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AIDS(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을 스스로 이겨낸 사람에 관한 연구 본문

건강, 생활보조, 동물

AIDS(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을 스스로 이겨낸 사람에 관한 연구

그런 사람이 있기는 있군요. 인간은 대단합니다!

다만 기사가 말하는 면역력은 항원항체반응같은 이야기가 아니라, 넓은 뜻에서.


‘슈퍼 면역력’으로 에이즈 자연 치유…기적의 완치자 발견

서울신문 2020.8.30

  • 네이처’(Nature) 2020년 8월26일자
  • "이 기적의 환자는 에이즈를 완전히 자력으로 자연 치유했다. 자연 치유 뒤 그 몸에는 제대로 된 에이즈의 유전자가 존재하지 않고 얼마 남지 않은 유전자 흔적조차 거의 다 사라져 가고 있었다."
  • 엘리트 컨트롤러’(Elite Controller·이하 EC): AIDS에 걸린 사람들 중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받거나 받지 못했지만 몸속 바이러스를 잘 통제하는 환자. 감염자의 0.5%정도.
  • 연구그룹은 EC 64명과 보통 환자 41명의 세포를 기증받아, 유전체를 연구. AIDS바이러스는 숙주의 게놈에 바이러스 유전자를 집어넣음.
  • EC의 유전체에도 AIDS바이러스의 유전체가 들어가있었지만, 전사가 잘 일어나지 않는 헤테크로마틴쪽에 삽입돼 있었음.
  • EC 중 어떤 사람은 치료없이 자연치유된 경력이 있는데, 그녀의 유전체에는 바이러스 유전자가 들어가있기는 하지만 온전하게 기능하는 바이러스를 만들어낼 수 없는 잔해와 같은 모습이 되어있었다고. 

기사만 봐서는 이런 식인 듯: 연구자들은, EC의 면역체계에게는 바이러스 유전체가 숙주 유전체에 제대로 삽입되어 바이러스를 만들어내는 그런 숙주 세포를 선별해 죽이는 기전이 활성화되어 있다고 보는 것 같다. 그래서, 바이러스 유전체가 숙주 게놈의 비활성지역에 삽입되면 그 숙주세포는 잠자는 채로 방치되는듯. 어떤 경우에는 그런 부분에 통합돼있는 바이러스 유전체조차 어떤 식으로 선별해 숙주세포를 죽일 있거나, 아니면 그런 숙주세포에서 낮은 확률로 전사될 때 매우 민감하게 잡아내서, 결국 AIDS바이러스를 받아들이지 않은 숙주세포와, 바이러스를 만들어낼 수 없을 만큼 바이러스 유전체가 깨진 상태로 숙주 유전체에 삽입된 세포만 살아남는다 즉 질병 증상이 나타나지 않거나 치료된 게 아니냐는 것. 논문을 읽지 않았으므로 여기까지만 상상해봅니다.



※ 질문인데요, 세포 안에, DNA사슬을 돌아다니며 검색해서 자기 몸 코드인지 다른 생명체(인간이 떼죽음한 적 있는 특정한 바이러스 등)의 코드인지 확인하는 기능이 있나요?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