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EBS1 명의) 제 916회 〈귀밑의 멍울이 침샘암?〉.받아쓰기 본문


건강, 생활보조, 동물/질병과 건강

(EBS1 명의) 제 916회 〈귀밑의 멍울이 침샘암?〉.받아쓰기


반응형

침생암.
이비인후과 정은재 교수.
 
방송 소개.
https://pcgeeks.tistory.com/462727

(EBS1 명의) 2025년 4월 25일 (금) 밤 9시 55분. 제 916회 〈귀밑의 멍울이 침샘암?〉.방송소개

모든 내용의 출처는 링크한 EBS 사이트입니다. https://bestdoctors.ebs.co.kr/bestdoctors/board/2/510094/list?hmpMnuId=102 EBS 명의 헬스케어한국이 낳은 세계 최고의 명의를 만난다. 명의가 말하는 질병에 대한 통

pcgeeks.tistory.com

 
 
받아쓰기. 
================

침샘암

침샘의 종양은 암이 아니라도 위험할 수 있다.
암이면 당연히 위험하고, 암이 아니라도 곧 큰 문제가 될 소지가 크다.
 
침샘암은 하루다 다르게 크지는 않지만, 암이 안면신경을 타고 다니기 때문에 얼굴이 마비되고,
결국 암이기 떄문에 그 자체로도 문제고 전이되면 더 큰 문제가 된다.
 

 
침샘은 저마다 조금씩 다른 구성으로 침을 낸다.
가장 암이 잘 생기는 침샘은 이하선.
 
사례 환자) 지금 중년이고 귀밑에 혹은 어릴 때부터 있었다.
지금도 아주 크게 튀어나와있지는 않지만, 표정을 지을 수 없는 마비증상이 생겨서 내원, 진단, 입원.
 
이하선을 지나는 안면신경

 
침샘암은 아직 원인이 불분명하다.
구강암..단배, 바이러스..편도암 이런 게 아니다.
 
침샘이 피부 아래에 있기때문에 종양이 생기면 손으로 만져진다. 잘 살피자. (귀 뒤라고는 하지만 꼭 귀밑은 아닐 수도 있다.)
 
침샘암 제거수술은 암덩어리를 제거하고, 가능하면 안면신경을 재건해야 한다.
암이 침범한 신경은 제거하고, 암절제수술이기 때문에 주위 조직도 절제한다. 얼굴뼈를 갈아내 그 안에 숨은 종양도 제거한다.
얼굴쪽 남은 신경을 써서 연결을 다시 해주고, 사지의 신경과 조직 일부를 잘라내 얼굴 신경과 조직에 붙여, 암때문에 잘라낸 안면신경을 대신해준다.
 

 
 

네 번째 재발. 침샘 종양과 안면 마비.

침샘암절제와 방사선치료를 여러 번 받은 환자.
안면마비는 단순 미용과 표정문제가 아니다. 그쪽 얼굴만 눈이 감기지 않고 입꼬리가 처지고 다른 것도.
 

 

침샘종양, 양성도 악성도 위험하다.

수술해 덩어리를 제거해 검사해봐야 알 수 있다. 수술 전에 바늘생검해서 확신할 수 없다. 양성진단 10%는 수술 후 암으로 재판정.
침샘은 양성 종양도 장기간 방치하면 악성종양(암)으로 바뀔 확률이 높다.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오래 받은 환자는 조직 섬유화, 유착이 심하다. (그 부분을 열다가 경정맥이 찢어진 비상상황. 종양을 제거하고 지혈, 그리고 다음 단계로)
 

안면신경을 되살리는 재건술

3가닥의 신경을 잇는 안면신경 재건술 설명. 정은재교수는 이 기술을 유일하게 전수받은 한국인 의사.
사례 환자는 필요한 조직과 신경이 많아서, 팔이 아니라 다리에서 꺼내 사용.
 
침샘암 수술의 어려움.. 잘라낸 안면신경을 최대한 재건하는 것.
그리고 안면신경재건술을 한다고 해서 옛날로 완전히 돌아갈 수는 없다. 하지만 과거와는 천지차이다.
 

수술 후 생긴 안면 장애

70대 환자 사례) 대상포진을 치료하면서 몸을 살피다 알게 된 뒤밑 콩알만한 덩어리.
알고 보니 이하선 침샘암 말기라고. 
 
암절제와 안면신경 재건술까지 받았는데
재활해서 어느 정도 돌아온 것이 현재.
 

 
 
수술 후 조금씩 조금씩 나아졌다. 그냥은 아니고 이분 많이 노력하셨다고.
 

 
하모니카를 시작하고, 얼굴을 마음대로 움직이려고 노력.
 

 
 
 

안면 장애, 교정할 수 있다.

다른 사례 환자) 수술 후 안면마비, 좌우비대칭이 너무 심해 좌절했던 환자.
이마를 올리는 신경이 회복되지 않아 눈꺼풀이 내려가있는 등.
그리고 재건수술과 재활운동.
 
연합운동: 눈감을 때 입꼬리까지 올라가는 현상. 일종의 신경 합선. 아직 예방과 회복은 불가능하다.
보톡스주사를 받기도 하고, 재활운동을 하고..
성형(재건) 수술로 재건하기도 한다.
 
(침샘암 수술 후 안면교정술 설명.
눈꺼풀쪽 피부를 일부 제거하고 보형물 삽입해 재건술.. 눈꺼풀이 처지지 않게. 얼굴 몇 곳에 보톡스주사해 한쪽 얼굴근육 전체가 한꺼번에 움직이는 것을 방지)
 

침샘암 수술 그 후

앞서의 사례환자들 이야기.
각자 자기 몸에 마추어 얼굴 근육을 움직이는 요령을 찾으며 적응해기가기.
 

침샘암을 조기발견하는 방법?

 
 
=======
 
 
다음 방송. 
무리한 운동, 발목 잡는다!
진통제와 민간요법에 의지하며 참기만 하면, 평생 치료받아야 할 수도 있다.

 

반응형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more

Viewed Pos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