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의학용어: 일차성/원발성↔이차성/속발성, 특발성:본태성 본문

건강, 생활보조, 동물

의학용어: 일차성/원발성↔이차성/속발성, 특발성:본태성

특히 고혈압 등 심혈관질환을 다룬 옛날 의학책에서 잘 볼 수 있는 단어다.

"일차성" 고혈압..
"본태성" 고혈압이라든가
"특발성" 심장비대라든가
"원발성" 동맥경화라든가

 

포인트가 약간씩 다르기는 하지만, 일단 비슷한 경우에 사용한다.

원발성 고혈압의 반대편에는 속발성 고혈압

고지혈증도 일차성 고지혈증의 반대편에 있는 말은 이차성 고지혈증

 

일차성/본태성/특발성/원발성 이런 말은 영어로는 primary라든가 essential이라든가 idiopathic이라든가 하는 식으로, 의대도서관에 있는 베개만한 의학서적보면 전공자가 아니면 난감하게 써놨다. 2리터 생수병이 생각날 만큼 두꺼운 임상심장학책보면 아무 설명없이 그런 소리가 기본이다.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6101401160

 

특발성, 본태성 무슨 뜻이지?

특발성, 본태성 무슨 뜻이지? 글 안지현(KMI 한국의학연구소 의학박사) | / 사진 셔터스톡 40세 여성이 다리가 자주 부어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콩팥, 간, 심장 등에 아무런 이상이 없다고 한다.

m.health.chosun.com


일차성↔이차성
원발성↔속발성
A질환을 일으킨 원인이 되는 다른 질환이 ~
없다면 A질환은 일차성 또는 원발성이고,
있다면 A질환은 이차성 또는 속발성이란 수식어가 진단명에 붙는다고.

암(cancer)의 진단명에는 (원발성↔전이성
으로 진단명에 수식어가 붙는다고 한다. 그 자리에서 처음 생긴 암종은 원발성 암, 그리고 원발성암이 확인된 다음 그 암세포가 전이해 생긴 것으로 진단한 다른 부위의 암종이 전이성 암.)

[고혈압]같은 것은,
특발성, 본태성, 원발성:
질병상태는 [고혈압]이 맞는데 아직 원인/기전을 규명하지 못한 [고혈압]일 때 붙이기도 했다고.

 


* 잡담.

이제는 알아도 관행을 따라 쓰겠지만. 어감상 이런 건 그 질환에만 집중해 치료하면 된다고 정의한 경우같다. 그 병(여기선 고혈압)을 고치기 위해 선조치해야 할 다른 질병이 없으니까.

 

안과로 치면, 당뇨병이나 고혈압이나 백내장이 심해져(수정체가 아주 두꺼워져) 안압이 올라가있다면

안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안액이나 방수를 빼는 수술은 가장 먼저 해야 할 치료는 아니다.

백내장수술을 하고 혈압을 내리거나, 당뇨병약, 혈압약, 고지혈증약을 지병에 따라 먹이면 안압이 내려갈 수도 있는 것이다.

만약 그래도 안 내려가면 그때 가서 시술이나 수술을 생각해야 하는 것일 테고.

그렇게 짐작되는 원인이 있다면 환자 눈의 안압이 올라간 것은 이차성이다.

그렇게 짐작되는 원인이 없다면 환자 눈의 안압이 올라간 것은 본태성이다.

이런 식으로 쓴다고 하면 대충 맞겠지.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