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공공기관
도구
- 스마트폰,태블릿 화면크기비교
- 양쪽 윈도우키를 한영한자키로(AutoHotKey)
- 매크로: Robotask Lite
- 파일이름변경: ReNamer Lite
- 파일압축: 반디집
- 공공서식 한글(HWP편집가능, 개인비영리)
- 오피스: 리브레오피스(LibreOffice)
- 텍스트뷰어: 이지뷰어
- PDF: FoxIt리더, ezPDF에디터
- 수학풀이: 울프램 알파 ( WolframAlpha )
- 수치해석: 셈툴, MathFreeOn
- 계산기: Microsoft Mathematics 4.0
- 동영상: 팟플레이어
- 영상음악파일변환: 샤나인코더
- 이미지: 포토웍스
- 이미지: FastStone Photo Resizer
- 화면갈무리: 픽픽
- 이미지 편집: Paint.NET, Krita
- 이미지 뷰어: 꿀뷰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검색
- KS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해외시장뉴스
- 엔팩스(인터넷팩스발송)
- 구글 드라이브(문서도구)
- MS 원드라이브(SkyDrive)
- 네이버 N드라이브
- Box.com (舊 Box.net)
- Dropbox
- 구글 달력
- 모니터/모바일 픽셀 피치 계산
- Intel CPU, 칩셋 정보
- MS윈도우 기본 단축키
- 램디스크
- 초고해상도 관련
- 게임중독
- 표준시각
- 전기요금표/ 한전 사이버지점
- HWP/한컴오피스 뷰어
- 인터넷 속도측정(한국정보화진흥원)
- IT 용어사전
- 우편번호찾기
- 도로명주소 안내, 변환
- TED 강연(네이버, 한글)
- 플라톤아카데미TV
- 세바시
- 명견만리플러스
- 동아사이언스(과학동아)
- 과학동아 라이브러리
- 사이언스타임즈
- 과학잡지 표지 설명기사
- 칸아카데미
- KOCW (한국 오픈 코스웨어) 공개강의
- 네이버 SW 자료실
- 네이버 SW자료실, 기업용 Free
- 계산기
공공데이터베이스
목록
PC Geek'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cJn2k/btsLtrxbE24/5vqLWmWmiuc4w1zj0JVjy0/tfile.jpg)
아래와 같은 건, 보면 알 수 있듯이,구매대행도 아니고중국인 판매자가 국내몰에 개설한 것입니다.아래 스크린샷은 예시일 뿐, 많은 농산물이 올라와있습니다.그나마 국내구매로 위장하고 결제 후 통관번호를 요구하는 나쁜 해외판매자가 아니라, 오픈마켓에 해외직구로 등록한 판매자인 부분은 정직하다 하겠지만, 상품옵션을 저렇게 엉터리로 적어놓은 걸 보면 고객응대(문답 등)가 제대로 될 리가 없죠. 그냥 국내몰에 등록한 타오바오 판매자라고 보면 됩니다.그리고 저거, 중국 내수용 농산물입니다.ㅡ 우리나라 정부기관의 농약검사를 받지 않은 것이란 말이죠! ㅡ 국내에 번질 수 있는 유해한 해충이 들어있을지도 모르는데 그런 검사도 받지 않은 것입니다.중국산이든 페루산이든 정식으로 통관된 농산물은 그런 검사를 받습니다.절대로 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gmlf/btsH6gfurWh/Dg8A3skPyoc31gHL2nAcC1/img.jpg)
국내 온라인쇼핑몰의 구매대행판매자 유형요즘 네이버, 다나와 등의 가격비교사이트에서는 검색결과 목록화면에서 해외직구상품(구매대행상품 포함. 거래가 완료될 때까지 관세청 개인통관부호가 필요하냐가 기준인 듯)을 제외하거나 반대로 해외직구상품만 포함하도록 필터를 걸 수 있습니다.그리고 11번가같은 일부 오픈마켓에서도 해외직구상품을 자기가 현재 보고 있는 상품목록에서 제외시킬 수 있죠. 구매절차상 오픈마켓에 올라온 해외직구는 모두 구매대행이라고 봐도 됩니다. 요즘은 국내 판매자가 외국상품을 구매대행하려고 올리는 상품말고도, 현지 - 특히 중국 현지 - 판매자가 국내 오픈마켓에 미니숍을 만들고 상품을 올리기도 하는데 그것도 포함. 그리고 온라인몰에서 저렇게 포함/제외하는 필터는 아마, 판매자가 해외직구상품인지 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68KQF/btsD3bJuUIQ/4Fpm9PSjylzWLEuhAA0hlk/img.jpg)
중국산 콩이나 팥을 소용량으로 국내 오픈마켓에, 해외배송 결제로 파는 판매자를 본 적 있습니다. 이게 가능한가? 왜 이런 식으로 팔지? 궁금한 적 있었는데요, 이번에는 제주감귤이네요. 판매자 계정이름은 중국스럽고 상품원산지도 중국이라고 표시된 게 보입니다. 서귀포 제주감귤이 맞을까요? 서귀포 감귤이 맞다면 저 원산지표기는 무엇이며, 왜 해외구매방식으로 올린 걸까요? 신기하네요. ps. 저런 식으로 물건올린 판매자가 또 있더군요. 요즘은 서귀포감귤을 중국으로 덤핑이나 밀수라도 하나? 그래서 역수입하나? ps2. 귤값이 워낙 오르다 보니 이런 식으로 배송비를 부풀려 "눈탱이"치는 꼼수도. 해외직구상품에 배송비를 1만원이나 몇 만 원씩 붙이는 종종 봤어도 국내배송상품, 그것도 식품에 이 정도로 붙이는 건 신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JlScS/btsAxJvWdot/U4I4kmUCz0xG58Lta9HEe1/img.jpg)
개리야스웃었네요. ㅎㅎ 모 브랜드 쇼핑몰입니다. 원래 사람용 내의를 만드는 브랜듭니다. https://m.byc.co.kr/goods/goods_list.php?cateCd=048 BYC쇼핑몰BYC쇼핑몰m.byc.co.kr 가짜상품 주의우리나라에서 겨울내의브랜드 중에는 저 회사가 가장 유명할텐데요, 저기브랜드와 에어메리라는 상표를 도용한 중국산 가짜내의가 오픈마켓에 넘치고 있습니다. 단속도 안 되는지 판매랭킹에 올라있기도 하고, 답이 없네요. 검색되는 제품 타이틀과 모델번호는 그대로 도용하거나, 제품설명란 앞부분도 과거 그 유명 브랜드의 설명을 베끼기도 했는데, 잘 보면 자기들도 빠저냐갈 구멍을 만들려고 해서 뭔가가 달라요. 여차하면 "속아 산 구매자가 잘못한거다"는 식의 사기꾼 마인드. 중요한 모델번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7oVE/btsz9AGU2Dk/ftg8UbRmX9yTWDbyxqKsAk/img.jpg)
알아야 할 범죄이름이 갈수록 많아지네요. ;;; 브러싱 스캠(brushing scam) 브러싱 스캠: 전자상거래 판매자가 범죄목적으로, 불법으로 취득한 개인정보나 허위 개인정보를 사용해 전자상거래플랫폼(쇼핑몰)내에서의 인기순위조작, 허위상품리뷰 작성 등을 위해 발송하는 우편물 ㄴㅁ위키: 브러싱스캠 항목 ★ 상세한 설명 연합인포맥스 시사용어설명: 중국어에서 나온 영엉일 가능성. 매우 잘 나온 설명이니 잘 읽어보세요. ㅡ 2020년을 전후해 미국 영국 캐나다 일본 등에서 정체불명의 중국발 소포가 대량신고된 적 있음 ㅡ 우리나라도 최근 몇 년 연이어 몇 가지 중국발 전염병에 경각심이 커진 가운데, 정체불명의 중국발 소포와 우편물이 대량 신고되면서 이슈가 된 적 있다. 당시 중국 브러싱스캠사기꾼들은 중국에서 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OoaA/btseK23jBq3/S0z3CZPsLCX4hA2tXTATI0/img.jpg)
11번가와 이마트도 그랬나 안 그랬나.. 장바구니에서 지우면서 관심상품으로 넘기는 기능이 있으면 편하겠네요. 판매 중인 상품도 품절인 상품도. 그리고 관심상품화면을 좀 쓰기 편하게 약간만 신경써주기. 어떻게 만들지 생각하기 싫으면 그냥, 관심상품화면은 장바구니화면을 포크해놓고 사용법도 거의 같고 색깔만 다르게 해서 구별하고, 아이템 갯수를 장바구니 아이템 제한(에 제한이 있는 몰이라면)의 2~3배로 하면 어떨까요. 서점사이트든 오픈마켓이든 대형마트 온라인몰이든, 관심상품 또는 위시리스트는 쓰기 어렵게 방치한 데가 꽤 있지만 어쨌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8oNsx/btr9kQofcM3/wYQaGi31xlg7lBUyOeTZgK/img.jpg)
그 반대경우는 모르겠는데, ssg.com/이마트에서 가입할 때 장점이라고 설명한 부분. 출처는 이마트몰 앱. ===== ○ 한 번의 가입으로 SSG.COM/G마켓/옥션 모두에서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다양한 스마일클럽 혜택을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스마일클럽 혜택] - (SSG.COM 가입 전용)15,000원 이상 결제 시 장보기(쓱배송/새벽배송) 무료 배송 쿠폰 2장(기본 1장+런칭 기념 한정 1장) - (SSG.COM 가입 전용) 장바구니(쓱/새벽/트레이더스 배송 제외) 10% 할인쿠폰 2장(기본 1장+런칭 기념 한정 1장)===== 이마트에서 주문할 때 보통 4만원 이상 무료배송인데, 1.5만원 이상 무료배송을 월 1번+이벤트1번= 2번까지 해준다는 것. 그외 10% 장바구니 할인쿠폰. 스마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cZi2g/btrLcf5mBm2/qSEPzE3vc2OJOY8VIYeK8k/img.jpg)
요즘은 오픈마켓에 해외배송상품이 흔합니다. 그래서, 해외배송상품을 빼고 보고 싶을 때가 있죠. 상품목록 필터에, "해외배송제외" 선택지를 추가해주면 좋겠습니다. ※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는 렌탈제외, 해외구매제외같은 필터를 작년에도 적용해 볼 수 있었습니다. 네이버쇼핑도 조금 다르지만 비슷한 도구가 있었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yeGk/btrALuLUpny/QFBvoGUtLOMy9UZAUhwla0/img.jpg)
온라인몰/오픈마켓 창업? 이런 느낌. 거기서 뭘 하지 않더라도 한번 볼 만은 한 것 같아서 적어둡니다. http://rpp.gmarket.co.kr/?exhib=54150 G마켓 - 토스 부업 rpp.gmarket.co.k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29C9B/btriaVnrLzj/z9kcPbBYz5s0pyWSg0VgP0/img.jpg)
휴대용 4테라는 그렇게 좋은 값은 아니며, 가격대 용량비만 생각하면 시게이트나 웬디의 더 나은 딜을 기다려봐도 될 것 같습니다. (손쉬운 2년 무상보증같은 걸 원한다면, 예산을 더 써서 아마존 직구말고 국내 판매자의 상품을 찾아보세요) 휴대용 2테라는, 딱 이 용도로 필요한 사람에게는 쓸모가 있을 것 같네요. 특히 아마존 장바구니쿠폰이나 11번가 신한카드쿠폰으로 추가할인받을 수 있다면. Seagate 휴대용 외장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2TB PC, Mac, PS4 & Xbox용 USB 3.0 1년 데이터 복구 서비스 포함(STGX2000400) Seagate Portable 2TB External Hard Drive Portable HDD – USB 3.0 for PC, Mac, PS4, & Xbox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VP9eW/btrheZFoE4h/YWk5H3rkc8BKdzDkeQiUv0/img.jpg)
바로결제란 쿠팡에서 하는 그겁니다. 결제할 때 결제비밀번호입력단계없이, 결제버튼누르면 결제돼있는 것. 편하기는 한데, 생각할 단계를 하나 더 갖고 싶어 원래 방식을 선호한다면, 바로결제를 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설정화면에서 그 메뉴까지 들어갑니다. 여기까지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NF7C/btq5OSB41uD/G6QWgGFt7DF0Gpu1hJOS40/img.jpg)
셋 모두 해외직구상품은 시스템적으로 식별해 등록하고 있습니다. 결제단계에서 관세청 통관번호를 입력해야 하니까요. 하지만 셋 모두, 상품검색하면 보여주는 목록에서 필터링할 선택지에 해외직구상품을 제외하는 옵션은 없습니다. 특히 컴퓨터, 스마트폰관련 상품을 검색할 때, 가격낮은 순으로 정렬하면 제품값은 싸게 등록하고 배송비는 몇 만원인 해외상품이 늘어서기도 하고 살 생각없는 해외판매자 악세사리가 수십 개가 먼저 나오기도 해서 꽤 불편한 경우가 있습니다. ㅡ 해외직구상품을 제외하는 필터 체크박스를 추가해주면 좋겠네요. ㅡ 쇼핑 게이트웨이 사이트인 네이버 쇼핑의 검색결과목록에도 해외직구제외가 있지만 그건 알리바바(알리익스프레스)같은 해외몰 등록상품을 빼는 것이지, 국내몰에 등록된 해외직구상품을 빼진 못합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VjFHJ/btqU0xiHRx1/SeWUpN3z1qcmyB2CiOYf61/img.jpg)
100개를 채운 뒤 삼풍페이지에서 새 아이템을 담으려 하면, 더 담을 수 없다는 안내가 뜹니다. 100개 제한+ 관심상품인데, 서점처럼 몇 달 지나면 자동삭제하는 짓은 안 합니다. 상품권은 장바구에 안 들어가더군요. 가끔 걸리지만 100개가 불편하다고까지 생각한 적은 없군요. 온라인서점 장바구니는 200개도 부족하게 느껴졌는데. 관심상품쪽은 전혀 개선하지 않고 있어 옛날 인터페이스. 사실 중고장터말고는 거의 쓰지도 않지만, 개선한다면 개선할 여지는 있죠. 홈플러스나 이마트앱처럼, 자주 사는 상품을 자동저장하거나 등. 뭐살까 또는 쌀이나 개사료를 수동으로 정기구매상품관리할 수 있게 즐겨찾기목록처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040O/btqFz1MspWX/dGlstMXIuVUhiig2Wkpk1K/img.jpg)
접근방식이 다른 중고거래사이트와는 다르고, 이용 연령대가 매우 넓다는 내용을 다른 기사에서 본 뒤로 눈이 갔습니다. 남과 다르면서, 그리고 언뜻 생각하면 안 될 것 같았는데 그걸로 오래 살아남고/성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뭘 짚고 있는지 관심이 갔습니다. 저는 아직 사용하지 않습니다. http://naver.me/xowc6mBf 환갑 넘은 엄마도 빠진 '당근마켓'…"쉽게 만든 앱 통했죠" (지디넷코리아=안희정 기자)인터넷 쇼핑 심부름을 수도 없이 했던 기자가 아무런 도움 없이 '당근'하는 어머니를 봤을 때 '이건 되겠다'고 생각했다. 가입이 쉽고 직관적인 당근마켓 앱은 60대가 n.news.naver.com ㅡ "댓글을 없앴다" ㅡ 법률로 정해진 오픈마켓거래불가품목은 직거래 당근마켓에서도 거래불가 ㅡ 사회..
소위 진상고객말고도 이런 경우.2019년 블랙 프라이데이전후해 모 오픈마켓 판매자.마켓에서 중복 카드할인을 대폭 해주니까, 바로 전에 결제한 사람들이 줄줄이 취소.. 해외직구로 파는 판매자라 개인통관부호를 잘못 넣은 사람 문의도 받아줘야 하고, 이 판매자는 신경써서 관세 안 물도록 한 번에 여러 세트 구매한 사람은 발송일을 띄워 주기도 하지만, 여기 저기서 여러 판매자에게 혹은 여러 몰에서 산 사람들은 판매자가 일일이 신경써줄 수 없거나 애초에 배려해주는 게 물리적으로 불가능함. 그런 경우에 이미 발송진행했는데도 몰랐다며 취소해달라고 억지부리기도 하고..
귤이든 고구마든 제철 농산물이 다 그렇지만, 규격화된 공산품이 아니라면, 오픈마켓에서 신선농산물을 살 때는 대형마트쯤 되어 믿을 만한 곳이나, 몇 번 사봐서 여기는 괜찮다고 아는 유통상을 이용할 게 아니라면, 아예 농가 직거래로 파는 걸 봐가며 사는 게 좋았다. 오픈마켓에서 물건을 사는 이유가 뭐지? 그것도 한 번에 먹을 양보다 많이 말이다. 싸게 사려는 것이다. 그렇다면 직거래가 가장 낫겠지. 소비자가 보기에 농가가 유통상에 비해 불리한 점은 소량이니 물류비(택배비 등)가 더 들고 배송일이 길면 며칠 더 걸릴 것 같은 정도인데, 그래도 웬만하면 농가에서 파는 게 나았다. 특히 과일을 제철에 살 때는. 지금은 겨울인데, 사과는 농가에서 직접 내놓는 게 많다. 배는 잘 모르겠다. 감종류는 제철에는 농가에서..
해외직구상품을 제외하거나 해외직구상품만 표시하는 옵션이 없습니다. 제가 원하는 것은 일단 해외직구상품을 제외하는 선택지입니다.예를 들어, 네이버 쇼핑의 검색결과창에도 해외직구상품을 제외하거나 해외직구상품만 표시하는 옵션은 없고, 다나와도 마찬가지입니다. 오픈마켓으로 가면 이베이 옥션의 상품목록에도 마찬가지로 그런 거 없습니다. 지마켓도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오픈마켓들은 직구상품은 구매화면의 입력폼부터 다르기 때문에 시스템상으로는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안 하고 있죠. 11번가는 해외직구만 표시하는 선택지가 있습니다. 그래서 좋지만, 여기도 해외직구상품을 제외하는 선택지는 없는 것 같습니다.
아이폰도, 지진대비물품도, 사람들 재빠르네요. ^^아이폰7 플러스도 아랫단에 올라왔는데 그건 20만원쯤 더 비싸게 나왔습니다. 중국에 아이폰이 늦게 출시됐을 때, 해외 애플스토어에서 줄서서 구매한 아이폰을 수집해 중국으로 보내는 장사가 잘 됐다더니 딱 그렇네요. ps.저건 옥션 사이트인데, 11번가는 자기 페이지에 들어가면 관세청 통관번호를 입력받아 보관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하긴 직구형태로 물량 판매하면서 정식 수입때 필요한 인증과 세금을 피해가는 업자와 판매방식이 성행하니 마켓이 그런 걸 넣었나봅니다. 그렇게 하면 구매자 개인정보 보호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지만 거기서 그렇게 사본 적이 없어 어떻게 동작하는 지는 모르겠네요.
샵N은 검색엔진을 이용해 노출하고, 결제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네이버를 통해 구매한 경우 옥션비슷하게 판매수수료를 받는 오픈마켓방식이라는데,중소 몰을 파고든다고 욕을 좀 먹었죠. 옛날에는 그랬을 지 몰라도 지금은 글쎄요.저는 욕먹을 일이 없다고 생각합니다만 최근까지 말이 있었던 모양입니다. (전자신문 기사) 저 기사에 등장하는 "오픈마켓 업계"가 어딜 말하는 거죠? 이베이 계열사? 11번가? 소셜? 이베이 옥션, 이베이 지마켓, 그리고 SK 11번가.. 오픈마켓은 이 셋이 다 해먹는데 뭐, 네이버 샵N이 빠진다고 중소기업 친화적이 될까요? 글쎄요. 저는 오히려 저런 논란을 부른 게 이베이와 SK가 짠 게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어요. 전에 제가 듣기로 샵N의 운영방식은 결제서비스를 대행하는 걸 위주로 했던가 ..
쇼핑몰들은 제휴 게이트웨이로 들어오는 구매와 직접 방문 구매를 구별하기 위해서인지 바로가기 접속 아이콘을 만들고 그 접속을 표시하는 데가 있습니다. 일단 3대 오픈마켓은 다 해요. 그 중 옥션과 11번가는, 바로가기 접속이 아니어도 클릭으로 바로가기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이건 마음에 드네요. (11번가는 윈도XP의 파이어폭스에서 상단 상품 검색창을 쓸 수 없는 건 참 불편하지만. 전에 잠시 됐다고 기억하는데 다시 안 되더군요. 크롬에서는 되기도 하고 안 되기도 합니다. 경험상 그런데 조건은 모르겠어요. 담당자가 누구인지, 완전 바보짓이라고 생각합니다. 옥션과 지마켓은 잘 됩니다.) 사소한내용이지만 편해지는 건 좋으니까. 아래는 구글 크롬 기준입니다. 11번가 '바로가기 설치하기'를 클릭하면 옥션은, 바..
Viewed Posts
|
Recent Comments
|
Recent Pos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