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미얀마 군부 쿠데타와 투자자본의 ESG 경영조건 본문

견적, 지름직/금융과 보험

미얀마 군부 쿠데타와 투자자본의 ESG 경영조건

미얀마 가스전은 유명한 자원개발성공사례였기 때문에, 이번 쿠데타와 우리나라까지 참여한 국제적인 경제제재가 어떤 영향을 미칠 지 궁금하던 차 나온 기사입니다.

http://naver.me/5izpaMAn

미얀마發 악재에 국내 상장사 '불똥'…ESG 리스크로 부각

미얀마에서 군부 쿠데타와 이에 항의하는 시위대의 갈등이 장기화되면서 현지 사업을 진행하는 국내 상장사들까지 불똥이 튀었다. 미얀마 국영기업과 합작 형식으로 사업을 진행하던 국내 기

n.news.naver.com

ㅡ 포스코인터내셔널(구 대우인터내셔널) 이야기.



※ 아래는 그냥 여담. 낙서입니다.

ESG경영(투자)이란, 우리나라에선 2020년을 전후해 기억해야 할 시사용어가 되었고, 올 연초부터는 경제지들이 떠들썩했습니다. 이건 어느 회사가 돈버는 방식과 지배구조가 소위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규범이라는 것[각주:1]을 준수하면 우리 펀드가 그 회사 주식을 사고(투자하고), 아니면 안 산다는 겁니다. 순수하게 도덕적인 관점에서 "착한 투자"를 하겠다는 게 아니라, 투자 리스크를 줄이는 게 목적입니다.[각주:2]
그리고 그 정도는 국가별 특징이 있어서, 다짜고짜 요구하는 데도 있지만, 자기나라 어젠타에 따라가며 큰 자본이득이 기대되지 않아도 큰 손해가 예상되지 않는다면 좋은 게 좋다는 식으로, 뭘 만들거나 팔지 마라며 회사를 바꾸라는 요구를 하는 투자자본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모양입니다.
물론 회시는 "당신들 돈은 필요없다"며 안 따라도 되지만, 주식을 약간 매입하고는 귀찮게 구는 방법도 있고.[각주:3] 그리고 상대가 국민연금처럼 나라에서 제일 큰 투자자본이 되면 무시못합니다. 미국도 연기금이 큰손이지만, 특히 우리나라는 국민연금 고위임직원이 정부 낙하산이고 매번 대통령 후원조직들의 영향권이라 정치권의 영향과 강제성이 더해보입니다. 그리고 단체들이 투자를 하지 않는 것에 더해 "나쁜 회사"목록을 만들어 거기 올려 불매운동이나 악선전을 하고, 마침 큰 이슈가 걸려 있어서 여론과 정부에 영향을 받아 국가가 정책을 바꾸어 추세를 만들어가는 상황이 되면 회사가 나라를 이길 수는 없으니까요.
그리고 이번 경우는 우리 정부만이 아니라 온 세계의 관심사인데다, 미얀마에서 쿠데타를 일으킨 집단의 만행이 도를 넘었기도 합니다.[각주:4]

 

며칠 후,
네이버, ESG채권 발행 소식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421&aid=0005240274

네이버, 5억달러 규모 'ESG 채권' 발행…"국내 인터넷 기업 최초"

(서울=뉴스1) 김근욱 기자 = 네이버가 국내 인터넷·IT 기업 가운데 최초로 '지속가능 채권'을 발행했다. 네이버는 5년 만기, 5억달러(약 5643억) 규모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채권을 연간 1.5% 금

news.naver.com

"ESG채권은 사회적 책임 투자를 목적으로 발행되는 특수목적 채권이다. 친환경 사업 분야에 활용되는 녹색 채권, 사회 문제 해결에 사용되는 사회적 채권, 앞선 두 가지 목적을 결합해 포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 채권 등으로 구분된다. (네이버가 발행성공한 것은 지속가능채권)" - 뉴스1 기사.

관심사로 제대로 부상. 신동아 2021.3.
http://naver.me/GFpCcqkK

‘발등에 떨어진 불’ ESG 공시 의무화

“다른 사람에겐 ‘안 하겠다’로 읽힌다”〈이용우 의원〉 ● G보고서 2026년, E·S보고서 2030년부터 상장사 의무 ● ESG 공시 의무화 시기 더 앞당겨야 ● 금융위원장 “2026년 ESG 공시 의무화 고

n.news.naver.com

● G보고서 2026년, E·S보고서 2030년부터 상장사 의무
● ESG 공시 의무화 시기 더 앞당겨야
● 금융위원장 “2026년 ESG 공시 의무화 고민”, 실무자는 “아직”
● 세계시장서 ESG 소송당할 리스크 커져
● ESG 등장으로 기업경영 경기규칙 바뀌어
● ESG 경영 하지 않으면 생존 불투명해져

  1. 대강의 개념은 정립돼있지만 실제 요구내역은 물주마다 다른 듯 [본문으로]
  2. 예를 들어, 정부가 환경이슈를 이유로 정책을 바꾸어 준조세를 늘리거나 업종을 폐업유도한다면 그 피해를 볼 것 같은 회사는 투자점수를 깎고, 미얀마, 북한, 이란같이 세컨더리 보이콧에 걸리는 나라와 직간접적으로 거래하는 비중이 높은 회사도 점수가 낮고, 오너(창업가문)가 지금까지 회사경영을 이끌어왔거나 의사결정을 좌우하는 회사인데 그 오너가 신뢰를 잃었거나 정부에 밉보여 힘든 회사도 점수가 낮다, 애초에 그런 식으로 운영해 불안정성이 있는 것에서 점수를 깎는 식. 대충 그런 모양이더군요. [본문으로]
  3. 특히 우리나라는 이런 시비에 매우 약한 문제가 있습니다. 대주주의 권한을 제약하는 데 신경쓰다 보니 다른 나라에 있는 것도 없는 채로 그렇게 돼서, 주주총회때 큰소리내 주가를 흔들고 돈벌어나가는 헤지펀드의 먹잇감이 되는 경향이 커졌고 최근의 법개정으로 더 취약해졌다고. [본문으로]
  4. 아직은 중국 천안문사태때나, 중국정부가 위구르와 티벳에서 벌이고 있는 만행, 시리아와 터키에서 근 십 년 벌어지고 있는 인간도살보다 훨씬 피해가 적은 현재 이러는 걸 보며 "만만한 나라니까"하는 냉소적인 목소리도 있습니다. 하지만 분명 방치해도 좋은 일은 아니며, 다른 예보다는 그나마 개입해서 상황을 개선할 희망이 보이는 단계같아요. 중국이 개입하지 않는다면. 지금도 미얀마군부는 자국민보다 중국인을 보호한다는 비난을 받는다는 말도 있지만.. [본문으로]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