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문안 - 2016~2019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웹진 본문

아날로그/도서,한국사, 세계사 관련

문안 - 2016~2019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웹진

4년간 발행한 계간지.

검색하다 우연히 봤는데, 재미있는 내용이 있어서 링크합니다.

 

https://www.nhimc.or.kr/

https://www.nhimc.or.kr/ilsan_news/Hello_2019_Autumn/list.html

 

 

조선 왕실의 차.

 

 

* 잡담 하나. 

조선시대 국왕은 소갈증(당뇨병과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한의학에서 말하는 병)이 많았다는 구절을 읽고 생각.

그건 왕들이 사무를 많이 하느라 운동을 적게 했고,

음식을 자주 먹어 속이 빈 시간이 적었기 떼문이 아닐까하고 상상했는데, 그건 또 아닌 것 같기도 하고..

몇 가지 찾아보니.. 결국 운동 없음(빡빡한 일과시간 중에 운동이라고는 건물과 방을 이동하는 시간밖에 안 보인다. 궁궐이 넓기는 하다지만..), 수면부족 , 스트레스인듯. [각주:1]

 

https://blog.naver.com/seouledu2012/222214085666

 

[교육생활톡톡] 12첩 반상부터 야식까지, 조선시대 왕족은 하루에 5끼를 먹었다고? #조선시대 #궁

아침, 점심 그리고 저녁 ‘삼시 세끼’ 그런데 629년 전 조선 시대 왕족은 하루에 5끼를 먹었다는 사실! 알...

blog.naver.com

 

초조반.. 간단한 죽

조반.. 수라상

낫것상.. 죽이나 그 정도, 손님이 있다면 국수나 다과

석반.. 수라상

야참.. 간단한 면 약식 죽 식혜 등

 

결국 제대로 배부르게 먹은 건 조반과 석반뿐이라는 말인데

그런데 왜 당뇨병?

 

조선시대 왕의 하루일과와 궁중생활 - 1 왕의 취침과 기상

https://www.aks.ac.kr/cefia/webzine/2101/focus.html

 

세계로 나아가는 한국학, 세계속의 대한민국

문화 포커스 조선시대 왕의 하루일과와 궁중생활 - 1 왕의 취침과 기상 『세종실록』에 의하면 세종은 재위 중 매일 새벽 3시 전후에 기상하였고 해가 뜨는 평명(平明)에는 조회를 받았다. 이어

www.aks.ac.kr

 

조선시대 왕의 하루일과와 궁중생활 - 2 왕의 낮일과

https://www.aks.ac.kr/cefia/webzine/2102/focus.html

 

세계로 나아가는 한국학, 세계속의 대한민국

조선시대 왕의 하루일과와 궁중생활 - 2 왕의 낮일과 새벽에 침전에서 일어난 왕의 첫 번째 일정은 아침 조회였다. 조회란 말 그대로 조정에서의 모임인데, 조선시대의 조회는 상참, 조참(朝參),

www.aks.ac.kr

한국학중앙연구원 글에서,

 

왕의 평시 수라상은 대전어상과는 대르다고. 대전어상은 우리가 생각하는 진수성찬, 잔칫상, 연회음식.

수라상은 앞서 글에 나오는 초초반을 죽수라라고 부르고, 아침 수라상을 조수라, 점심을 주수라, 저녁을 석수라라고 부른다고 한다. 서울시블로그말하고는 다르네. 야식은 간식이라고 따로 친 듯.

 

수라상에 올리는 밥은 백반과 팥물을 사용한 홍반.

기본 밑반찬은 탕, 찌개, 김치, 장, 찜이나 선, 전골.. 국물음식이 많네.

 

그 다음 설명이 내 상상하고는 좀 달랐는데,

한 번의 수라상을 받은 다음 하는 식사를 3번으로 나누어 한다고.

동치미국물을 한 수저 떠먹어서 입맛을 다시고 나서,

 

밥과 국과 반찬을 먹되 밥을 국에 말아 국을 다 먹고는 수저를 내린다.

새 수저로 밥과 반찬을 계속 먹고

마지막으로 숭늉대접을 국그릇에 올리고 밥을 한 술 말아서 먹는 것으로 식사를 마무리했다.. 고 한다.

 

(기제사 순서가 생각난다. 술과 밥, 국과 밥, 숭늉(물) 이었나 아니면 그 비슷한 무언가였나)

 

 

 

 

 

 

 

  1. 여기에 국왕이 주관해야 하는 연례, 월례 행사에 따르는 준비와 행동제약이 따라붙는다. 그래서 조선 국왕의 자손이 점점 줄어든 것은 왕조의 역사가 쌓이면서 여러 가지로 해야 할 일이 늘었고 왕의 행동을 신하와 관습이 제약하면서 일정을 조정하는 융통성이 없어져서 그런 게 아니냐는 농담도 본 적 있다. 운동으로 해석할 시간이 전혀 없는 것은 경악할 일. 세종이 그런 병에 걸렸고 문종이 일찍 죽은 게 이유가 있네. [본문으로]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