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DA 싱클레어 - 노화의 종말 본문


건강, 생활보조, 동물

DA 싱클레어 - 노화의 종말


반응형

"더 오래 살고 싶다"는 인간의 생물학적 한계를 늘려야 해서, 소위.금수저가 아닌 이상 2000년 이후로 이쪽 열기는 한풀 꺾인 듯.

하지만, "상식적으로 관리잘하면 최대한 늘어날 수명한계(이론적으로는 120살 정도던가? 요즘은 몇 살인지 모르겠다) 안에서, 젊은 기간이나 적어도 몸성히 활동하는 기간을 최대한 늘리고 싶다"[각주:1]는 욕구는 9988234[각주:2]란 구호와 웰빙 풍조로 일반화되었다. 장자에 나오는 얘기로 치면 "양생"이 이거겠지. ^^

서점앱을 열었다 눈에 띈 책 하나 링크. 600쪽이 넘는다니 이걸 완독하는 것만 해도 어떤 사람들에게는 '젊음'이 필요할 지도 모르겠다. :)

http://aladin.kr/p/5fbjQ

 

노화의 종말

장수 유전자와 항노화제, 장수 약물에서부터 노화 예방 백신과 세포 재프로그래밍, 생체표지추적, 맞춤 장기 생산 등 최신 의료 기법 등 라이프스타일 개선법까지 일상 생활습관과 최첨단 과학

www.aladin.co.kr

추천의 말_ 정재승

들어가며: 할머니의 기도
인생은 본래 그런 거야 | 자연사는 없다 | 시간이 흐르는 것을 걱정할 필요 없다면 | 노화와 장수의 근원을 찾는 모험 | 새로운 진화의 출발점

1부 우리가 아는 것(과거)

1장 원시 생물 만세
위대한 생존자 | 모든 것에는 이유가 있다 | 종을 위해 늙어 죽는다고? | 노화 이론의 발전과 위기 모드 | 우리를 늙게 만드는 단일한 원인 | 장수와 활력의 근원, 서투인

2장 혼란에 빠진 피아니스트
노화 유전자는 없다 | 에덴의 효모를 찾아서 | 후성유전체의 독주회 | 노화의 정보 이론 | 모두 같은 생명 나무의 열매들 | 우리 삶의 후성유전적 경관 | 노화 역전의 시대가 온다

3장 눈먼 관행
노화 자체가 질병이다 | 인간 사망률 법칙 | 죽음을 부르는 한 줄기 산들바람 | 헛수고에 불과한 각종 치료 | 이 질병은 치료할 수 있다

2부 우리가 배우고 있는 것(현재)

4장 건강하게 장수하는 법
노화는 삶의 불가피한 일부가 아니다 | 적게 먹어라 | 간헐적 단식 또는 주기적 단식 | 육식을 줄여라 | 땀을 흘려라 | 몸을 차갑게 하라 | 후성유전적 경관을 흔들지 마라

5장 먹기 좋은 물약
삶이 끝나야 한다고 말하는 법칙은 없다 | 이스터섬에서 발견한 장수약, 라파마이신 | 커피 한 잔보다 싼 항노화제, 메트포르민 | 스택, 건강수명을 책임지는 물질들 | 최고의 스택, NAD | 불임 치료의 새로운 희망 | 아버지의 반란 | 우리 앞에 펼쳐질 미래

6장 원대한 도약
우리 몸의 좀비, 노화세포 | 무임승차자 제거하기 | 노화 예방 접종: 미래의 백신을 찾아서 | 세포를 재프로그래밍하다 | 중추신경 재생: 노화 역전과 회춘의 실마리 | 해결되지 않은 의문들

7장 혁신의 시대
정밀의료의 탄생 | 내 상태를 안다는 것의 중요성 | 개인 생체감지기의 시대| 최악의 팬데믹에 대비하라 | 누구에게 내 정보를 맡길 것인가 | 더욱더 빨라지는 검사 | 백신 개발의 새 시대 | 맞춤 신체 기관 생산의 꿈 | 예전 50은 지금 50과 달랐다

3부 우리가 가고 있는 곳(미래)

8장 앞으로 벌어질 일들
얼마나 살까 | 인류의 수명 연장은 옳은가 | 인류 종말이 임박했다는 경고 | 장수가 정치에 초래할 문제 | 위태로운 사회 보장 제도 | 갈수록 심해지는 부와 수명 양극화 | 적응하느냐 망하느냐 | 한계가 없는 종 | 세상은 더 좋아지고 있을까 나빠지고 있을까 | 누가 늙었는지 구별하기 힘들어진다 | 노화 치료가 가져다줄 엄청난 혜택들 | 세월을 더 이상 두려워하지 않을 때

9장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
당신은 어떤 미래를 원하는가 | 누가 더 빨리 예산을 투입할 것인가 | 치료에서 연령차별 없애기 | 어떻게 죽을 것인가에 답하기 | 기술로 소비 문제 해결하기 | 나이가 숫자에 불과한 시대의 일하는 방식 | 고손주를 만날 준비를 하자

나가며: 22세기를 향하여
노화와 싸우는 사람들 | 편견과 그릇된 믿음을 넘어 | 내가 나를 위해 하는 일 | 부시워킹 길에서


차례를 보면, 책은 노화는 질병이라고 단정한다. 수긍할 필요가 없고 극복해야 하는 대상이란 말.
하긴.. 환경이 바뀌면 앞세대의 적응 결과 가진 형질이 뒷세대에게는 질병으로 취급될 수도 있을 것이다.[각주:3]이 책은 그런 얘긴 아닌 것 같지만.

사본 책은 아니므로 추천도 아니다. 주의. 설명으로 보아서는 실용건강입문서도 아니다. 그리고 이런 책이 종종 엄청 현학적으로 번역돼서 쓸모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읽기 전에는 좋다 나쁘다 말못하겠다. 차례와 홍보문구가 눈에 띄어 메모해둔다.

  1. 이 얘기는 정부 관점에서는 경제활동인구를 최대한 늘리는 것이다. 정년퇴직을 늦추고, 연금지급개시연령을 늦추고.. [본문으로]
  2. "99살까지 88하게 살다가 2,3일 앓고 死자"는 말. [본문으로]
  3. 낫세포 빈혈증(겸상적혈구 빈혈증)이나 비만처럼. [본문으로]
반응형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more

Viewed Pos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