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SNS의 역기능 기사 하나 본문

모바일, 통신/SNS - 문화, 매체

SNS의 역기능 기사 하나

https://pcgeeks.tistory.com/24924       ▒    2024. 2. 14.

    저 기사내용에 "세대갈등"이란 말은 어울리지 않아보입니다. 더 어울릴 다른 주제어가 있을 것 같은데...[각주:1]

    https://naver.me/5VlQZIZq

    SNS 타고…미디어가 쌓아 올린 세대 간 ‘갈등의 벽’ [청년과 노인의 현주소]

    도민 10명 중 1명 세대 갈등 인식, 개인주의 성향 MZ·꼰대 어르신 등 언론서 특정세대 고정관념 만들어...온라인 통해 부정적 이미지 각인 일러스트. 유동수화백 “솔직히 저출산이 20·30세대 탓인

    n.news.naver.com




    * 여담
    요즘 온라인 커뮤니티보면 1020도 "우리는 유튜브만 믿어" 인 것 같아서, 전에 6070 어르신들 짤방 스크린샷(같은 말이 자막으로 들어간)하고 다를 게 하나도 없는 것 같습니다. 똑같죠. 결국은 나이가 아니라 사람 그 자체에서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찾아야 한다는 것.

    그리고 유튜브[각주:2] 추천 알고리즘의 문제를 지적한 기사도 점점 자주 나오고 있습니다. 관심가질 만한 다음 영상이란 곧 알고리즘이 캐치한 이용자 성향에 어울리는 영상이고, 수많은 시청자와 업로더 중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은 있게 마련이고 그런 사람들을 추천해 이어주는 게 알고리즘이니까. 그럼 소위 "확증편향"이 더 강해진다는 이야기였습니다.



    1. 오래 전에 OOO 에서, 어르신과 정애인 배려에 관한 이야기에 "나라면 그렇게 사느니 죽고 만다"는 댓글을 보고 놀란 적이 있었는데, 요즘은 어디서나 그런 글을 볼 수 있게 됐습니다. 정치적 올바름이나 성인지교육이나 다문화교육 이상으로 이것은 큰 이야기입니다. [본문으로]
    2. 유튜브만이 아니죠. 이용자가 사이트에 더 오래 머무르기를 바라는 모든 sns와 커뮤니티 게시판, 뉴스포털. [본문으로]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