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공공기관
도구
- 스마트폰,태블릿 화면크기비교
- 양쪽 윈도우키를 한영한자키로(AutoHotKey)
- 매크로: Robotask Lite
- 파일이름변경: ReNamer Lite
- 파일압축: 반디집
- 공공서식 한글(HWP편집가능, 개인비영리)
- 오피스: 리브레오피스(LibreOffice)
- 텍스트뷰어: 이지뷰어
- PDF: FoxIt리더, ezPDF에디터
- 수학풀이: 울프램 알파 ( WolframAlpha )
- 수치해석: 셈툴, MathFreeOn
- 계산기: Microsoft Mathematics 4.0
- 동영상: 팟플레이어
- 영상음악파일변환: 샤나인코더
- 이미지: 포토웍스
- 이미지: FastStone Photo Resizer
- 화면갈무리: 픽픽
- 이미지 편집: Paint.NET, Krita
- 이미지 뷰어: 꿀뷰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검색
- KS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해외시장뉴스
- 엔팩스(인터넷팩스발송)
- 구글 드라이브(문서도구)
- MS 원드라이브(SkyDrive)
- 네이버 N드라이브
- Box.com (舊 Box.net)
- Dropbox
- 구글 달력
- 모니터/모바일 픽셀 피치 계산
- Intel CPU, 칩셋 정보
- MS윈도우 기본 단축키
- 램디스크
- 초고해상도 관련
- 게임중독
- 표준시각
- 전기요금표/ 한전 사이버지점
- HWP/한컴오피스 뷰어
- 인터넷 속도측정(한국정보화진흥원)
- IT 용어사전
- 우편번호찾기
- 도로명주소 안내, 변환
- TED 강연(네이버, 한글)
- 플라톤아카데미TV
- 세바시
- 명견만리플러스
- 동아사이언스(과학동아)
- 과학동아 라이브러리
- 사이언스타임즈
- 과학잡지 표지 설명기사
- 칸아카데미
- KOCW (한국 오픈 코스웨어) 공개강의
- 네이버 SW 자료실
- 네이버 SW자료실, 기업용 Free
- 계산기
공공데이터베이스
목록
PC Geek's

[이 글]에 사용한 측정치입니다. CPU짐작치는 제외했습니다. 오픈마켓에 파는 싸구려 클램프로 잰 것입니다. 부정확합니다. 전원선에서 측정한 본체 전체 소비전력입니다. (CPU가 아님) 비교를 위해 다른 요인 무시하고 [전류 * 220 V = watt]로 단순계산했습니다. (RS485 보드 + 2.2~2.4G CPU값 ~= 690G보드 + 브리즈번값정도. 최저클럭/저전압으로 두는 것도, 오버해서 사용하는 것도 690G+브리즈번이 낫습니다) 시스템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CPU AMD 윈저 3800+EEM/B ECS RS485M-M (온보드 그래픽, 사운드, 랜) CPU와 보드 조합은 요즘은 브리즈번+690G가 더 낫습니다. 65nm인 브리즈번 공정이 개선되면 앞으로도 그 쪽이 더 나아지리라 생각합니다...
이 글에서 인용한 링크와 자료는 [여기]에 적은 글입니다. -------------------------------------------------------------------------------- "전혀 아무것도 하지 않는" idle상태에서 cpu가 먹는 전력은 같은 전압이라면 클럭이 높아져도 비슷했습니다. 시스템이 먹는 전력은 클럭에 비례에 아주 조금 증가하는 걸로 보였습니다.문제점: CPU소비전력을 따로 떼어낸 것이 결국 가정, 즉 "같은 클럭에서 본체 소비전력은 비슷할 것이다"를 적용한 결과라, 동클럭에서 이런 얘길 할 수 없다. 풀로드일 때, CPU 소비전력은 idle상태의 두 배이상으로 증가했습니다. 소비전력 증가폭은 CPU에 걸리는 전압이 높을 수록 더욱 확연했습니다. idle -> 1..
앞서 계산에서 제 시스템은 1GHz/idle상태에서 cpu 5 W, cpu를 뺀 본체가 약 50W정도를 먹는다고 알았습니다. 그렇다면 cpu를 뺀 본체 50W 는 대체 어떻게 나눠먹은 걸까.. 함 짐작해보겠습니다. 일단 역률은 무시하고 봅니다. ^^ 파워서플라이 자체 소비전력(파워팬 포함): 10W? 파워에 관한 글 : 사용중인 파워는 passive PFC도 달려있지만, 대기전류(+5V)가 좀 있어서 저번에 재기로 10W정도 샜습니다. 뭐, 그건 그렇고.. 잘 봐줘서 80%라고 치면 10W쯤은 파워가 먹는다고 봐도 되겠죠. Parkoz에 올라온 글: ATX12V ver2.2 디자인 가이드: 일반적인 부하(~50%)에서 권장 효율이 80%, 최소 효율이 72%. 낮은 부하(~20%)에서 권장 효율이 75%..

4월들어 cpu가격이 인하된다니 콘로도 이제 내려가기 시작하네요. AMD는 9일자로 지나갔지만, 인텔은 22일자로 예정되어있습니다. 이달 말이면 콘로 가격이 정말 많이도 내려가있을 것 같습니다. 코어2듀오 계열은 AMD X2보다 더 저전력이고 전력당 성능비가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SSE4를 이용한 연산에 특화된 장점도 있습니다. 그리고, 제대로 오버클럭을 할 경우 그 성능향상은 AMD쪽에서는 따라올 수 없는 정도라는 말도 있습니다. 이런 저런 이유로 저전력, 저소음 시스템으로서 매력이 있습니다. ^^ 아래 콘로 E4300 시스템 견적은 앞서의 브리즈번 3600+시스템보다 6.4만원이 더 들지만, 나름대로 매력이 있습니다. SSE4를 이용하는 경우, 그리고 오버클럭을 생각할 경우는 선택의 여..

* 아래 견적은 일례에 불과합니다. 더 좋은 조합이 많을 것입니다. DVD-RW/키보드/마우스까지 포함한 본체 풀셋 견적입니다. 모니터만 있으면 당장 쓸 수 있죠. :) 설명 들어갑니다. 케이스는 싸면서 92mm팬을 쓴 것으로 철판은 저가형답게 두껍진 않지만 적당히 작은 미니케이스입니다. (35cm * 40cm * 18cm)파워는 적당히 싸면서 120mm팬에 오토팬컨트롤되고 EMI필터 달린 것으로 골랐습니다. 다른 이유는 없습니다.램은 1G 하나 달아줬습니다. 더 달 필요는 없겠다싶습니다. CPU는 브리즈번 3600+입니다. 정규클럭 1.9GHz로 동작하는 데 스펙상 1.3V정도를 먹지만 1V내외에서 동작시켰다는 말이 있습니다. 윈저는 1.1V내외까지 내려가는 모양이니까 90nm -> 65 nm로 공정이..
스마트팬이란? 스마트팬(Smart Fan)은 ASUS 보드에서는 Q-Fan이라고도 합니다. Cool'n Quiet이나 PowerNow!나 C1E나 EIST같은 CPU 전원절약옵션과는 상관없고, 메인보드의 기능으로서 완전히 독립적으로 동작합니다. 즉, 메인보드 BIOS의 기능으로서 센서가 CPU온도를 감지하고 그 온도에 따라 CPU쿨러를 적절한 속도로 돌려주는 것인데, 요즘 CPU는 주로 4핀 쿨러가 나오고 메인보드도 4핀만 지원하는 것들이 많습니다. 작년까지만 해도 CPU나 보드나 3핀만 달고 나오기도 했습니다. 보드에서 이 기능을 지원하지 않거나 부실하게 지원하는 경우, SpeedFan이란 프로그램을 써서 흉내낼 수 있습니다(다 되는 지는 알 수 없습니만). 마치 절전기능을 RMClock이나 Cryst..
크로스랜선이 있지만 다이렉트선이 필요할 때, 변환잭을 구해도 되고 요즘 랜선이 싸지만 있는 걸로 때워야한다면 이렇게 할 수 있다. 그림: 신영컴퓨터 단자 투명부에 보이는 세선 순서 다이렉트 결선: 백/주, 주황, 백/녹, 청색, 백/청, 녹색, 백/갈, 갈색 백/주, 주황, 백/녹, 청색, 백/청, 녹색, 백/갈, 갈색 크로스 결선: 백/주, 주황, 백/녹, 청색, 백/청, 녹색, 백/갈, 갈색 백/녹, 녹색, 백/주, 청색, 백/청, 주황, 백/갈, 갈색 크 로스 결선과 다이렉트 결선은 8선중 4선은 그대로고 4선은 바뀌어있다. 위 링크의 그림을 보면 랜선 양 단자를 나란히 놓고 보면 다이렉트 결선된 랜선은 양 단자 끝에 보이는 내부 선 순서가 똑같고, 크로스일때는 몇개가 다르다. 따라서, 크로스결선된..
한물 지났다는 아날로그 TV카드와 프로그램 얘기다. 하지만 꼭 한물 지났다긴 그렇지? 아직 라디오도 듣는 세상이고, 받아 보기만 한다면 화면만 놓고 볼 때, 요즘 최신이라는 DMB가 이보다 나을 것도 별로 없으니. 소개 Dscaler: 안정버전은 4.1.15까지 나왔다. 1) 외부입력 비디오신호를 보여주고 처리하고 녹화하는 기능. 보여주는 기능을 이용해 VIVO카드에 게임콘솔을 연결해 쓰기도 한다. 2) TV카드용 튜너 및 PVR 프로그램으로 쓸 수 있다. 상당히 복잡한 게 흠이나 중소업체 튜너 프로그램보다 훨씬 나은 화질을 보여준다. 스 킨을 지원해서 그런대로 깔끔하다. 이전까지는 잘 봐줘서 VirtualDub정도로 엔지니어 냄새를 풍겼는데, 이제는 세팅만 끝내고 컴맹에게 보여줘도 될 정도라 꽤 만족한..
후지쯔 노트북은 독도를 자기 땅이라 주장하는 일본 시마네현에서 생산하 기 때문입니다. 왜 그사람들 다케시마 광고하는 데 우리 돈을 보태줘야 하고 시마네현 의원들 월급을 우리가 줄 이유가 어디 있습니까? 일제 노트북을 꼭 사야 한다면 차라리 소니 VAIO를 사는 편이 낫습니다. 도시바, 후지쯔, 파나소닉 등 2차대전중 우리 조상들을 강제징용한 사실을 인정하지 않고 임금조차 주지 않은 구 기업계열 제품을 사 줄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그리고 이 광고에서 강조하듯, 후지쯔는 한국내 공장이 없고 타국 공장에서 생산한 물건을 국내에 파는 회사입니다. 지금이 어느 시절인데, 여기가 어딘데 이따위 영업 마인드로 감히 저런 마케팅을 한 건지 괘씸하지 않나요! 구글뉴스 '시마네현'검색. 이젠 울릉도까지 건드리는군.. 아..
경고: 전혀 신빙성없는 장난입니다. ^^ Parkoz 에 올라온 전력관련 글 중에 이런 대목이 있습니다. AMD CPU의 경우 보다 이해하기 쉽다. 2가지 프로세서는 명목상 다른 전압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CnQ가 동일 클럭으로 떨어뜨리는 사실과는 관계없이 아이들 시의 전력소모량은 동일하다. 더 자세히 따지자면, 전력소모량은 다음과 같다. [Number of Switching Events] * voltage^3 * Frequency 아이들 조건 하에서는 [Number of Switching Events]와 [Frequency]는 일정하고, 유일하게 구별되는 변수는 전압이다. 이 경우, X2 4600+(ADO)의 전력소모량은 X2-3800+(ADD)의 1.288/0.928(주 : 1.088^3/0.976^..

- 제조사에서 보증하지 않은 방법이며, 검증되지 않은 경험적인 세팅 방법입니다. - Cool'n Quiet (이하 CnQ, 쿨콰) 전압을 조정할 수 있는 메인보드라면 이 세팅은 필요없습니다. 보드에서 수정해주면 됩니다. 제 보드는 쿨콰전압이 고정돼있기에, RMClock을 사용했습니다. - 사용자 시스템 구성과 CPU, 주변기기 조합에 따라 구체적인 설정값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여기서 설명하는 것은, CMOS셋업에서 저전압으로 시작하도록 세팅하고윈도진입후 RMClock에서 AMD기본보다 저전압으로 쿨콰를 흉내내게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기 위해 자기 컴퓨터 본체 cpu가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최저 전압(VCore)을 먼저 알아내야 합니다. 이건 RMClock을 실행해 Power Saving모드에..
주의: 아래 견적은 모두 보드내장형 그래픽을 사용한 것입니다. 인텔, ATI, nVidida칩셋이라 가벼운 게임도 소화하지만 게임용을 염두에 두고 중급이상의 그래픽 카드를 추가한다면 파워서플라이를 2만원이상인 정격 400W정도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본 견적은 업무용, 일반용에 캐주얼게임정도로 절전과 저소음을 염두에 둔 것입니다. 최소비용 풀셋 아래는 CPU/RAM/MOBO/HDD/POWER/CASE만 잡은 것입니다. 즉, 모니터/키보드/마우스/광학드라이브는 제외했습니다. (DVD를 이용할 게 아니라면 시디롬은 사용하던 컴퓨터에 달린 것을 써도 됩니다. 성능과 무관합니다.) AMD 기본형 인텔 기본형 AMD 보급형 인텔 보급형 인텔 중급형 946GZ(6만원대)보드는 1066MHz FBS까지 지원합니다..

LCD모니터 픽셀피치(도트 피치) 계산표입니다. 본해상도와 그 모니터에 임의의 해상도를 적용했을 경우를 계산해놓았습니다. 인치/가로해상도/세로해상도만으로 나머지 값을 계산했으므로(단순한 피타고라스의 정리) 실제와는 조금 다릅니다. 이용법: 하단의 표를 클릭하면 원래크기로 보이니 거기서 찾아보면 됩니다. 표에 없는 인치수라면 다음 엑셀파일을 받아 인치수/가로/세로해상도를 입력하면 됩니다. 2012.3.13.몇 가지 추가한 파일은 여기 주의: * 픽셀 크기를 정사각형으로 가정한 계산입니다. 실제로는 5:4라는 말도 있지만 계산값이 가격비교사이트에 표시되는 정보와 얼추 비슷하게 맞아들어가길래 올려놓습니다. * 본 표는 실제 어떤 제품의 데이터와 딱 맞아떨어지지 않습니다. 표에서 픽셀 피치는 소수점아래 세 자리..
이 글은 과거에 쓴 글입니다. 벤치 기준과 테스트 환경이 지금과 달라 결과치도 부정확하거나 지금과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 결론부터 적자면, 당시 RM Clock은 세심한 설정을 할 수 있었지만, 그 컴퓨터와는 충돌이 있었는지 낮은 전압에서는 클럭전환시 어는 현상을 경험해 결국 그 컴퓨터는 CrystalCPUID로 바꾸었습니다. 저전압세팅을 하나 만들어보았다. 원래 윈저는 쿨콰(Cool'n Quiet; 인텔cpu의 EIST에 해당하는 AMD cpu의 전원절약기능) 동작시 1GHz, 1.1 V이다. 쿨 콰는 게임할 때 뿐 아니라 웹서핑, 프로그램 시작, 동영상 재생, 압축 해제중에도 종종 풀리는데, 그 때 항상 풀로드가 걸려서 풀리는 건 아니다. 일정수준(50%정도라고들 하는데)이상의 부하가 걸리면 알..
ATI All-in-Wonder 128pro SGRAM 16MB. 2048*1536*32bpp까지 지원(와이드는 1920x1080x32bpp(16:9)와 1920x1200x32bpp(16:10)까지 지원. 1680*1050은 지원하지 않음). 19"LCD에 d-sub출력 깔끔하게 해내고 어디 쓰는지는 모르겠지만 composite 출력까지 지원합니다. LCD모니터상에 DVI출력만큼은 뽑아주는데, 단점은 약간은 펄럭임이랄까.. 아래는 네이버 홈피를 바꾸면서 옮겨온 글입니다. 이래까나 저래까나 별 상관없는 게 보통인데, 안될 땐 또 기막하게 꼬여서 만들었던 글입니다. 윈XP에서는 기본 드라이버로 VGA는 잘 잡히나 ati.com에서 AIW용을 받아 깔아야 TV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MMC 7.6은 AIW하드..
그리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요즘에는 이정도로 풀셋이 나온다. 부품 평가를 해보자. 보드는 D-sub만 지원하는 내장보드. AM2소켓에 SATA2지원한다. 같은 칩셋에 DVI지원하는 보드는 +1만원, 신형 AMD 690G칩셋보드는 +1.4만원선부터 시작한다. 선택한 보드는 오버클러킹기능은 없고 스마트팬은 지원할 것이다. 순전히, 완전히 오피스만 쓴다면 VIA칩셋 보드가 더 싸다. -6천원. 컴포넌트 출력이 되는 보드는 몇 천원만 더 주면 되고, HDMI출력이 되는 보드는 +3만원이상 비싸다. 최근 한 달간 보드값 변동은 거의 없다. CPU는 지금 최저가 AMD이다. 최저가 인텔 셀러론은 열이 좀 있는 프레스캇이라 제외. +3.3만원이면 HT를 지원하는 시더밀 631, +4.9만원이면 듀얼코어인 브리즈번 3..
갈수록 떨어지는 걸... ㅠ.ㅠ; 대충 보니 이번 주에 샀으면 DVDRW도 하나 끼울 수 있었다. 뭐, 그것 말고는 비슷하게 나온다. 입맛만 다실 뿐.. AVIVO 애배비~~~ 인 텔 시더밀 631+865(콘로업글대비)보드도 견적은 비슷하게 나오지만 성능은 시더밀보단 브리즈번이 낫다. 오버하면 비슷비슷할 것이다. 시더밀이 오버가 더 잘되는 대신 그건 HT지원된다곤 해도 싱글코어니까. 여튼 시더밀이면 CPU에서 2만원 빠지지만 제대로 된 콘로업글용이면 보드와 램에서 도합 그 비용만큼은 써야 할 테니. * 시더밀이나 콘로4300까지만 지원하는 845/호환보드로 한다면, 그리고 AMD쪽도 욕심 안부리면 보드값에서 2만원정도는 더 뺄 수 있다. 어쨌든간에 저 견적은 참 탐난다. 33만원에 듀얼 코어 풀셋이라니!..
- 디지웍스 DDR2 PC2-5300U 1GB (4200보다 천 원 더 줬다. 제일 싼 것 중에 선택) - 시게이트 250GB (NCQ지원 모델. 전송률은 웬디보다 조금 낫고 억세스타임은 웬디보다 못하다. 웬디 동급모델은 NCQ미지원. 값도 시게이트가 더 쌌고) - 스카이 쿠페 미니 케이스 (최저가격. 92mm팬 내장, 미니케이스중 통풍이 괜찮으면서 제일 작은 편. 일반파워 사용) - 포맨 ST-400 듀얼 플러스 파워 (패시브PFC, 듀얼파워. 듀얼 아닌 일반 중에서는 Action 350W도 괜찮아보였다) - AMD X2 3800+EE - ECS RS485M-M 통합보드 (usb가 좀 느리고 SATA150지원이긴 한데 NCQ가 된다는 말도 있고.. 이건 확인필요. usb는 남아도는 게 하나 있어서 만약..
1. F11.. 워킹셋 25만 36mm~ 6백만+화소 ; 다 좋은데 웬지 맘에 안드는 사진, 리모컨만 있다면! - 장: ISO800-1600에서 안정적(두 스텝+). 실내사진에 좋은 소프트한 사진. 대부분의 스냅 사진에 플래쉬 필요 없음. - 단: 후지만의 밋밋한- 녹색이 강조되고 맑은 날에도 푸른 하늘을 찍기 힘든 - 야외사진. 흐린 날은 좋으나 태양광아래에선 A4지에 인쇄한 느낌.. vivid나 다른 걸 써도 코닥만 못할 색감. 파노라마 없음(). 단순한 다이얼구성이 사용하기 편하나 수동기능 사용자에겐 불편한 면. ISO1600이라지만 체감은 ISO1200~1400정도란 얘기도 있음. 그러나 월등히 밝은 건 사실. 2. C663.. 워킹셋 16만 35mm~ 6백만화소. ; 평범한 카메라 장: 저렴한 ..
ISO 800: 후지 >> 캐논(자잘한 점, 크로마는 별로) > 소니, 올림(더 큰 도트/크로마) > 코닥(있는 수준..코닥 특성상 출력엔 영향이 적다지만) > 삼성 - 최저가기본: 코닥 C663 gs이샵 16만원선, 소니 S600이 본체만 14.9만원선(메모리스틱, 삼각대추가 필요). 코닥-소니-삼성저가형 비교표 : 이 셋은 파노라마 기능(panorama; photo-stiching)이 없다. 하긴, 화각 31, 34, 35mm에선.. C663은 다중패턴/중앙/스팟+퍼펙트터치, 자동에서 ISO80-160(그러므로 자동에서 플래시를 강제로 끄면 어둡게 나올 수밖에. 이건 v570도 같다). 소니도 중앙/패턴 둘만 지원.메모리스틱이 비싸 풀셋비용은 20만원에 근접할 듯. - 광각최저가: 코닥 V570
통신위원회 FAQ SKT로 번호이동후 대리점에서 번호변경+안내 신청. 일단 내가 가입한 금융/소핑/게임사이트 등에서 전화기 인증되는 곳을 찾아 인증없이 개인정보(연락처 정보) 수정가능한지 확인 후 작업하자. 내용보기 제목 : 이동전화 번호안내서비스 A사업자의 이동전화를 해지하고 B사업자로 가입하였습니다. 당분간 종전에 사용하던 이동전화번호로 연락이 많이 올 것 같은데 변경된 이동전화번호가 변경되었음을 안내를 받을 수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A 사업자에서 서비스 해지 후 5일(SKT 3일)이내에 타사업자로 변경된 이동전화번호로의 번호안내서비스를 요청하실 수 있으며, 만약 동일 사업자내에서 번호변경된 경우 1개월(SKT는 15일) 이내에 신청하시면 1개월 동안 무료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다 른 사업자로 ..
200A짜리 후크미터를 사는 바람에, 전선을 10회 감았다. 이런 바보. 컴퓨터1PC AMD64 뉴캐슬 2800+ /X300SE + 17" CRT + 19" LCD = ~0.7A 나왔다. 부팅할 땐 0.9A까지도 썼고. 220V * 0.7 A = 154 W 154W 전력을 특정 용도로 하루 6+3=9시간씩 일주 6일 쓴다고 치면 154W * 9 h/day * 6 day/week * 4 week/month = ~34 kWh/월. 한전 전기요금계산: -0- (사례1: PC방에서 셈프론2400 ->인텔 930으로 업그레이드하고 +41kWh 더 나온 이야기 셈프론 2500+의 TDP는 62W, 펜D 930의 TDP는 95W. 각각 24시간, 30일 돌리면 45kWh, 69kWh이다. 차이는 24kWh. 나머지 ..
올림푸스 ESP측광 : SLR클럽글, 글2: 역광에 인물 어둡게 나온 사진 보정하는 법(리플) 올림푸스 측광은 약간 언더기가 있는 것 같다. 원래 흰색 옷이나 하늘이 들어가면 카메라가 그렇긴 하지만 더 신경쓰게 하는 느낌이랄까.. 더 알아봐야겠다. 일반적으로 디카는 CCD관용도가 필름에 비해 낮고, 필름은 오퍼레이터가 알아서 인화해주지만 디카는 그 부분이 좀 부족한 것 같다. 그리고 애초에 필름은 현상 전에 확인할 수 없지만 디카는 인화주문 전에 모니터에서 보정되지않은 사진을 확인할 수 있어서 카메라 노출문제가 적나라하게 드러나기도 한다.
SP-500UZ : 2000Z, 4000Z와 비슷한 크기 A700, SP-320 : 비슷. 문제는 dpreview의 SP-310 타이밍. 리뷰 모드에서 image to image가 2.5초다. cf. 2000Z에서 image to image가 HQ 3초, SHQ 5초 정도인데 3초가 매우 매우 느리게 느껴진다. 연속적인 리뷰 불능. RAW는 그렇다치고 가장 잘 쓸 3072 x 2304 JPEG SHQ 에서 dip. time이 2.3초란 건 문제가 있다. (JPEG HQ는 1.2초로 참을 만 하다) 결국 image to image는 xD메모리 읽기속도에 달린 것으로 보인다. dpreview, SP-500UZ 리뷰에서 xD메모리 H타입을 사용하면 쓰기 속도는 ~30%빨라지지만 읽기 속도는 비슷하다고 한다. ..
2006~2007년에 잘 팔리는 디지탈카메라의 조건 아래 나열한 여러 항목들이 지금은 개별 기업이 내세우는 특별한 장점이지만, 모두를 함께 모아 구현해도 근사한 특징이기도 하다. 저 기능이 모두 들어간 카메라를 누가 원하지 않겠는가? 고감도 CCD와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한 노이즈 감소로 高ISO 옵션을 넣는다. 보 급형 시장에서 F2.0 카메라가 시장에서 사라진 지 오래다. 하이엔드도 F2.0은 드물다. 조리개심도 F2.0에서 감도 ISO 400으로 주택 실내나 밝은 대중음식점[장소1]에서 얻을 수 있는 셔터속도는 1/15~1/30이다. 이정도면 카메라 주인이라면 약간 소프트해지긴 해도 6*4로 뽑기에 문제가 없다. 그 카메라를 처음 만지는 사람이라면 사진은 어느정도 소프트해질 수 있다. 요즘 대종을 이..
카메라에 유용한 악세사리. 실내촬영을 생각해보자. * 일단 내가 가진 카메라와 TTL연동이 안 된다. 이건 350을 사지 않은 이상 피할 수 없는 일이기도 하고, 또 TTL 지원하는 올림 정품이 싼 값도 아니고... 그러므로, 외장 플래시를 이용해 촬영하는 방법을 익힌 뒤에 구입하든 말든 하자. 그 전에 숙달할 방법은 1) 내장플래시 직광 촬영 2) 내장플래시 바운스 촬영 플래시 기본 16천원: 이 물건은 브라켓만 있다. 동조기/코드 불포함. 2000/4000/320에 알맞은 크기. 브라켓L2 14500 간이L자 7000 C-2000Z, 4000Z 에서는 싱크코드가 필요하다. 싱크코드는 플래시에 포함되어 있거나 별매가 4~5천원선에서 시작. 싱크단자가 없는 플래시에 사용하려면 끝이 핫슈모양인 것을 써야 ..
이지프로: MIPS 129MHz, 640*480*256 color, 8.2" DSTN LCD - 후속모델: 넥시오(5" 800*480) 모비 F220: 링크에서 F220으로 검색. : ARM 206MHz, 800*600*16k color, 8.4" TFT(?) LCD - 후속모델: 프리앙(모비 F400; 400MHz) 네이트PDA리뷰 F220은는 넥시오와 같은 엡슨 그래픽 컨트롤러를 사용하지만 넥시오보다 한두세대 전 CPU를 쓰며(PXA 400MHz vs ARM 206MHz) 넥시오보다 20%정도 표시도트수가 더 많은 관계로 넥시오보다 느리다. 이지프로보다 성능은 좋지만 역시 화면 표시 도트수가 50%정도 많고 16비트색을 표시하기 때문인지 기대보다 못하다고 않다고 한다. 단, 기본 CPU와 지원 OS가..
옛날에 끄적인 글. 사용기겸 자료보존차원에서 남겨둔다. 다중모니터/다중사용자환경에서 GF6100 내장 사운드와 충돌하는 LetzTV는 사용할 수 없다. 대신, PowerVCR을 사용할 수 있다. (이건 몇몇 TV카드에 번들로 들어있다) LetzTV 는 Overlay모드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이점은 DScaler도 마찬가지. 때문에 듀얼모니터 환경에서 두 번째 모니터에 TV화면을 표시할 수 없다. 그러나, PowerVCR은 오버레이가 안 되어 화질이 많이 떨어지기는 하지만 어쨌든 두 번째 모니터에 표시할 수 있다. (Overlay에 체크되어 있어도 알아서 전환된다. 체크박스 해제하면 프로그램이 동작하지 않으며 재설치해야 한다) InsideTV는 음성다중을 처리하지만 이건 CX칩셋이 아니라 BT칩셋이므로 ..
옛날에 끄적인 글. 사용기겸 자료보존차원에서 남겨둔다. LetzTV가 내장사운드와 충돌해 결국 하나를 껐다. 그 결과, 비트윈 세팅에서 TV는 편법으로 나오지만 소리가 하나 안나오므로 usb카드를 하나 달거나 TV카드를 바꿀 생각을 하게 됐다. 그래서 아래 TV카드견적글같은 걸 만들어봤다. 그러나, 여러 아날로그카드 리뷰를 보다 PowerVCR[사용법] 을 알게 됐다. SKY쪽 문답과 함께 이걸 보니 이넘도 오버레이를 끌 수 있는 것 같고 또 이건 음성소스도 지정할 수 있어서 좋을 것 같아 설치해보니 LetzTV를 실행하지 않고도 음성을 잘 뽑아냈다. 비트윈 모드에서는 역시 잡아내지 못했지만 그 상태에서도 볼륨설정은 못해도 스피커 출력은 잘 보내줬다. 디스케일러는 LetzTV가 꼭 떠있어야 음성을 내 주..
0604현재: 아날로그 TV카드는 단종됐고 HDTV카드(아날로그겸용)가 팔리고 있다. 리모컨은 USB포트에 달아 HID장치로 인식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시그마컴 HDTV 5 K1 (plus는 리모컨 포함) 43천원 878A칩셋을 쓴 HDTV카드다. 펜타5는 Cx23...인데 한 단계 낮추고 호환성을 높인 모델. GF6100 에서도 동작한다고 한다. 사운드는 아직 안알아봤지만 VGA는 된다 함. 지오리온 Mediaband HDTV+리모컨 3만원대 중반인 것 같다; 현존 최저가 모델. 아날로그 TV카드 상식TV 카드는 기본적으로 DirectShow 오버레이를 이용한다. 그러므로 뷰어와 드라이버 버전이 요구하는 이상의 DirectX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 오버레이는 한 비디오카드에서 한 프로그램만..
Viewed Posts
|
Recent Comments
|
Recent Pos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