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공공기관
도구
- 스마트폰,태블릿 화면크기비교
- 양쪽 윈도우키를 한영한자키로(AutoHotKey)
- 매크로: Robotask Lite
- 파일이름변경: ReNamer Lite
- 파일압축: 반디집
- 공공서식 한글(HWP편집가능, 개인비영리)
- 오피스: 리브레오피스(LibreOffice)
- 텍스트뷰어: 이지뷰어
- PDF: FoxIt리더, ezPDF에디터
- 수학풀이: 울프램 알파 ( WolframAlpha )
- 수치해석: 셈툴, MathFreeOn
- 계산기: Microsoft Mathematics 4.0
- 동영상: 팟플레이어
- 영상음악파일변환: 샤나인코더
- 이미지: 포토웍스
- 이미지: FastStone Photo Resizer
- 화면갈무리: 픽픽
- 이미지 편집: Paint.NET, Krita
- 이미지 뷰어: 꿀뷰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검색
- KS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해외시장뉴스
- 엔팩스(인터넷팩스발송)
- 구글 드라이브(문서도구)
- MS 원드라이브(SkyDrive)
- 네이버 N드라이브
- Box.com (舊 Box.net)
- Dropbox
- 구글 달력
- 모니터/모바일 픽셀 피치 계산
- Intel CPU, 칩셋 정보
- MS윈도우 기본 단축키
- 램디스크
- 초고해상도 관련
- 게임중독
- 표준시각
- 전기요금표/ 한전 사이버지점
- HWP/한컴오피스 뷰어
- 인터넷 속도측정(한국정보화진흥원)
- IT 용어사전
- 우편번호찾기
- 도로명주소 안내, 변환
- TED 강연(네이버, 한글)
- 플라톤아카데미TV
- 세바시
- 명견만리플러스
- 동아사이언스(과학동아)
- 과학동아 라이브러리
- 사이언스타임즈
- 과학잡지 표지 설명기사
- 칸아카데미
- KOCW (한국 오픈 코스웨어) 공개강의
- 네이버 SW 자료실
- 네이버 SW자료실, 기업용 Free
- 계산기
공공데이터베이스
목록
PC Geek's
1.복합기의 스캐너를 쓸 일이 생겨서 요즘 프로그램은 뭐가 있나 보다가,결국 다시 저걸 찾아 깔아본 후기. 이 블로그에서 스캐니토, scanitto 라고 검색하면 과거 사용기가 여럿 나오니까 기본적인 것은 생략한다. 제작사 웹사이트에 가 보니, 값은 안 오른 것 같고 라이트 버전은 없어졌다. 프로 버전만 있고 기능제한없이 30일 사용 가능한 시험판을 받을 수 있었다. 설치하고 써보니 과거와 비슷했다.좋은 점도 비슷하고.. 전에는 몰랐는데, 프로그램 본 화면 오른 쪽의 이미지 리스트는 스캔 이미지만 들어가는 게 아니라, 그냥 외부 이미지도 넣은 뒤에 마음껏 정렬해 PDF파일이나 TIFF파일로 저장할 수 있더라. 꽤 괜찮다. 그리고 스캔뜬 이미지의 회전기능도 지원한다. 그 외 부가 기능이 더 있다. 이런 종..
소스포지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https://sourceforge.net/projects/naps2/?source=typ_redirect 스캔 영역을 프리뷰에서 지정할 수 없고, 문서 크기는 지정할 수 있습니다.OCR기능, PDF로 묶어 저장하기 기능이 있어 편리합니다.저장 용량은 괜찮아보이는데, 품질은 잘 모르겠네요. 나쁘다고 말하기에는 몇 장 안 해봤고 좋다고 하기에는 조금 애매? 메뉴에 보이듯 품질조정됩니다.PNG파일로 저장할 수 없고, 스캔품질을 JPG %로 지정하는 것 같습니다. 스캔 속도는.. 이건 드라이버와 궁합이 잘 맞아야 하는 것이라 패스. 사용팁: 평판스캔을 많이 할 땐, 주화면의 스캔버튼을 누르기보다 프로파일창을 열어 스캔버튼을 누르는 게 편할 때가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에서 여러 개..
34인치라 그렇게 큰 건 아닌데(특히 세로), 생긴 건 재미있네요.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park&wr_id=46199689http://www.lg.com/us/commercial/21-9-ultrawide-monitors/lg-34UC87M-B 커브드 모니터라서 2개를 옆으로 놓으면 사람의 시야를 어느 정도 자연스럽게 커버할 수 있다고 합니다. 주식이나 파생하는 사람들용처럼도 느껴지는데, 게임쪽으로도 아주 좋겠습니다. 게임 목적이라면 "약간 더 심하게 굽은" 모니터가 필요할 지도 모르겠어요. ㅎㅎ특히, 플라이트 시뮬레이터(그리고 혹시 유로트럭같은 자동차 게임)에서 혹시하는 생각도 듭니다. 모니터를 박스형으로 어색하게 둘러싸지 않아도 될까 하..
이런 건 잘 알고 해본 적이 없어서, 오랜만에 [ 관련글 ]을 본 김에 메모해둡니다. :) - 원격 관리 포트 지정.. 혹시 설정변경할 때를 위한 것.- DDNS 설정: iptime 에서 제공하는걸 사용할 수 있음.- VPN 설정: PPTP. 공유기 설정에서 활성화 체크, 아이디/비번 설정, 할당할 내부IP- 스마트폰 모바일 네트워크를 써서 외부 망을 통해 정상동작 확인할 것. 아이피타임 웹사이트의 관련글. ■ ipTIME 공유기 VPN 서버 사용하기/ 그 외 리스트1. 공유기에서 VPN서버 활성화2. 윈도우에서 VPN접속하려면, 네트워크 연결에서 회사 네트워크, 가상 사설망을 골라주어야 함. 저 글은 윈도우XP 기준, 윈도우 7 기준으로 설명글이 두 가지 있음. 크게 다른 건 없어보임. 그런데, 데이터..
그 해상도는 27인치도 버겁고 다시 쓰고 싶은 마음이 안 들지만요즘은 이상하게 39인치 4K모니터가 드물고 저게 많아졌습니다. 값도 15만원 정도까지도 나오네요.해상도가 full HD를 넘지만 요즘 나오는 것들은 저렴이 중에도 HDMI포트를 단 게 많아서(즉, 바이패스방식 모니터가 아닙니다) 듀얼링크 DVI아니라도 쓸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렇다면 하스웰 칩셋 이후 메인보드 중 메인보드 제조사가 HDMI포트로 2560 해상도 이상을 출력하도록 만든 거라면, 메인보드 백패널의 인텔 내장 그래픽 HDMI포트에 연결해서 해상도를 볼 수 있을 것 같네요.
이게 맞는 지는 모르겠지만.해보니 처음에는 누래진 것 같았는데 좀 지나고 보니 모르겠네요.눈이 쉽게 잊어버립니다.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버튼 클릭. 문맥 메뉴 호출한 뒤 nVidia 제어판 클릭 왼쪽 메뉴에서 디스플레이> 바탕 화면 컬러 설정 조정오른쪽 화면에서 2번. nVidia 설정 사용 체크컬러 채널에서 청색 선택밝기가 기본 50%로 되어 있을 텐데 그것을 40%로 줄여 줌. 화면 색감이 좀 달라질 것임(노란 기가 들 것임)변경사항이 생기면 제어판 창 오른쪽 하단에 적용 버튼이 생기니까 그걸 클릭. 그냥 모니터 OSD 메뉴 패널을 호출해 색온도를 줄여주는 게 좋습니다만(눈생각해서 이렇게 할 정도면 먼저 모니터 메뉴에서 색온도를 낮추라고 하죠.기본값이 9300K 일 텐데 그걸 6500K 로 줄여주라..
다행이도 저는 이런 극악한 녀석은 써본 적 없습니다. ㅋㅋ출처: 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park&wr_id=44068500 전원키에는 투명 안전캡이라도 씌워놔야겠습니다. 대신, 그 당시 많은 노트북처럼, 오른쪽 쉬프트키가 반절 잘려서 커서 윗방향키와 공유하는 녀석은 써봐서, 꽤 골치였던 게 생각났습니다. 이게 왜 문제였냐 하면, 윗방향화살표만 눌렀는데 실수로 쉬프트+윗방향화살표가 동시에 눌려서 그 다음에 문자나 숫자키를 치면, 그건 편집화면에서 범위지정한 뒤 삭제하고 새 문장을 친 거나 같았기 때문에. ;;
보통 CD음질, 그러니까 16bit 44.1kHz 포맷으로 재생, 녹음, 출력하도록 기본값이 잡혀 있다.웬만해선 손댈 일이 없다. 메인보드에 들어간 부품이 거기서 거기인 데다 고품질로 듣고 싶은 사람들은 사운드카드를 별도로 달기도 하고, PC-Fi를 한다는 사람들은 그냥 USB외장카드와 앰프를 쓰기도 하더라. 하지만 이런 옵션이 있다는 건 안 김에 스크린샷을 찍어 둔다. 윈도우 트레이 화면에 주황색 스피커 아이콘이 이 프로그램. 아래 화면에서는, 스피커, 헤드셋 출력은 24bit 96kHz까지,마이크 입력은 16비트 96kHz까지,스테레오 믹스는 16비트 96kHz까지 고를 수 있다.높을수록 좋지 않은가..그럴 것이다. 이거 좀 높인다고 CPU점유율이 확 오르지도 않을 테고(그렇겠지?). 다만, 프로그램..
아래 글인데요,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lecture&wr_id=302113이 하드디스크, 꼼수를 써서 용량을 늘렸더군요. ㅎㅎ 추가.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park&wr_id=43510274 시게이트 사이트에 이런 설명이 있는데http://www.seagate.com/kr/ko/tech-insights/breaking-areal-density-barriers-with-seagate-smr-master-ti/ 90년대 말에 자기저장매체의 용량을 늘려주는 방법 중에 저런 게 있었습니다.신형 자기매체 드라이브에서 플로피디스크 용량을 몇 배로 늘려주는 기법이 저거 비슷했어요. 그러니까, ..
Viewed Posts
|
Recent Comments
|
Recent Pos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