 설치한 것은 다른 방식이겠죠.
 
 
인구밀도가 낮고 인력부담이 있는 지방에서는 이미 하고 있군요.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51010148254800 

 

김해시, 수도계량기 원격검침시스템으로 교체 - 머니투데이

(경남=뉴스1) 김명규 기자 = 경남 김해시가 기존 상수도 계량기를 무선으로 검침하는 '스마트 원격검침시스템'으로 교체한다고 10일 밝혔다. 시는 올해 말까지 44억원을 ...

news.mt.co.kr

https://www.gwnews.org/news/articleView.html?idxno=213530 

 

횡성군 수도계량기 스마트 원격검침기 설치 - 강원신문

횡성군이 관내 수도계량기를 전자식계량기로 교체하고 원격검침기를 설치하여, 실시간 검침을 통해 주민만족 물 복지 실현을 추진한다.횡성군은 수도계량기 15,879전에 대하여 2021년부터 3년간

www.gwnews.org

https://www.wikitree.co.kr/articles/631775

 

해남군, 상수도 검침 원격으로 바꾼다

2025년까지 전체 계량기 교체, 스마트 원격검침 도입

www.wikitree.co.kr

 
시골지방의 경우 다른 이야기도 있는데, 물사용 패턴을 보고서(아마도 전기, 가스 등 다른 것도 같이 조합하겠지만) 노인가구의 생활에 문제가 생겼는지 감지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354833 

 

“열 자식 안 부러운 수도 계량기”…‘원격 검침’으로 고독사 막는다

[앵커] 혼자 사는 어르신들이나 장애인 1인 가구의 경우, 갑자기 몸이 아프거나 다쳤을 때 위급 상황을 알...

news.kbs.co.kr

 
서울시는 2018년에 계획을 세웠고, 지금은 시범보급기간입니다. 요금도 모바일고지. 서울시의 원격검침은 인구밀도가 높고 수도인프라가 좋아 누수도 적은 서울특성상 아직은 인력으로 해도 되지 않냐는 반발도 있는 모양입니다. 일단은 이게 완전히 정착되면 검침원 일자리는 없어지니 그런 듯.
https://www.hani.co.kr/arti/area/area_general/845776.html

 

인력검침보다 3배 비싸…서울시 원격 상수도검침 도입 논란

서울시 올 12억 투입해 시범사업 2025년까지 전면도입 1587억 들어 전문가들 “수도 요금 상승 가능성 누수율도 낮아 도입 필요성 모호”

www.hani.co.kr

 
 
"역설적으로 코로나19가 ICT가 더욱 발전하는 촉진제 구실을 하고 있다. 그리고 기업도 시간과 비용 절약에 힘입어 영업 기회 및 부가가치를 최대화하고 있다. 운 좋게 코로나19 사태가 끝나더라도 비대면 시스템의 필요성은 계속되리라 본다. "
https://www.etnews.com/20210702000080

 

[기고]비대면 시스템의 장래

코로나19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비대면 필요성이 대두했다. 지금까지 대면에 의해 해결한 것을 비접촉(untact)으로 해야만 된다. 인터넷, 통신선과 이에 연결된 정보통신기술(ICT) 장치의 도움을 받

www.etnews.com

 
여담으로, 이것은 원격검침과는 별개로 앞으로도 사람이 필요한 일이지만, 6개월마다 검침원이 방문해 가스누출이 있는지 점검하도록 되어 있는 도시가스 안전 점검도(밸브주변 배관에 무슨 기계를 대보는 것 같던데), 올해 서울특별시쪽은 코로나19때문에 상반기, 하반기 모두 의무점검이 아니고 받고 싶은 가정만 받도록 한 것 같습니다.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