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공공기관
도구
- 스마트폰,태블릿 화면크기비교
- 양쪽 윈도우키를 한영한자키로(AutoHotKey)
- 매크로: Robotask Lite
- 파일이름변경: ReNamer Lite
- 파일압축: 반디집
- 공공서식 한글(HWP편집가능, 개인비영리)
- 오피스: 리브레오피스(LibreOffice)
- 텍스트뷰어: 이지뷰어
- PDF: FoxIt리더, ezPDF에디터
- 수학풀이: 울프램 알파 ( WolframAlpha )
- 수치해석: 셈툴, MathFreeOn
- 계산기: Microsoft Mathematics 4.0
- 동영상: 팟플레이어
- 영상음악파일변환: 샤나인코더
- 이미지: 포토웍스
- 이미지: FastStone Photo Resizer
- 화면갈무리: 픽픽
- 이미지 편집: Paint.NET, Krita
- 이미지 뷰어: 꿀뷰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검색
- KS국가표준인증종합정보센터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해외시장뉴스
- 엔팩스(인터넷팩스발송)
- 구글 드라이브(문서도구)
- MS 원드라이브(SkyDrive)
- 네이버 N드라이브
- Box.com (舊 Box.net)
- Dropbox
- 구글 달력
- 모니터/모바일 픽셀 피치 계산
- Intel CPU, 칩셋 정보
- MS윈도우 기본 단축키
- 램디스크
- 초고해상도 관련
- 게임중독
- 표준시각
- 전기요금표/ 한전 사이버지점
- HWP/한컴오피스 뷰어
- 인터넷 속도측정(한국정보화진흥원)
- IT 용어사전
- 우편번호찾기
- 도로명주소 안내, 변환
- TED 강연(네이버, 한글)
- 플라톤아카데미TV
- 세바시
- 명견만리플러스
- 동아사이언스(과학동아)
- 과학동아 라이브러리
- 사이언스타임즈
- 과학잡지 표지 설명기사
- 칸아카데미
- KOCW (한국 오픈 코스웨어) 공개강의
- 네이버 SW 자료실
- 네이버 SW자료실, 기업용 Free
- 계산기
공공데이터베이스
목록
PC Geek'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EBr0h/btsHHTr7JHc/VwQbi5xaxcyguM3LK9MHk0/img.jpg)
시내버스 교체주기가 대략 10년 남짓이라는 글을 어디서 본 것 같은데, 그래서인지 요즘은 규정이 았어서 바꿀 때마다 저상으로 바꾸는지 모르겠지만, 어쨌든 좋아진 점.저상버스가 아니면 다리나 무릎이 불편한 사람은 버스를 엄두도 못 내거나 무척 힘들어하고, 바퀴달린 장바구니나 캐리어를 사용하는 사람도 짐이 들어있으면 청년이라도 무척 불편합니다.시내 유동인구가 많는 정거장에서는 이런 장면도 볼 수 있습니다. 아직은 모두 전기저상버스는 아니지만요. :)그리고 CNG든 전기든 저상버스 디자인은 인간공학적으로 아직 갈 길이 멉니다.그리고 버스의 승차감은 능숙한 운전이나 버스 사양못지 않게 도로개량과 노면상태 관리, 신호체계도 중요한 요소겠지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mvcj/btrPs4sraYC/kRQp3jW995Z4Y8JuSvoWv1/img.jpg)
정부 보도자료에 든 사진을 보니, 이전에 블로그에 적은 현대 일렉시티 2층버스같네요. 1층은 저상이기 때문에 휠체어와 유모차를 댈 수 있게 한쪽은 접이식좌석을 넣었다는데, 나머지 1층 좌석도 아마 교통약자우선이 아닐까요. 그리고 계단을 타고 올라가는 2층도 모두 좌석으로 채운 "좌석버스"입니다. 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87331 11월 14일부터 B1 노선(대전~세종~오송)에 2층 전기버스 도입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위원장 이성해, 이하 대광위)는 2층 전기버스 2대가 대전역에서 세종시를 거쳐 오송역까지 운행하는 B1 노선(구 1001번)에서 11 www.molit.go.kr 운행노선(구 10..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vA7G/btrw65icLx8/IrzK3Iz71P2kp4O3xitfRk/img.jpg)
시내버스 하차시간 여유 요즘 시내버스들이 좋아진 점 하나가, 버스 정차 -> 승객이 좌석에서 일어남 -> 하차 -> 발차 이렇게 된 것이다. 버스전용차로제도는 예전부터 했으니까 아마, 버스댓수를 더 많이 투입해서 개별 차량의 운행시간에 여유를 준 모양이다. 그 많은 시내버스에 마춰 신호체계를 바꿨다(= 일종의 BRT)를 만들었다는 이야기는 나는 과문해서 듣지 못했으니까. 그렇다면, 이층버스는 어떨까? ㄴㅁ위키를 보면 이층버스를 국내도입할 때 최대 약점은 이층에서 승하차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에 굴절버스와 함께 이층버스를 도입하기 시작할 때는 난폭운전도 흔했다. 하지만 요즘은 그런 사례를 줄이는 쪽으로 교통법규와 버스운행체계가 바뀌고 있는 것 같다. 그리고 글머리에 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nhZh3/btrtxmu40Iy/sdk1FxVQfvO0uYXE47aNL0/img.jpg)
시내버스이야기. 요즘 두 종류를 타봤는데, 하나는 하차문 1개 다른 하나는 하차문 2개. 1. 하차문 1개짜리는 요즘 모델은 승차문에서 하차문까지가 휠체어되는 저상. 그 다음부터 1계단 올라가있고 제일 뒷좌석은 거기서 다시 1계단 더해서 모두 2계단 올라가있다. 1계단밑에는 배터리를 넣는지, 2계단밑에는 모터를 넣는지는 알 수 없지만, 전기차가 돼서도 이 높이는 안 없애네.. 하지만 하차문 뒤 1계단 올라가는 부분은 신형버스같아보이는 차는 뒷바퀴하우징의 뒷부분에서 1계단 올라간다. 구형은 하차문 바로 뒤에서 1계단 올라가는데. 좌석배치가 좋은 점은, 바퀴 위에 좌석을 올렸고 그 뒷좌석도 적당한 높이를 만들어줬으면서 앞뒤 시트와 높이차가 비슷하다는 것. 예전처럼 억지로 배치한 느낌은 아니고, 다른 차처럼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EPNX/btrliNVkn5m/RqLic0F7XRUfjsx4TUdKjk/img.jpg)
뒷바퀴언저리부터 좌석이 계단식으로 높아지는 건 요즘 버전도 여전한 것 같더군요. 디젤엔진버스보다는 덜해보이기는 하지만, 공장편한 대로 만드는 것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좀 더 궁리를 해보지.. (혹시 개선판이 나와 있나요? 그런 거 중국에서 먼저 나와서 수입되기 전에 말입니다) 아래는 일전에 찍은 사진입니다. 전기저상버스 디젤저상버스 ※ 우리나라에서 운행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어떤 버스는 하차문이 차 맨 뒤에도 있던데, 그런 차도 뒷좌석쪽이 높나요? 아니면 그런 차는 트럭처럼 엔진이나 모터가 운전석쪽에 있나요? (하차문이 차 맨 뒤에 붙은 버스를 도입하자는 말은 아닙니다. 그런 차의 구조가 궁금했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zY2lS/btq59OfyPaX/ImKedkSV1UmV6cjAJkXzdk/img.jpg)
아래 그림이 트램을 광고하는 그래픽인데, 역으로 전기버스가 더 나은 이유가 되기도 합니다. 대전광역시는 트램(TRAM)을 배터리방식에 완전지상형으로 한다고 광고했지만, 제대로 알지도 못하고 거짓말한 허풍으로 드러났죠. 현재 일부구간은 경사를 오르지 못해서 지하 땅굴을 파기로 결정했고, 일부 구간은 배터리로 버티지를 못해 유선을 가설하기로 결정났습니다. 그리고 그 트램의 개통예정연도는 2027년으로 미뤄졌고요. 그런 트램을 하느니, 2027년에는 상용화될 자율운전 전기버스를 하자고요. 아니면 2025년 이전에 상용화될 군집운전기술을 전기버스에 적용해 트램과 같은 량수를 투입하거나요. 트램도 개통시점에는 맨 앞차에 운전사가 탈 테니 군집운전전기버스와 다를 게 없어요. 전기버스도 많이 발전했습니다. 옛날의 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v9Mp/btqGC6yyYiX/f60E6yw30rozlwXuoJRyFK/img.jpg)
좀 심각하게 받아들일 내용일까요? 저는 안전과 다른 부분을 고려한 것인지가 먼저 궁금했습니다. 일단 안전을 도외시하고 가볍게 만들면 전비(연비에 대응해 만든 말인 듯)는 좋아지니까요. 그간 수입된 중국산 상용차의 품질을 생각하면, "대륙의 노하우"라고만 읽기는 좀 조심스럽지 않을까요. 한편 어쩌면 정말로 그런 차이가 나버렸을 지도 모르니까 좋은 후속기사가 나오기를 바랍니다. http://naver.me/FMxOIX68국내 전기버스 전비 톱10 중 7대는 '중국산'정부 보조금을 받고 국내 판매 중인 대형 전기버스 19종을 분석한 결과 중국산 차량의 전비(전기차 연비)가 국산차보다 대체로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비가 전기차의 모든 경쟁력을 보여 주�n.news.naver.com
이달 시점 목록입니다. 갈무리해둡니다. 차종 목록이 올해 갱신된 내용인지 여부는 모르겠습니다.전기승용차, 초소형전기차, 전기화물차, 전기승합차, 전기이륜차. 지방자치단체별 구매보조금 지급현황 확인 페이지https://www.ev.or.kr/portal/localInfo?pMENUMST_ID=21637 보조금 지급대상 차종 출처는 환경부 전기차 충전소 웹사이트( https://www.ev.or.kr/ )입니다. 전기승용차의 보조금은 800~900만원 내외. 초소형전기차의 보조금은 420만원입니다. 전기승용차와 초소형전기차에 붙는 보조금은 국비와 지방비가 있는데, 전기자동차는 지방비도 받기 때문에 초소형전기차는 값은 비싸지만 구입가격은 전기이륜카 카메고리보다 약간 비싼 정도가 되기도 합니다. 전기화물차는 경..
몇 년 전, 지금 여당(의 지역당)과 몇몇 시민단체들이 대전과 광주 새 도시철도를 트램(도로에 레일까는 노면전차)으로 만들자고 추진했고, 당선도 됐다.문제는 그 다음인데, 몇 년 논의 끝에,광주광역시는 저심도 경전철로 바꿨고,대전광역시는 트램으로 그대로 박치기. 광주사람들은 현명했다. 그리고, 대전은 뭐 언제나 그랬듯.. 꼴아박은 느낌.좀 허전하고 아스트랄한.. 뭐랄까, 친구와 전철 다른 칸에 탔다가 친구는 수원에서 하차했는데 잠못깬 나혼자 천안까지 떠내려가면 이런 느낌일까.지난 지방선거때는 그거라도 빨랑 짓자고.. 으억.. You Win! 대전은 나름 과학도시라고, 엑스포 개최도시라고 해서옛날(약 25년 전인 1993년!)에 여기서 자기부상열차를 시승해본 시민들도 있고 버스정거장 시내버스도착안내시스템도..
Viewed Posts
|
Recent Comments
|
Recent Post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