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빔프로젝터 스크린에 관해 찾아본 것 (특히 회색) 본문


컴퓨터 부품별/모니터

빔프로젝터 스크린에 관해 찾아본 것 (특히 회색)


반응형

내돈내산해 써보고 후회하고 나서
정보를 찾아보는.. ㅠ.ㅠ

몇 가지 읽어보고 나서 적는 것이다.
나는 완전 문외한이라 잘못 읽고 틀리게 쓴 내용도 있을지 모른다. 조심.


빔프로젝터 스크린 재질과 색

아래 글을 보면, 재질 중 글라스비드코팅타입은 오래 사용하면 유기?유리?가루(?)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고 한다. 가정에서 쓰면 또는 거치해두지 않고 보관할 때 접히거나 구겨지는 환경이면 좀 그럴지도.
https://naver.me/xI80XW39

 

스크린도 잘 선택 해야 합니다 프로젝터 만큼 중요한 스크린(2)

[BY 피앤씨미디어] 스크린 재질에 따른 반사 형태를 알아보겠습니다. 1) 매트 화이트 (Matte White ) ...

m.post.naver.com


http://www.getprojector.co.kr/screen/screen_guide.php

 

▒▒겟프로젝터▒▒ - 프로젝터의 모든 것

** 스크린의 선택 ** 스크린의 재질은 아래와 같이 몆가지의 종류가 있으며, 사용 방식에 따라 수동형과 전동형이 있습니다. 사용 목적에 적합한 재질의 스크린을 선택해야 프로젝터가 가진 고유

www.getprojector.co.kr


https://m.blog.naver.com/lampplus/20201464953

 

프로젝터와 궁합이 맞는 스크린이란?

프로젝터와 궁합이 맞는 스크린이란?   안녕하세요, 통큰미디어입니다. 오늘은 프로젝터를 사용하시는...

blog.naver.com


https://m.blog.naver.com/ttokisoon/30045993022

 

잘 쓰면 약이되고 잘 못쓰면 독이되는 스크린 이야기

어떤 프로젝터를 사용 할지 만큼이나 중요한것이 어떤 스크린을 사용할 것인가도 대단히 중요한 문제 입니...

blog.naver.com


https://m.blog.naver.com/smart_av/221017384014

 

스크린

프로젝터 스크린은 프로젝터의 빛을 청중의 눈으로 반사시켜 작동합니다. 대부분의 스크린은 4:3, 16:9 그...

blog.naver.com



ㅡ 직물 원단만 쓴 매트스크린.. 가장 무난. 시야각이 넓어 여럿이 보기 좋다. 시야각이 넓다는 말은 난반사도 많다는 말이므로 밝기가 상대적으로 떨어져보일 수 있는 것은 단점.

ㅡ 글라스비드 코팅 스크린.. 영상을 투사한 프로젝터 방향으로 빛을 반사한다. 따라서 천장에 매달아둔 프로젝터가 쏘는 집에서는 쓰면 안 된다. 프로젝터가 내 옆이나 앞에 있을 때 사용하는 것. 시야각이 매우 좁아서 프로젝터가 나와 다른 1인 사이에 놓여있는 배치일 때만 좋다고.
난반사가 적어 두세 사람이 볼 때는 밝은 화면을 제공한다.
단점으로, 중심부와 주변부 밝기차가 심하게 나서 비네팅같이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된 것처럼 장시간 사용시 코팅한 유리(글래스 비드)가루가 떨어진다/떨어질 가능성이 있다니 그건 건강면에서의 단점이겠네. 특히 값싼 제품, 특히 인증을 받지 않은 제품이면, 설치 후 신경써줄 겨를이 없다면 여러 모로 꺼림직할 듯. 그런 데는 그냥 화이트 매트스크린 종류 중에 고르는 것이 낫겠다.[각주:1]

ㅡ 반사 스크린.. 빛반사재질 스크린이다. 거울같은 각도로 반사된다. 천장에 매달아둔 프로잭터가 투사한 영상이 스크린에 반사돼 프로젝터자리의 아래에 앉은 사람이 보기 좋은 각도로 들어온다.
반사도가 높을수록 화면가운데에 프로젝터 광원이 흰색스팟으로 나오는 것은 단점.

ㅡㅡㅡ
* 게인(gain; 이득)을 입사광대비 더 밝게 보이는 정도라고 적은 글을 봤는데, 반사광이 입사광보다 더 밝을(=증폭될) 수는 없는 일일 터. 아마 '난반사가 적다'는 말을 하려는 것 같았다.
그런데 비드 코팅을 어떻게 했길래 수직으로 입사하지 않았는데도 광원쪽으로 반사된다고 설명하는 걸까
ㅡㅡㅡ

스크린 색에 따라
ㅡ 흰색 매트스크린.. 제일 무난. 어두운 저출력 프로잭터에 좋음.
특히 암막커튼 확실하개 치고, 또는 밤에 조명 다 끄고 본다면 이게 기본이다.

ㅡ회색이나 어두운 회색(검정) 스크린.. 흰색보다는 검정색이 검정색같아서 상대적으로 고대비 화면이 나온다는 말을 듣는다.
하지만 당연히 흰색보다는 빛반사가 적다. 그 말은 프로젝터 출력이 작으면 전체적으로 어둡게 보이는 큰 단점이 있다는 것. 따라서 일단 화면이 밝기를 바라는 저출력 미니프로젝터에는 보통 그렇게 어울리지는 않는 것이라고.

요즘은 값싼 듣보잡 미니프로젝터도 아주 어둡지는 않은 게 나오지만, 그런 프로젝터 본체 가격대에 어울리는 값싼 회색 스크린은 거의 글라스비드다. 즉 프로젝터가 쏘는 자리에서 봐야 잘 보이고 상하좌우로 1미터만 벗어나도 어두워진다.



제일 좋은 것, FM은,
투과하지 않을 만큼은 "두꺼운"[각주:2] 흰색 매트스크린이나
아예 흰색 무광페인트칠한 벽이라는 듯.

판매상 유튜브 시연연상에
회색이 흰색보다 훨씬 좋아보이는 건
착각을 유발하는 트릭을 썼거나
광원이 밝은 고성능 프로젝터를 사용했을 때일 수 있다.
속지.마라.


그리고 또 하나.
스크린 원단의 "두께"다.
비싼 제품은 그렇지 않겠지만,
만약 원단이 너무 얇다면 프로젝터가 투과하는 빛이 있을.수 있다. 그럼 당연히, 반사되어 내 눈에 보이는 화면은 어두울 것이다.




ps.
영상을 쏘아보내는 프로젝터기계쪽으로 빛반사?!
https://gigglehd.com/gg/bbs/14019294

 

회색 프로젝터 스크린이 좋기는 하네요 - 커뮤니티 게시판 - 기글하드웨어

딱 가격에 충실한 알리 스크린입니다.     근데.... 뭔가 팬소리가 더 큰거 같아 보니 빛이 나오는 곳으로 집중되는군요...   TV네요 이쪽은 그냥.    뭐 이정도로 만족해야겠죠 뭐.    반사계수

gigglehd.com


ps.
염가형과 고급형차이는 있다지만 기본적으로, 그레이스크린은 다른 장점을 얻기 위해 흰색과 색감을 버린다. 따라서 화사한 영상이 좋다면 흰색 스크린을 써라!
https://dprime.kr/g2/bbs/board.php?bo_table=display&wr_id=82736

 

회색 스크린의 퍼포먼스에 대해서.. - DVDPrime

윤씨네 시네스크린 100인치로 엡슨 TW-10H를 사용중입니다. DP에서 'LCD에는 회색 스크린이다!!'흑색을 많이 잡아준다! 라는 말에 대안이 없겠구나 생각하고 구입했고...약 3시간 정도의 사투끝에

dprime.kr


ps.

어느 해외직구 최저가형 회색 스크린 사용기 스크린샷.

리뷰어 말로는 그냥 흰 벽이 낫다고.

기계번역으로 철분=다리미. (받고 나서 스팀다리미로 접힌 자욱을 펴주라는 지시가 있음) 해보니 스크린을 벽에 물어뜨린 다음 스팀다리미를 사용하는 게 좋았다는 말. 원래 스팀다리미로 주름펼 땐 옷도 옷걸이에 걸고 다린다.

그리고 화면은 위 사진에서는 왼쪽이 흰 벽, 오른쪽이 회색 스크린. 약간의 색감향상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그닥이다. 쓰고 싶지는 않은.


얇은 싸구려를 쓰면 저렇게 울어 버리는 게, 밝기나 대조보다 더 문제겠네.
거의 모든 사용자가 이 접힌 자욱때문에 고민한 글을 올렸다. 이걸 깔끔하게 펴는 데 성공한 사람들은 그런대로 쓸 만하다는 글을 남기기도.

위 화면에서 흰색벽이 더 뿌얘보이고 회색 색감이 나아보이는 건 아마, 불 다 끄고 프로젝터만 켜고 찍은 게 아니라서 주변 조명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다른 리뷰들.


재질은 앞뒷면 구별이 있다고.
매끈한 면이 반사면.



그냥 벽이 더 밝다.
만약 지금 무광 흰 벽에 투사했을 때 눈부실 정도로 밝은 프로젝터를 사용한다면,
회색 스크린을 사용하면 밝기가 줄어든 만큼 눈부시지 않으면서 대비를 얻을 수 있다 정도인 듯.


똑같은 사진을 쓴 다른 리뷰. 이건 뭐야?


그리고 같은 리뷰 복붙..이건 또 뭐지?

혼란하다 혼란해 ;:::;;



가끔, 잘 읽어보면, 또는 사진을 보면, 전혀 다른 제품 후기를 이 제품 후기라며 적은 글도 보인다. 착오인가 "주작"인가?


몇 천 원에서 1만원대 정도 하는 싸구려 회색 스크린은, 이미 흰 색 벽에 투사하거나 하얀색에 가까운 계열 벽지를 붙여놓은 집이라면 쓸 필요없다는 교훈.

그리고 고사양 프로젝터 소유자라면 굳이 이런 걸 살 일은 없겠지.

당신이 초보라면? 흰색 매트로 시작해라.
주름펴는 걸 못한다면? 접으면 자욱남은 걸 펴는 데 고생했다, 못해서 곤란했다, 다리미써서 폈더니 원단이 수축했다/표면이 손상됐다는 후기가 있는 제품이나 그런 걸 접어서 배송하는 상품 X


호평한 사람도 쉽게 구겨지는 스크린 다림질(이거 하다 재질이 망했다는 후기, 럼두가 안 나 주름진 채로 본다는 후기가 종종 보인다)과 보관에는 곤란하다는 평가.
그리고 재질이 뭔지는 몰라도 최적각도가 정해져 있어 시야가 좁다는 평이 자주 보인다.

 

 

 

 

 

  1. 그런 것 중에 암막커튼을 겸하거나, 차광막+반사판역할하는 재질이 덧붙은 게 있는지 궁금한데, 찾아보지 않아 모른다. [본문으로]
  2. 사용기 중 어느 값싼 화이트 매트 스크린은, 거실에서 주간에 펼치면 베란다에서 들어오는 빛이 비친다. 즉 암막효과가 없다. [본문으로]
반응형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more

Viewed Pos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