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기후변화에 따른 주요 농작물 주산지 이동현황(통계청 2018.4) 본문

농업, 원예

기후변화에 따른 주요 농작물 주산지 이동현황(통계청 2018.4)

https://pcgeeks.tistory.com/19926       ▒    2022. 3. 21.

    약 4년 전에 나온 문서입니다. 당시 발표된 기후변화 연구 자료와 국민식생활 변화, 농작물 재배 유행 등을 참고해 나온 것. 그래서 지금과는 많이 다를 수 있습니다. 우스개섞어 "통일을 해야 우리가 국산 사과를 계속 먹을 수 있다"는 말을 할 만한 자료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문서에서 지적하고 있듯이, 과거(1970년대) -> 지금(2010년대)의 작목변화는 단지 기후변화때문에 새긴 것은 아닙니다.

    더 다양한 품종, 새로운 작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되었고, 소비자 기호가 다양해졌으며,

    재배기술이 발전해 하늘만 믿던 과거와 달리, 시장수요에 대응해 어느 정도 재배조건을 마춰줄 수 있게 된 점도 있습니다.

     

     

    예측에 사용된 기수변화 변수는,

    □ (활용 자료) 기후변화에 따른 주산지 이동현황 및 주요 농작물 재배면적 시계열 결과는 아래의 자료와 Arc GI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음.
    ○ 주요 농작물별 재배면적 자료(통계청 농림어업총조사, 1970~2015년)

    □ (변동 예측) 기후에 대한 전망과 기후변화 시나리오(RCP8.5)에 따른 작물별 재배가능지 변동 예측은 다음 자료를 수록한 것임.
    ○ 전세계 기후 관련 자료(2014년, IPCC(기후변화 정부간 협의체))
    ○ 우리나라 연평균기온, 기후변화 전망 등의 기후 관련 자료(2017년, 기상청)
    ○ 기후변화 시나리오(RCP8.5)에 따른 주요 작물별 재배가능지 변동 예측 자료(2015년, 농촌진흥청)
    - 농촌진흥청의 예측지도는 현재 재배되고 있는 품종과 재배양식 등의 재배시스템이 그대로 유지된다는 조건하에 RCP8.5를 바탕으로 제작됨.

    □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4.5와 RCP8.5의 의미는 다음과 같음.
    ○ RCP4.5 : 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상당히 실현되는 경우의 기후 시나리오
    ○ RCP8.5 : 현재 추세(저감 없이)로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경우의 기후 시나리오

    □ (분석의 한계) 주요 작물의 재배지와 재배면적이 변화한 주요 원인으로는 기후변화, 소비자의 작물 소비패턴 변화, 기술변화 등이 고려될 수 있음.
    ○ 따라서, 기후변화 한 가지 요인만으로 작물재배 변동성을 해석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음.

    라고 합니다.

     

    목 차
    □ 기후변화에 따른 주요 농작물 주산지 이동현황(요약) · 1
    □ 기후변화에 따른 농작물 주산지 이동현황 · 5
    1. 기후변화의 실태와 전망 · 5
    2. 기후변화에 따른 주요 농작물의 주산지 이동현황 · 7
    3. 시사점 · 15
    □ 통계표 · 16
    <부록1> RCP(대표농도경로,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24
    <부록2> RCP(8.5) 시나리오상의 현재 기후와 최근 6년 기후변화 비교· 2

     

     

    일부 스크린샷입니다.

     

     

    사과

     

     

     

    복숭아

     

     

     

    포도

     

     

     

    단감

     

     

     

    인삼

     

     

    감귤

     

     

     

     

    RPC 대표경로, 시나리오 설명

     

     

    원문은, "기후변화에 따른 주요 농작물 주산지 이동현황 통계청" 이라고 구글검색해보면 나옵니다.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