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웹툰 제작에 AI를, 독자용 서비스와 미디어믹스에 AI를... (기사)/:/ 2024 웹툰산업 실태조사에서 AI부분 설문조사 결과 본문

소프트웨어와 콘텐츠/그래픽, 사진

웹툰 제작에 AI를, 독자용 서비스와 미디어믹스에 AI를... (기사)/:/ 2024 웹툰산업 실태조사에서 AI부분 설문조사 결과

앞서의 글이 길어져서 AI 웹툰 관련 내용을 따로 빼냈습니다.

 

생각해보면, 창작자쪽으로는 퍼블리셔의 그 작가전담 직원이 아닌 전담AI에게 작가의 스토리텔링과 화풍을 학습시킨 다음 자료수집, 플롯 작성, 콘티짜기, 러프 그리기에 모두 쓸 수 있게 할 수도 있겠네요.[각주:1] (모 게임에서처럼 작품제작 중에 사람이 죽으면 AI가 그 사람대신 작품을 마무리하는데 사용될 지도) 

예전에, 클립스튜디오라든가 다른 몇 가지 만화그리는 툴을 무료로 제공하면서, 결과물을 자사 코믹 플랫폼에만 업로드해 공개하는 조건을 건 회사들이 있었죠. 그런 컨셉이 적용되고 있는 것인가요?

 

 

생성형 AI 도구를 이용자와 창작자에게

제공하겠다했다는 이야기가 눈에 띄네요. 아래 기사는 작년 6월것

아마존·애플 진출…새 도전 직면한 K-웹툰 | 네이버는 나스닥 行, 카카오는 日시장 집중 - 매일경제 2024.6.25

https://www.mk.co.kr/news/business/11050919

 

아마존·애플 진출…새 도전 직면한 K-웹툰 | 네이버는 나스닥 行, 카카오는 日시장 집중 - 매일경

네이버와 카카오가 시장을 열고 주도하고 있는 웹툰은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디바이스를 통해 세로 스크롤 방식으로 보는 온라인 만화를 의미한다. 한국이 종주국인 웹툰 시장에 아마존에 이

www.mk.co.kr

 

소비자쪽으로는 웹툰 캐릭터를 학습시킨 AI챗봇이 작품 속 등장인물인 척 연기해 독자와 채팅하도록 하는 것. 이건 좋은 아이디어네요. :) 완전히 새로운 콘텐츠로 발전할 수도 있을 듯.

네이버 웹툰 캐릭터챗은 대규모언어모델(LLM)을 기반으로 학습됐으며 네이버웹툰이 엄선한 일부 웹툰 캐릭터와 대화를 나눠볼 수 있는 기능이 핵심으로 제공된다. 이를 통해 이용자들은 웹툰 속 캐릭터와 소통하는 경험을 할 수 있게 된다. - 매일경제

 

그리고 파생상품..

네이버웹툰은 AI를 활용해 사진을 웹툰 그림체로 변환시켜주는 ‘툰필터’ 서비스를 지난해 내놨다. 챗봇 이후로는 AI와 웹툰 IP를 활용한 ‘캐리커처’ 서비스도 준비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또 네이버웹툰은 유해 콘텐츠를 자동으로 걸러내기 위한 AI 필터링 솔루션인 ‘엑스파이더(Xpider)’를 독자 개발해 현재 주요 서비스에 활용하고 있다. - 매일경제

 

 

 

이걸 AI가 그렸다고?…그림 실력 없어도 웹툰작가 되는 세상 [트랜D]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70778

 

이걸 AI가 그렸다고?…그림 실력 없어도 웹툰작가 되는 세상 [트랜D] | 중앙일보

네이버는 생성형 AI가 웹툰 작가들의 작품을 무단 학습하는 것을 막아주는 ‘웹툰 AI 임파스토’라는 서비스도 개발 중입니다. AI를 활용한 웹툰 서비스는 기존 작가의 작업 효율을 높여주거나,

www.joongang.co.kr

 

2022년 네이버는 콘텐트 관련 AI를 연구하는 웹툰 AI 조직을 구성했습니다. 불법 복제물을 추적하는 ‘툰레이더’와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웹툰 AI 페인터’ 등 AI 도구를 개발했죠. ‘툰레이더’는 불법 유통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웹툰 AI 페인터’는 창작자의 스케치에 자연스러운 채색을 도와 창작 효율성을 높입니다.

네이버는 생성형 AI가 웹툰 작가들의 작품을 무단 학습하는 것을 막아주는 ‘웹툰 AI 임파스토’라는 서비스도 개발 중입니다. AI로 인한 저작권 침해 및 보호 문제가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기 때문이죠. 이런 기술적 대응은 창작자들의 권리를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70778 - 중앙일보 2024.8.15

 

AI 웹툰 스타트업의 서비스 목표는 (......) 그림 그리기와 채색은 기술에 맡기고, 작가들은 스토리텔링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죠. 현재 국내에 젠버스·오노마AI·리얼드로우 등 여러 스타트업이 관련 서비스와 솔루션을 내놓고 있습니다. 이들은 생성형 AI는 물론 언리얼 엔진 등 3D 관련 기술을 활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웹툰을 제작할 수 있도록 자체 기술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70778

 

이런 서비스가 웹툰작가를 구축하게 될지는 아직 몰라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보조를 표방하는 만큼 오리지널 콘텐츠 IP는 중요.

 

 

[바스리] 웹툰 AI 에이전트가 무엇인지, 실력으로 보여주겠다 - 바이라인네트워크 2025년 2월 5일

https://byline.network/2025/02/3-236/

 

[바스리] 웹툰 AI 에이전트가 무엇인지, 실력으로 보여주겠다 – 바이라인네트워크

일주일을 꼬박 거의 하루도 안 쉬고 웹툰을 그려내면, 가장 많이 달리는 댓글은 "얼른 다음화를 내놓아라"다. 작가는 일주일에 한 편을 마감하느라 엄청나게 많은 시간을 들여 고생하지만 독자

byline.network

"그리는 데 일주일, 읽는 데 삼분컷" (웹툰의 현재)

 

ㅡ 스타트업 라이언로켓이 발표한 젠버스 알파는, 작가 개인의 화풍을 학습해 웹툰 창작을 지원하는 AI 웹툰 에이전트 서비스.

ㅡ 웹소설을 원작으로 AI웹툰을 만들기도. (관련기사)

(웹소설이 아니라도 종이책시대에 생산된 산더미만큼 많은 콘텐츠(IP)들이 적당한 만화가와 협의해 그림체를 만든 AI 웹툰으로 부활할 수도 있겠습니다)

ㅡ 저작권 문제는, 사용하는 작가 개인의 화풍을 학습시킨 전담 어시스턴트 AI라면 문제없다.

ㅡ 차별화된 SW 개발 노하우

ㅡ "사람의 선택을 다 없앤다는 이야기다. 콘티만 집어 넣으면 알아서 나오도록"

ㅡ "AI의 장점은 학습이 계속 가능하다는 거다. AI가 지금 그림을 좀 못 그리는 것 같다고 느끼면 가르치면 된다"

 

 

송민 오노마AI 대표 "생성 AI는 웹툰의 적이 아닌 지원군...인식 변화는 필수" - AI타임스 2024.11.3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4863

 

송민 오노마AI 대표 "생성 AI는 웹툰의 적이 아닌 지원군...인식 변화는 필수" - AI타임스

생성 인공지능(AI) 도입이 본격화된 지 2년을 앞두며, 일자리 걱정으로 AI에 반발하던 분위기가 많이 바뀌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적인 분야가 웹툰으로, 이런 양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곳이 \'투

www.aitimes.com

(......) '투툰'을 서비스 중인 오노마AI는, 현직 웹툰 작가와 지망생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AI 모델 및 서비스를 개발 중이다. 지난 7월과 8월 이미지 생성 보조 모델 ‘아니마 디퓨전’과 스토리 생성 보조 모델 ‘페뷸레이터’를 순차 공개했다.  이처럼 투툰은 프롬프트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은 물론, 키워드를 입력하면 웹툰 기획안까지 자동 완성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창작자는 아이디어와 간단한 지시어만으로 스토리와 콘셉트를 시각화할 수 있으며, AI로 직접 선화를 보완해 빠르고 직관적인 창작이 가능하다. (......)
출처 : AI타임스(https://www.aitimes.com)

 

같은 매체 기사에, 저 회사의 AI제품군 소개기사가 하단에 보이길래 링크합니다.

 

오노마에이아이, 웹툰 창작활동 보조 모델 '아니마 디퓨전' 공개 - AI타임스 2024.7.6.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1344

 

오노마에이아이, 웹툰 창작활동 보조 모델 '아니마 디퓨전' 공개 - AI타임스

오노마에이아이가 작가의 그림체를 학습, \'개인화 웹툰 창작\'을 보조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공개했다. 정교한 웹툰 이미지 생성을 위해 데이터 학습 단계부터 많은 신경을 썼으며, 창작 단체

www.aitimes.com

ㅡ 웹툰 창작 보조 서비스 '투툰(TOOTOON)'의 베이스 모델인 '아니마 디퓨전(Anima Diffusion XL)'

ㅡ 투툰은 작가의 캐릭터 그림체를 학습, 개인화된 방식으로 웹툰 작품 활동을 보조하는 창작 도구. 아니마 디퓨전은 투툰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제작한 새로운 베이스 모델.

ㅡ 콘티를 입력하면 작가의 그림체로 '선화(러프하게 그려낸 스케치 위에 실제로 선을 따서 형태를 구체화하는 작업)' 단계까지 나아가는 것이 개발 목표

 

기사에 언급된 다른 회사들:

ㅡ 미국 스타트업 로어 머신(Lore Machine)은 스토리, 소설, 대본 등 텍스트 프롬프트를 입력해 웹툰을 생성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창작 플랫폼 출시
ㅡ 스타트업 슈퍼엔진이 만화·웹툰 제작용 생성 AI ‘퓨어모델 AI’ 개발

 

오노마AI, 웹툰 스토리 기획 도와주는 '투툰 페뷸레이터' 론칭 - AI타임스 2024.8.8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2367

 

오노마AI, 웹툰 스토리 기획 도와주는 '투툰 페뷸레이터' 론칭 - AI타임스

인공지능(AI) 웹툰 창작 전문 오노마에이아이(대표 송민)는 그림 생성을 담당하는 \'아니마 디퓨전\' 모델 및 서비스 공개에 이어, 대형언어모델(LLM) 기반 스토리 기획 서비스 \'투툰 페뷸레이터\'

www.aitimes.com

대형언어모델(LLM) 기반 스토리 기획 서비스 '투툰 페뷸레이터' (......) 스토리를 단계별로 기획 (......) 로그라인-캐릭터 설정(주연과 조연 등 다수)- 시놉시스(사건 진행)-트리트먼트-시나리오(콘티) 순서로 진행할 수 있다. 원하는 키워드를 자연어로 입력하면 된다.
마지막에는 (같은 회사의 다른 제품인) 아니마디퓨전과의 결합으로 캐릭터 설정을 '그림(선화)' 형태로 변환, 최종 캐릭터시트를 제공해 준다. 사용자는 해당 캐릭터 디자인을 자신만의 그림체로 재창작해 다시 아니마디퓨전에 이용하는 등 여러 방향으로 창작 (......) 2024.8. 현재는 '로맨스' 장르에 국한 (......)

출처 : AI타임스(https://www.aitimes.com)

 

 

오노마AI, 일러스트레이션 AI 모델 '일러스트리우스' 오픈 소스 공개 - AI타임스  2024.10.8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4036

 

오노마AI, 일러스트레이션 AI 모델 '일러스트리우스' 오픈 소스 공개 - AI타임스

인공지능(AI) 전문 오노마에이아이(대표 송민)는 일러스트레이션 전용 모델 \'일러스트리우스 0.1\' 버전을 허깅페이스에 공개했다고 8일 밝혔다.공개 직후 일러스트리우스는(7일 기준) 허깅페이

www.aitimes.com

ㅡ "인공지능(AI) 전문 오노마에이아이(대표 송민)는 일러스트레이션 전용 모델 '일러스트리우스 0.1' 버전을 허깅페이스에 공개. 공개 직후 일러스트리우스는(7일 기준) 허깅페이스 트렌딩 모델 102만9925개 중에서 7위를 기록했다. civitAI 플랫폼에서는 2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오노마에이아이는 관련 기술 내용을 arxiv에 공개, 연구와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열어뒀다."

ㅡ "일러스트리우스는 이미지 생성에 대한 지식을 학습한 오픈 소스 일러스트레이션 모델이다. 미세조정 및 개인화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는 강점을 갖고 있다."

 

출처 : AI타임스(https://www.aitimes.com)

 

 

웹툰도 AI가 쉽게 만드는데...작가들이 신중한 이유
"AI 작업물 저작권 문제 불명확 하고 독자 선입견 걱정 돼"

https://zdnet.co.kr/view/?no=20250106145312

 

웹툰도 AI가 쉽게 만드는데...작가들이 신중한 이유

웹툰 산업에도 AI 도입이 확산되고 있지만, 웹툰 작가들은 AI 활용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AI 작업물의 저작권 규정이 명확하지 않고, AI를 활용한 콘텐츠에 대한 독자들의 반응이 부정적이

zdnet.co.kr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표한 '2024 웹툰산업 실태조사'

  "AI의 도입으로 인한 윤리적, 저작권 등 법적 문제에 대한 부담"

익명을 요구한 한 웹툰 작가는 "웹툰은 작가 그림체가 곧 개성인데, 그림 제작에 AI를 사용했다가 나중에 내 그림이 다른 작업물에 무단 사용될 것 같아 두렵다"며 "또, 작업에 AI를 사용하다가 나도 모르게 다른 작가의 그림체를 무단으로 사용하게 될까 봐 겁난다"고 말했다.

 

(AI 어시스턴트의 소속은 퍼블리셔니까... 밑에서 구르던 어시가 독립하듯이?)

 

 "출처가 불명확한 AI 제작 콘텐츠를 수용하는 것에 대해 작가, 독자의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고 사회적·법적 합의도 덜 이뤄진 상태"

 

아마존·애플 진출…새 도전 직면한 K-웹툰 | 네이버는 나스닥 行, 카카오는 日시장 집중 - 매일경제 2024.6.25

https://www.mk.co.kr/news/business/11050919

 

아마존·애플 진출…새 도전 직면한 K-웹툰 | 네이버는 나스닥 行, 카카오는 日시장 집중 - 매일경

네이버와 카카오가 시장을 열고 주도하고 있는 웹툰은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디바이스를 통해 세로 스크롤 방식으로 보는 온라인 만화를 의미한다. 한국이 종주국인 웹툰 시장에 아마존에 이

www.mk.co.kr

거의 1년 전 것이기는 하지만 꽤 긴 리뷰기사입니다.

 

 

 

2024 웹툰산업 실태조사 2025-01-13 한국콘텐츠진흥원

전문은 아래 링크에서 볼 수 있습니다.

웹툰 만화가가 되고 싶은 지망생이 보면 좋을 내용이 많은 것 같네요.

웹툰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업계 실태는 어떻고, 작가들은 어떻게 성장하고, 계약은 어떻게 하고 매출정산은 어떻게 하고, 불공정행위는 어떤 게 있고, 저작권침해와 악성 댓글 대응은 어떻고 등등. 이것도 내용이 길어 다음 글에 일부만 인용해봅니다. 전체가 515쪽짜리 PDF파일입니다.

 

https://welcon.kocca.kr/ko/info/trend/1954626

 

2024 웹툰산업 실태조사

2024 웹툰산업 실태조사 목차 1. 웹툰 사업체 실태조사 1.1. 조사 개요 1.2. 사업체 조사 결과 1.3. 웹툰산업 규모 추정 1.4. 결론 2. 웹툰 불법유통 실태조사 2.1. 조사

welcon.kocca.kr

 

내용 중 AI쪽 이야기를 발췌해봅니다.

아래 내용은 요약문것이고, 본문에 긴 내용이 나옵니다. 앞서의 기사들에 언급된 내용도 본문에 나옵니다.

 

라. 그림 제작 인공지능(AI)의 활용

 웹툰 사업체들의 그림 제작 인공지능(AI) 활용 경험을 조사한 결과, '경험 있음'이 27.0%로
나타났으며, 자주 활용하는 단계로는 1+2순위 기준, ‘사전 기획 및 스토리 구상 단계’가
67.4%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

 활용 경험이 없는 업체(n=116)를 대상으로 향후 활용 의향을 살펴보면, '향후 활용 의향 있
음'이 63.8%로 높게 나타남

 활용 의향이 있는 업체(n=74)를 대상으로 현재 도입 및 활용 수준을 조사한 결과, ‘도입을
고려 중인 단계’인 업체가 56.8%로 과반수 이상으로 나타남

 웹툰 사업체들의 AI 관련 교육 및 컨설팅 참여 의향을 살펴보면, '의향 있음'이 70.4%로 응
답 업체 10개 중 7개 이상이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년 대비 31.0%p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vvi

 

 

다. 그림 제작 인공지능(AI) 활용

 그림 제작 인공지능(AI)의 활용에 대해 조사한 결과, ‘활용 경험 있음’이 18.3%로 나타났으
며, 자주 활용하는 단계는 1+2순위 기준, ‘사전 기획 및 스토리 구상 단계’가 50.0%로 가장
높게 나타남

 AI를 활용한 경험이 없는 작가를 대상으로 향후 활용 의향을 살펴보면, ‘활용 의향 있음’이
36.1%로 나타남. AI를 활용할 의향이 있다는 작가의 현재 도입 및 활용 수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웹툰 제작에 인공지능 도입을 고려 중인 단계’가 57.6%로 가장 높게 나타남

 정부 지원을 통한 AI 관련 교육 및 컨설팅에 대한 ‘참여 의향 있음’이 46.5%로 나타났으며,
전년 대비 8.7%p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xv

 

나머지

https://pcgeeks.tistory.com/462049

 

 

  1. 채색해주는 어시스턴트가 없어질 수도 있고. [본문으로]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