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작년 벼농사 손익분석기사 하나/:/ 미터법 본문

농업, 원예

작년 벼농사 손익분석기사 하나/:/ 미터법

1.
전국 평균이야기란 점을 감안하고 읽어야하겠지만요.

https://naver.me/x0z8dsZj

지난해 ‘쌀 생산비’ 최고치 경신…수익성은 다소 개선

지난해 쌀 생산비가 전년에 이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다만 쌀값과 생산단수가 오르면서 쌀농사 수익성은 다소 개선됐다. 통계청이 최근 내놓은 ‘2023년산 논벼(쌀) 생산비조사 결과’에 따

n.news.naver.com



2.
논 1ha = 10000 제곱미터 = 약 3천(3025) 평.

일반적으로 논 1마지기는 200평이라고 하므로[각주:1], 1ha는 15마지기.
그리고 1ha = 100a. 비료줄 때 계산 10a = 1000제곱미터 = 약 300평.


20여 년 전 기사 하나.

’헷갈리는 농업관련 단위 통일을’ - 경기일보 2002.10.
https://www.kyeonggi.com/article/200210050048671

ㅡ 미터법상 농업면적 단위는 ‘a(아르:1a=100㎡=30.25평)’와 ‘㏊(헥타르:1ha=100a=1만㎡)

ㅡ (전통적으로) 평야지역에서 1마지기는 150평이나 200평, 산간지역에서는 300평을 가리키는등 농업면적을 사용하는 단위가 평, 단보(1단보=300평=9.9174a=991.74㎡), 정보(1정보=10단보=3천평=99.174a), 마지기 등 지역에 따라 다르다.

ㅡ  마지기는 면적의 개념이 아닌 수확량의 개념으로 농민들 사이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지역마다 의미하는 면적이 다를 수 있다.

ㅡ (벼 생산량을 말할 때) 40㎏ 1가마, 80㎏ 1가마 등으로 ㎏으로 환산해 사용하는등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위인 ‘가마’, 같은 단위로 144㎏ 정도를 의미하는 ‘석’, ‘섬’(......)

- 경기일보 2002년




  1. 링크한 기사를 보면, 전통적으로는 지역에 따라 논 1마지기로 인식하는 면적이 다른 곳도 있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밭은 또 다르게 말한 경우도 봤어요. 1마지기가 논은 200평, 밭은 100평이라는 식으로. 농사기술과 행정면에서는 a와 ha(헥타아르)를 쓰지 평이나 마지기라는 단위를 사용하지 않겠지만요. [본문으로]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