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공공기관
도구
- 스마트폰,태블릿 화면크기비교
- 양쪽 윈도우키를 한영한자키로(AutoHotKey)
- 매크로: Robotask Lite
- 파일이름변경: ReNamer Lite
- 파일압축: 반디집
- 공공서식 한글(HWP편집가능, 개인비영리)
- 오피스: 리브레오피스(LibreOffice)
- 텍스트뷰어: 이지뷰어
- PDF: FoxIt리더, ezPDF에디터
- 수학풀이: 울프램 알파 ( WolframAlpha )
- 수치해석: 셈툴, MathFreeOn
- 계산기: Microsoft Mathematics 4.0
- 동영상: 팟플레이어
- 영상음악파일변환: 샤나인코더
- 이미지: 포토웍스
- 이미지: FastStone Photo Resizer
- 화면갈무리: 픽픽
- 이미지 편집: Paint.NET, Krita
- 이미지 뷰어: 꿀뷰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검색
- KS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해외시장뉴스
- 엔팩스(인터넷팩스발송)
- 구글 드라이브(문서도구)
- MS 원드라이브(SkyDrive)
- 네이버 N드라이브
- Box.com (舊 Box.net)
- Dropbox
- 구글 달력
- 모니터/모바일 픽셀 피치 계산
- Intel CPU, 칩셋 정보
- MS윈도우 기본 단축키
- 램디스크
- 초고해상도 관련
- 게임중독
- 표준시각
- 전기요금표/ 한전 사이버지점
- HWP/한컴오피스 뷰어
- 인터넷 속도측정(한국정보화진흥원)
- IT 용어사전
- 우편번호찾기
- 도로명주소 안내, 변환
- TED 강연(네이버, 한글)
- 플라톤아카데미TV
- 세바시
- 명견만리플러스
- 동아사이언스(과학동아)
- 과학동아 라이브러리
- 사이언스타임즈
- 과학잡지 표지 설명기사
- 칸아카데미
- KOCW (한국 오픈 코스웨어) 공개강의
- 네이버 SW 자료실
- 네이버 SW자료실, 기업용 Free
- 계산기
공공데이터베이스
목록
PC Geek'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gEiKf/btsLTqdBTxt/NLBrnJ4ZQHhvUTyZ4Vk5qk/tfile.jpg)
어.. 기사의 제목 자체는 감성을 건드리려고 지은 것 같은데,잘 생각해보면 이거 "겨우 40만명?"이란 생각이 스쳐서 좀 착잡했습니다.요 몇 년 세계 각지에서 분쟁, 전쟁으로 죽어가는 사람들이 지구단위가 아니라 지역단위로 만 단위, 십만 단위로 카운트되고 있는 게 생각나서요.. 이대로 가다간 40만명 사망… '지구 파산' 시나리오 나왔다 - 아시아경제 2025.1.17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77/0005534654영국 보험계리사협회(IFoA)는 2025.1월 보고서에서 탄소를 줄일 긴급한 조치가 없다면 (......) 2050년까지 지구 기온이 3도 이상 상승한다면 온난화로 인한 질병, 영양실조, 식수 부족, 분쟁 등으로 40만명이 사망하고, 전 세계적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uBDF/btsLcrYimSc/gmc3S1hwlIzqyUlekOHFsK/img.jpg)
꽤 전에 나온, 이러이러한 걸 해보세요하는 내용들.가정, 학교단위에서는편하려고만 하지 말고 몸을 더 움직이고에너지쓰는 기계들 방치하지 말고 효율관리해주고자원을 절약하고 살라는오래된 이야기의 21세기 버전입니다.http://gihoo.or.kr/netzero 탄소중립 정책포털탄소중립 정책포털www.gihoo.or.k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8uA3X/btsIUt5mEnp/bEDRZok00JFCkvTnH72Cak/img.jpg)
지구온난화문제를 해결할 방안으로 제시된 지구공학 또는 기후공학 방법들 기후변화와 기후 지구공학 (KISTEP 기술예측센터 정의진 임현) 2024- 이산화탄소 제거 기술, 태양복사 조정 기술 -PDF문서를 온라인에서 볼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 그림을 좀 가져왔습니다. https://www.kistep.re.kr/board.es?mid=a10306010000&bid=0031&act=view&list_no=43766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vEh9d/btssgJcl8bb/8MAFipk8Wz0L9AR3EQnj0k/img.jpg)
비슷한 이야기는 전에도 꽤 있었는데요, 요컨대 성분이 균일한 원자재로서 쉽게 공급받을 수 있으면서 강성을 올릴 수 있는 혼합첨가물이면 된다는 건데.. (여기에 건축물을 사용 중일 때나, 철거할 때 유해물질이 나오지 않아야 하는 조건도 +)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61314 커피 찌꺼기로 콘크리트 강도 30% 강화했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로스팅되지 않은 원두, 로스팅된 원두, 사용 후 남겨진 커피 찌꺼기, 커피 찌꺼기로 만든 숯의 샘플. 호주 로열멜버른공대 제공커피 찌꺼기로 더 강한 콘크리트 www.dongascience.com ㅡ 커피찌꺼기는 탄소를 함유한 폐기물 중 하나. ㅡ 적당히 건류해 탄소부분만 남겨 시멘트에 혼합하는 부재료로 썼다니 쓸 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NNRW8/btsq1aiB0um/vxJnCwJJ6tgT9hV5kDudwK/img.jpg)
기상청 자료. 작년 CO2 농도 425.0ppm (지구평균은 1980년 340근처에서 작년 417정도) 아래 그림의 출처는 기상청, 동아사이언스. 기상청은 유엔 산하 세계기상기구 지구대기감시프로그램의 대표기관으로 1987년부터 한반도 이산화탄소 등 기후변화 원인 물질을 안면도, 고산, 포항, 울릉도·독도 총 4개 지점에서 관측하고 있다. 온실기체 관측은 주로 직접적인 오염원 영향을 덜 받는 도서지역에서 진행되며 관측 결과는 2001년부터 매년 지구대기감시보고서를 통해 발표된다. - 동아사이언스http://m.dongascience.com/news.php?idx=60481 지난해 한반도 이산화탄소 농도, 역대 최대치 경신게티이미지뱅크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한반도 이산화탄소 농도가 ..
이산화탄소를 자원 관점에서 보기. 읽기 전에 생각해도, 자원은 자원입니다. 땅속에서 탄소를 캐내지 않겠다면 유일하게 남은 탄소원이 그거니까요. 먹고 입고 쓰는 모든 탄소의 원천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밖에 안 남습니다! 원문 링크:https://www.posri.re.kr/ko/board/content/15710탄소자원화란? CO2를 포집하여 화학, 생물학적 변환 과정을 거쳐 ①화학제품의 원료, ②광물탄산화, ③바이오 연료 등으로 전환하는 기술향후 탄소규제의 강화/확대(탄소배출권 가격 상승 등) 등을 통해 현재 경제성이 확보되지 않는 관련 기술들도 상용화될 유인이 존재그 뒤는 포스코경영연구소가 포스코 부속인 만큼 철강산업과 연관한 내용이 얼마간 들어있습니다. 철강생산과정에 부생가스로 나오는 이산화탄소로 화학..
물론, 숲을 보존하면서 인류가 조금 더 양보하자는 기조를 바꿀 정도는 아닙니다만, 되도록 정확한 장기 기상(지구온난화라든가)예측을 하기 위해선 이런 변수를 가능한 한 모두 모아야겠죠.(행성규모의 테라포밍이 필요한 시점이 되면 모를까요)(前略) 숲이 온난화를 부추길 수도 있다는 것이다.(......) 과거에는 태양 빛이 그대로 우주로 반사됐는데, 나무가 자라면서 태양에너지를 흡수해 결과적으로 지구의 기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는 주장이다. 또, 식물이 광합성을 하면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을 방출하는데, 이것이 온난화를 부추길 수 있다는 것이다. 나무가 방출하는 VOC의 하나인 아이소프렌(isoprene)은 대기 중의 질소산화물과 반응해 오존이 된다. 오존은 대기오염 물질이면서,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물..
이런 걸 보고 뭐라고 해야 할 지 모르겠어요. ㅎㅎ 소위 동물복지라는 가축을 방목사육하는 방식은 포기하고, 실내에서 사육하며 메탄가스를 공기순환장치로 포집해야 할까요.그냥 임파서블버거같은 걸 먹으면서 육고기안먹는 채식으로 바꿔야 할까요. [과학을읽다]공룡, 방귀·트림 때문에 멸종?아시아경제 2019.1.27공룡의 방귀와 트림 때문이라는 학설은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최신호에 발표된 내용을 사이언스데일리와 BBC 뉴스가 지난 7일 보도하면서 알려졌습니다. 약 1억5000만년 전에 일어난 지구 온난화 현상은 거대한 초식공룡들이 배출한 엄청난 양의 방귀와 트림이 주원인일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 일단 기사는, 주류 학술잡지에서 언급됐다는 점에서 읽어볼 만합니다. 기자는 기사의 나머지 반을 할애해, 그래도 ..
Viewed Posts
|
Recent Comments
|
Recent Pos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