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공공기관
도구
- 스마트폰,태블릿 화면크기비교
- 양쪽 윈도우키를 한영한자키로(AutoHotKey)
- 매크로: Robotask Lite
- 파일이름변경: ReNamer Lite
- 파일압축: 반디집
- 공공서식 한글(HWP편집가능, 개인비영리)
- 오피스: 리브레오피스(LibreOffice)
- 텍스트뷰어: 이지뷰어
- PDF: FoxIt리더, ezPDF에디터
- 수학풀이: 울프램 알파 ( WolframAlpha )
- 수치해석: 셈툴, MathFreeOn
- 계산기: Microsoft Mathematics 4.0
- 동영상: 팟플레이어
- 영상음악파일변환: 샤나인코더
- 이미지: 포토웍스
- 이미지: FastStone Photo Resizer
- 화면갈무리: 픽픽
- 이미지 편집: Paint.NET, Krita
- 이미지 뷰어: 꿀뷰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검색
- KS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해외시장뉴스
- 엔팩스(인터넷팩스발송)
- 구글 드라이브(문서도구)
- MS 원드라이브(SkyDrive)
- 네이버 N드라이브
- Box.com (舊 Box.net)
- Dropbox
- 구글 달력
- 모니터/모바일 픽셀 피치 계산
- Intel CPU, 칩셋 정보
- MS윈도우 기본 단축키
- 램디스크
- 초고해상도 관련
- 게임중독
- 표준시각
- 전기요금표/ 한전 사이버지점
- HWP/한컴오피스 뷰어
- 인터넷 속도측정(한국정보화진흥원)
- IT 용어사전
- 우편번호찾기
- 도로명주소 안내, 변환
- TED 강연(네이버, 한글)
- 플라톤아카데미TV
- 세바시
- 명견만리플러스
- 동아사이언스(과학동아)
- 과학동아 라이브러리
- 사이언스타임즈
- 과학잡지 표지 설명기사
- 칸아카데미
- KOCW (한국 오픈 코스웨어) 공개강의
- 네이버 SW 자료실
- 네이버 SW자료실, 기업용 Free
- 계산기
공공데이터베이스
목록
PC Geek's
어째선지 버튼 하나만 누르는 감이 나빠졌는데, 꾹 눌러야 되고 바로 경쾌하고 클릭하는 느낌이 안 왔다.그래서, 전에 사이트에서 읽은 내용이 생각나서 응급조치해준 것을 적어둔다.그 사이트에선, 오래 써서 스위치가 닳아서 그렇다고 표현하고 있는데, 어쨌든 쓰다 보니 유격이 더 생겨서 누를 때 바로 클릭감이 안 온다는 것으로 해석.마우스를 분해한다.조립은 분해의 역순이므로 속을 좀 봐둔다. MX310은 휠버튼 클릭 동작기구가 저렴이와 조금 다르다.왼버튼 클릭 스위치는 상단에 있다. 셀로판테이프를 몇 겹 접고 한 끝은 접착면을 살려둔다.접착면을 스위치 옆에 붙이고, 스위치 위에는 몇 겹 접은 면이 얹히도록 한다.그대로 테이프 접은 면이 바우스 버튼과 스위치 사이에 오도록 해서 조립한다.써보니.. 전보다는 낫다...
대기모드로 들어간 컴퓨터가 자꾸 켜짐.바이러슨가 했는데, 그 쪽은 찾아봐도 짚이는 게 없음.그래서 혹시, USB접점이 안 좋아서 마우스가 붙었다 떨어졌다하는 게 아닐까 싶어서, 대기모드에서 마우스를 인식하지 않도록 해보기로 함(만약 그렇다면 그건 마우스탓일 수도 보드탓일 수도 있음). 듀얼링크DVI모니터고 언제부턴가 부팅할 때 BIOS에 들어가는 화면이 안 나오는 관계로 윈도우에서 마우스로 대기모드 해제하는 걸 끄기로 함. 지난 번에 켜진 이유는? powercfg -LASTWAKE 를 해보라고 해서 해보니 이렇게 나옴.뭔진 몰라도 USB연결장치. 장치관리자에는 마우스와 키보드밖에 안 보임. 그래서 HID마우스 장치에서"이 장치를 사용하여 컴퓨터의 대기 모드를 종료할 수 있음" 체크박스에 표시돼 있는 걸 ..
AKG Q701 모델.그냥 검색해서 뜬 링크:http://us.akg.com/akg-product-detail_us/q-701.htmlAKG.com골든이어스 리뷰http://ko.goldenears.net/board/4233193 요약 먼저.1. 귀는 소중하다.2. 미치도록 좋다. 싼 헤드셋은 볼륨키워봤자 귀만 아픈데 이건 그냥.. 아파트에선 꿈도 못 꿀 음량으로 컴포넌트 오디오틀어놓은 느낌. 악기든 보컬이든 소리가 머릿속에 쏙쏙 들어오면서도 귀가 안 아픔. 뭘 들어도 음악이 좋음.허탈함. 음악들으면서 웃음이 막 나옴. 처음 이걸 들었을 때는 요즘 유행인 24비트 음원에 전용 재생기라서 그러려니 했는데,집에 와서 컴퓨터에 끼워 쓰던 싸구려 헤드셋으로 음악을 듣고, 같은 곡을 이 헤드폰으로 들으니별로 고음..
윈도우 업데이트때 선택사항으로 뜨긴 하지만안 할 수도 있고 에러나는 수도 있고.. 조립 PC라면 필요할 지도 모를 업데이트 유틸리티 http://www.intel.com/p/ko_KR/support/detect이 유틸리티를 실행하고 나서 드라이버 다운로드받아 설치프로세스로 갈 때까지는 컴퓨터를 재시작할 필요는 없습니다.
휠에는 클릭기능이 없고,앞 손가락 세 개 자리에 버튼이 있는 형태. 캐드(CAD)용으로 나왔다는데, 그래서 옆에 forward/back버튼과 보통 DPI변경용으로 쓰는 버튼도 캐드프로그램을 사용할 때는 따로 기능을 할당한 모양입니다. 버튼수로만 보면 일반적인 6버튼 마우스입니다. 하지만 저 버튼 셋 배열이 괜찮네요. 디자인적으로는 개선할 점이 몇 가지 더 눈에 띄지만, 버튼을 셋 앞에 배열한 저런 모양 요즘은 보기 드물거든요. 생각난 김에 재미있는 마우스(전에 본 저렴한 마우스 중에 휠이 두 개 달린 게 있었죠? 그게 생각나서) 몇 가지 찾아보있는데.. 이건 플레오맥스 M-W8입니다.만원 대 초반에 팔리는 것인데 틸트휠은 아니고 투휠도 아니지만 기능버튼(당연히 재지정되겠죠?)이 8개네요. 어.. 그런데 ..
그 놋북에 달린 채로 HDTune 으로 지금 성능을 본 것입니다. Hitachi HTS541040G6AT00 (40GB)규칙적으로 골이 파이는 건 왤까요? BIOS에서 하드디스크 모드 설정을 잘못 해서? 성능 자체가 떨어지는 거야, 오래 되기도 했고, 배드섹터가 나있는 녀석이기도 하고, 덕분에 OS가 깔리다 말기도 하는 복걸복상태라서기도 합니다. ^^ 퀵스캔으로 이렇게 보이지만 실은 배드가 여럿 있습니다.
스크린샷은 아래 사이트입니다. http://www.rtings.com/tv/learn/size-to-distance-relationship 거리(Distance 미터, 피트)와 화면크기(Size 인치, 오른쪽 표에 센티미터와 면적 표시) 중 하나를 좌우로 움직이면 다른 하나도 따라 움직입니다. TV는 주어진 인치수에서 최적거리 바깥이면 볼 만 하다는 얘기고 최적거리 안이면 도트가 보인다는 말같습니다. 눈이 좋으면 최적거리는 줄어들 테고눈이 나쁘면 최적거리는 늘려야겠죠. 모니터로 쓸 때는, 저 프로그램에서는4K 해상도 기준으로 보통 거리인 2피트는 32인치를 말하고 있고, 39-40인치는 약 4피트 안쪽을 말하고 있습니다.저 프로그램에선요..
좀 느리다 싶으면 주기적으로 삼성 매지션을 열어 최적화를 해줍니다. before 매지션 속 메뉴 (예시). 가끔 "시작"을 클릭해줍니다. 이번은 약 한 달 만. after 증상은 몇 가지가 있는데,웹브라우저, explorer.exe 점유율, 폴더 내비게이션 등.. 그런데 딱 꼬리를 잡은 건 아직 없습니다. 웹브라우저는 플래시플러그인문제로 난리가 아니고, 무언가 컴퓨터에 악성코드가 있는 게 아닐까 의심하는 것도 있고.. 위의 두 그래프만 봐서는, 최적화를 해주면 전송률이 말이 아니던 구간이 나아지는 게 보입니다. 그리고 그보다 더 극적인 건 억세스타임이 개선된 것.
컴퓨터가 좀 찜찜해서 이것저것 만져보다 손댔습니다.기록 남겨둡니다. 9.78알리미를 설치할 거냐 묻는데 그건 그냥 놔두라 했네요. 탐색기를 열 때 cpu사용률이 올라가는 걸 봐서는 SSD도 의심스럽고다 종료했는데도 인터넷 익스플로러 프로세스가 좀비가 돼있는 걸 봐서는 인터넷도 의심스럽고..지켜볼 생각입니다. ps. TLC SSD 추천은 하지 않습니다. 말리지는 않겠지만요. 뭐 버벅이기만 하면 혹시 이거때문인가하는 생각이 나니 별로 재미가 없어요.AMD칩셋이면 보드쪽으로 생각해야 할 게 많지만 이건 인텔이라.. 가끔 인텔칩셋도 궁합문제가 생기지만 거기까지는 아닌 것 같은데..
특히 HDMI 포트를 사용할 때 좀 뿌연 감이 있다고 여긴다면 확인해볼 만한 팁으로 널리 알려진 것인데요, DVI포트로 연결된 모니터라도 16-255가 기본으로 잡혀 있을 때가 있습니다. 제 컴퓨터처럼. 저는 몰랐습니다. NVIDIA 제어판을 연 다음에,비디오> 비디오 컬러 설정 조정 항목으로 들어갑니다. 먼저 모니터를 지정합니다. 다음 컬러 조정 방법 항목에서"비디오 플레이어 설정 사용"을"NVIDIA 설정 사용"으로 하면고급 탭을 고칠 수 있는데, 거기서동적 범위를 "전체(0-255)"를 선택하고 아래 "적용"버튼을 눌러줍니다. [ 알게 된 곳 링크 ]
모 사이트의 무료글을 쓰고 혹시나 해서 찾아보니, 이벤트 중입니다.아래 사이트에서 받는 게 더 낫겠군요.라이센스는 아마, 비상업적 개인용도 1PC일 듯. http://ko.dvdfab.cn/promotion.htm 이메일을 입력하고 submit 버튼을 누르면 그 주소로 안내메일이 갑니다.그 메일이 지시하는 대로 파일을 받아 설치하고 등록하면 됩니다.
지금 이 글을 쓰며 제가 생각하는 방법은 몇 가지 있습니다만, 몇 가지만 적어봅니다. 1. 윈도우즈 백업(제어판\모든 제어판 항목\백업 및 복원) 은 파티션이 여럿 있어야 가능하니 주의. 즉, SSD하나 달고 C드라이브만 쓰는 사람은 윈도우즈 백업은 사용하지 못합니다. 광드라이브가 있으면 광드라이브 하나 달랑 뜰 겁니다. 적어도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연결해야죠. 그 외, 서드파티 백업 프로그램이나 압축프로그램의 부가기능을 이용해 정기 백업하는 수가 있습니다. 변량만 백업하는 걸 추천. (요즘 차별점이 없어진 압축프로그램의 부가기능으로 이런 거 나오면 좋을 텐데.. 지정한 폴더와 파일을 지정한 드라이브에 압축백업하고, 반복실행 등록은 윈도우 스케줄러를 이용해 커맨드라인 실행하는 식으로..) 클라우드 서비스의..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http://www.motie.go.kr/motie/ne/presse/press2/bbs/bbsView.do?bbs_cd_n=81&bbs_seq_n=157437 루리웹 링크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news/520/read?articleId=1810328&bbsId=G003&itemGroupId=45 중점관리대상 전기용품 22개 제품(직류전원장치 15, 컴퓨터용 전원 공급장치 7) 대부분은 사업자가 주요부품(트랜스포머, 인쇄회로기판 (PCB) 패턴 등)을 인증당시와 다른 부품으로 변경한 것으로 나타나 사용시 화재나 감전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직류전원장치에서는 변압기능을 가진 주요부품들 간의 절연거리가 기준..
아마 탑파워였을 겁니다.컴퓨터 정리하다 나온 스샷을 올려둡니다. OCCT 사이트에 보니 지금 버전은 4.4.1입니다.http://www.ocbase.com/
요즘 램값이 내려가고 있습니다. DDR3 8GB 모듈값이 5만원에 가까워지고 있네요. 보드나라 작년 기사에 따르면 대역폭차이는 이렇다고 합니다. 약 30%정도. DDR3-1600MHZ(12800) DDR4-2133MHZ(17000) 듀얼채널 25.6 GB/S 34 GB/S 쿼드채널 51.2 GB/S 68 GB/S 기글하드웨어 작년 가을 뉴스 링크. DDR, DDR2, DDR3, DDR4 메모리 비교. (대역폭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http://gigglehd.com/zbxe/11879020 위 기사에 따르면 내년 안에 DDR3가 쓸모없어지진 않겠군요. 지금 컴퓨터몰 부품값을 보면 DDR4램값은 DDR3램값보다 싸지는 않지만 그렇게 비싸지도 않고(5만원대 VS 6만원대부터 시작), DDR4를 쓰는 고급 C..
Viewed Posts
|
Recent Comments
|
Recent Pos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