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알리직구 값싼 스마트플러그는 쓰레기입니다. 특히 투야앱 쓰는 것들. 본문


컴퓨터 고장,보안,백신/교양 읽을거리

알리직구 값싼 스마트플러그는 쓰레기입니다. 특히 투야앱 쓰는 것들.


반응형

서비스 안정성, 제품신뢰성 부족

투야(tuya)에 연결되는 것 말인데,
이건 작년에 산 것입니다.


오늘 5월이죠.
하지만 앱을 열어보면,
로그가 4월 중순에서 멎어 있습니다.


원래 매일매일이 막대그래프여야 하는데 이렇습니다. 
이렇게 생긴 스마트플러그를 몇 개 사서 써봤는데, 중간 중간에 서버에 정보기록이 안 되는 일이 생깁니다.
웃긴 게 투야앱에서 전원 켜기 끄기는 되는데도 날짜별 소비전력량 기록은 안 되고 있는 겁니다.
그리고 멋대로 끊어져서 그걸 내가 알아채 리셋하기 전까지는 알림배지도 안 떠있고.

그러면서 지난 1년간 투야앱 자체는 업데이트가 몇 번 되면서 인앱결제 상품이 많아졌고, 그런 거 하라는 요구는 참 자주도 띄웁니다. 기본기능이 저 따윈데 인앱결제를 하고 싶겠냐고 ㅋㅋ

무엇보다 큰 게, 가끔 와이파이 연결이 안 된 채로 알림을 안 띄우기도 해서, 보름이나 한 달 뒤에 알아채고 재연결해주면, 밀린 만큼의 소비전력량 차가 오늘날짜에 한 번에 추가되기도 합니다. 플러그 자체에 기록하는 게 없어요.
(아예 증발하는 놈도 있어요. 똑같이 생겼고 똑같이 투야앱이 쓰지만 스마트라이프 앱에서는 다른 기계처럼 등록되고 보여주는 화면도 조금씩 달라요)

저는 미니태양광패널의 생산전력을 보려고 저것말고 다른 측정기도 하나 달아놓고 그걸 투야앱에 물려놓고 있는데, 기계가 오프라인인 경우에도 배지가 안 떠서 한동안 몰랐던 적도 있습니다. 그 경우 스위치 릴레이가 꺼지니 패널이 발전한 전기도 넘어가지 않는 것이라.. 솔직이 말해 돈이 걸린 용도나 화재나거나 오동작하면 바로 조치해줄 사람이 없다면 절대 써서는 안 됩니다. 오래 잘 동작한다고 장담도 못하고. 대부분의 경우 말 그대로 좀 해보고는 보관하는 테스트용, 장난감이랄까.

 

 

개인정보유용 의혹, 코드 신뢰문제

끝으로 tuya는 미국에도 호환기계를 판다지만, 이거 보안유출이슈가 있어서, 중국에서도 유명한 로봇청소기업체인 로보락은 라인업에서는 신제품부터 투야앱을 추방했다는 기사도 나왔습니다. 그러고도 문제 해결이 안 돼서, 올 초부터 이달까지 계속 보도가 되고 있어요.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963761

 

韓 고객 정보, 中 IT 회사와 공유한 로보락

韓 고객 정보, 中 IT 회사와 공유한 로보락, 로봇청소기 점유율 1위의 민낯 이용자 정보, 中 투야와 공유 美가 정보 유출 우려한 기업

www.hankyung.com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195841i

 

中 로봇청소기 한국서 엄청 팔렸는데…"터질 게 터졌다"

中 로봇청소기 한국서 엄청 팔렸는데…"터질 게 터졌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로보락, 고객정보 中과 공유

www.hankyung.com

 

https://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7706

 

“우리 집 감시한다” 의혹에 내놓은 中 로봇청소기 업체의 해명 - 로봇신문

중국 로봇청소기 업체 ‘로보락’의 제품이 한국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중국 항저우에 본사를 둔 사물인터넷(IoT) 업체에 공유할 수 있다는 우려가 불거지면서 업체가

www.irobotnews.com

https://ai-hl2.tistory.com/75

 

로보락의 보안 이슈와 손절 결정, 그 이유는?

로봇청소기 업계, 보안민감성 왜? 중국 기업 Tuya 대놓고 손절한 로보락, 왜 로봇청소기 업체는 보안 이슈에 민감할까? / 오목교 전자상가최근 중국 기업 Tuya와의 결별로 화제를 모은 로보락. 이

ai-hl2.tistory.com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191090

 

개인정보위, ‘로보락’ 등 로봇청소기 개인정보 실태점검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 1위 업체인 중국 로보락을 비롯해 로봇청소기의 개인정보 수집...

news.kbs.co.kr

 

 

https://m.ddaily.co.kr/page/view/2025050818541614551

 

'보안 우려' 中 로봇청소기, "韓 지침 따르겠다"…개선은 '미흡'

로보락 홈페이지에 게재된 개인정보 처리방침....

m.ddaily.co.kr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70245821

 

[단독] "中의 정보 수집 동의 안하면 못써"…로보락 엄포에 불안감 확산

[단독] "中의 정보 수집 동의 안하면 못써"…로보락 엄포에 불안감 확산, 中 레드테크, 韓 소비자 정보 전방위 수집 "국내 데이터 저장 의무화하는 개인정보보호 규정 강화해야"

www.hankyung.com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8173798

 

[자막뉴스] "집 안 곳곳 카메라로 찍던데" 중국산 로봇청소기 개인정보 수집에 불안

지난해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에서 점유율 무려 46%를 기록한 중국 기업 로보락. 최근 로보락이 한국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중국에서 수집하고 처리해 온 정황이 드러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

news.sbs.co.kr

 

 


그러니 투야앱으로 관리하는 스마트IoT는 되도록 쓰지 마세요. 특히 중요한 일에는. 개인정보보호 구멍이나, 해캉에 취약한 보안구멍이 될 가능성도 있고[각주:1], 앱의 안정성도 위에 적었듯 떨어집니다. 만약 저게 하우스용 환경조절장치였다면 저런 식으로 오동작하면 농사 망하는거죠.

 

  1. 공교로운 우연일 수도 있는데, 저것들 몇 개 달아놓고 몇 달 후에, 인터넷개통한 이후 한 번도 당한 적 없던 현상을 겪어서 개인적으로는 이쪽을 의심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펌웨어 업데이트 안 해주는 구형 공유기 2개가 동시에 사용할 수 없게 됐던. 물론 이게 원인이 아닐 수도 있고 제가 착각했을 수도 있지만. [본문으로]
반응형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more

Viewed Pos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