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2025.7.7. 실시간 전력수급 그래프 (한국전력거래소), 2012년부터의 발전설비 구성 그래프 본문


저전력, 전기요금/전기요금, 발전소

2025.7.7. 실시간 전력수급 그래프 (한국전력거래소), 2012년부터의 발전설비 구성 그래프


반응형

2025.7.7. 18:00 현재

출처는 한국전력거래소 전력통계정보시스템(EPSIS)입니다.

 

 

실시간 전력수급

쭉쭉 올라가는중. 거의 정점일 지도?

 

2025.7.7. 18:00 현재

공급능력 103GW, 현재부하 92.6GW, 공급예비력 10.5GW

 

 

https://epsis.kpx.or.kr/epsisnew/selectEkgeEpsMepRealChart.do?menuId=030300

 

전력통계정보시스템 (EPSIS)

 

epsis.kpx.or.kr

 

 

최대전력수급

 

 

1993년 이래 월별 평균 최대 전력전력

 

 

연료원별, 발전형식별, 회원사별 발전설비

MW로 표시된 설비용량이지 발전량이 아님

2012년부터의 통계

 

 

 

 

* 신재생에너지는 태양광과 풍력이 구별돼있지 않습니다.

 

 

신재생의 설비용량은 이미 원전의 1.5배에 이르지만

신재생의 대부분을 태양광이라고 가정하면

해를 봐야 가동하고 흐려기만 해도 가동률이 떨어지는 특성상[각주:1]

원전의 85%와는 비교도 안 되는 15%정도를 가정하면, 

1.5 x 15/85 = ~1/4

설비용량은 1.5배지만 생산한 전력량은 약 1/4배 정도라고 짐작가능합니다.

 

 

  1. 자외선은 흐려도 얄짤없이 피부를 태운다던데, 태양전지가 발전에 쓰는 파장은 안 그런가봅니다. [본문으로]
반응형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more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