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구글과 페이스북, 동남아와 북미를 직결하는 해저통신케이블 건설 계획/:/Tier 1 ISP 와 망중립성, 망접속료 본문

모바일, 통신/정책, 통신사, 방송사

구글과 페이스북, 동남아와 북미를 직결하는 해저통신케이블 건설 계획/:/Tier 1 ISP 와 망중립성, 망접속료

해저케이블은 기간통신사의 전유물일 것 같았는데 미국회사들은 저런 걸 잘 하네요. 저런 걸 지으면 저 회사들은 어떤 이득을 보나요? 콘텐츠 전송이 빨라질테니 이용자는 더 고화질 동영상을 보고 더 빠르게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테고 북미 본사에서 원격으로 자율주행이나 여러 가지를 제어하기 더 좋겠지만, 그 외 혹시 저거 지어서 지분을 가지고 있으면 유튜브나 페이스북 서비스 트래픽을 정산할 때 유리해지나요?

 

구글·페북, 美-동남아 잇는 해저케이블 건설
미국 서해안과 인도·싱가포르 연결…데이터 처리량 70% 늘듯

ZDNET 2021.3.30

종착지인 인도네시아의 텔린과 엑셀, 싱가폴의 케펠과 공동 사업. 2023~2024년 완공 계획.

 

 

옛날 기사를 좀 찾아봤습니다.

 

해저케이블사업 둘러싼 글로벌 패권경쟁…왜?
국내 투자자, 美 직접연결하는 국제 회선 인수 추진

SBS 2020.2.10

ㅡ "최근 몇년은 구글과 페이스북의 적극적인 투자 (......) 2011~2015년 완성된 케이블 중 이들 양사가 투자한 케이블의 총 연장은 9천㎞ 였으나 2016~2020년 완성분은 15만5천㎞로 증가 (......) 같은 시기에 부설될 세계 케이블의 3분의 1 수준"

ㅡ 세계 해저케이블 시장 지분은 서브콤, 알카텔 서브머린 네트워크, NEC 가 탑 3 (......) 2012년 설립된 중국 화웨이마린네트워크가 공격적으로 점유율을 끌어올려 업계 4위, 2019년 미국의 견제와 미중무역전쟁 리스크에 대비한 것 같은 화위에가 살짝 위축된 분위기지만 화웨이난 아너 브랜드 스마트폰을 중국회사에게 팔았듯이 이것도 다른 중국회사로 손바꿈할 예정.

 

구글과 페이스북은 왜 해저케이블 기착지에서 홍콩을 배제했을까?
김연규(한양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2020.09.18 www.yeosijae.org/research/1022

(여기는 통신 95%가 해저케이블이라지만 요즘은 99%라고.. 대용량트래픽이 더 늘어서)

 

 

해저케이블은 국가적 관점에서는 중요안보시설이면서, 소유/운영하는 회사를 자기 나라에 해로운 일(길목에서 데이터 해킹)을 하지 않을 것을 믿을 수 있어야 하는 이야기가 되니 저런 부분이 이해가 되는데, 구글과 페이스북같이 콘텐츠에서 시작한 회사들이나, 저 탑3에 해당하는 회사들은 뭔가 그것말고 사업모델이 있을텐데요.. 잘 안 보이네요.

 

망사용료와 '디지털 新쇄국' - 팍스넷뉴스 2020.9.14

전 세계에 설치된 400여개의 해저케이블 발주자는 대부분 통신사다. 이들은 국제망 1계위 인터넷서비스 제공사업자(Tier 1 Internet Service Provider, 이하 국제 1계위 ISP) 지위를 가지고 있다. 국제 1계위 ISP끼리는 상호무정산 원칙에 따라 비용을 내지 않고 국제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하위 ISP에게 통신망을 제공하고 사용료를 받는다.

미국은 AT&T와 버라이즌(Verizon)을 비롯한 10곳의 국제 1계위 ISP를 보유

일본과 홍콩, 인도, 네덜란드, 독일, 프랑스, 이태리 등 국가들이 국제 1계위 ISP를 보유

중국의 ISP들도 무서운 확장세를 보여 미국의 전방위 견제가 이뤄지는 상황.

'인터넷 강국'인 대한민국에는 국제 1계위 ISP가 한 곳도 없다(......)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연간 20억달러( 약 2조3754억원)가 해저케이블 준설 프로젝트에 투자. 반면 당ㅅ KT,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 등 국내 ISP들은 연평균 4조8000억원을 마케팅에 소비.
국내 ISP들은 해외에서 발생하는 모든 데이터 비용을 국제 1계위 ISP에 고스란이 부담(......) 데이터 사용량이 급증하자 국내 정부와 ISP는 망 품질 유지와 증설 의무를 콘텐츠제공사업자(CP)에 전가시키는 것으로 해결을 볼 심산이다. 대표적인 예가 SK브로드밴드와 넷플릭스의 망사용료 논란이다.
 - 팍스넷 기사, 2020.9

이런 기사가 있네요. 좀 더 알아봐야겠습니다. 기사 내용이 다 맞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ㄴㅁ위키

 

 

 

 

en.wikipedia.org/wiki/Tier_1_network

위키백과표에서 티어1 네트워크 보유사의 본사가 있는 나라들은 미국, 독일, 영국, 프랑스, 홍콩, 인도, 이탈리아, 스웨덴, 스페인, 그리고 중국.

우리나라의 통신3사는 "regional Tier 1 network"인가요? 이 회사들은 글로벌 티어1네트워크 사업자와 달리 국가경계를 드나드는 트래픽을 무료 정산하지 않는다고 하네요. 그래서 진짜 1계위 사업자가 아니라고. 그래서 팍스넷기사에 저렇게 적었나.. 2020년에 씌어진 다른 글을 보면, 저 상호 무정산이 아니므로 국내 통신사 중 KT가 티어2, 심지어 그 아래 티어3가 LGU+ 라고. (국내만 가지고도 티어구별을 하는데 국내 티어1이 통신3사)

 

 

그 외, 

 

망중립성이야기와 엮은 글 링크들. 링크한 문서의 내용에 찬성해서 적는 글은 아닙니다. 찬반을 말할 정도로 잘 이해하지도 않았고. 훑어보니 그럴 듯해보인 것들입니다.

 

왜 인터넷은 근본부터 글러먹었는가: 코로나19와 한국 인터넷의 해외접속 장애, 그리고 넷플릭스 전쟁에 관한 이야기
Daniel Hong May 24, 2020· unifiedh.medium.com/

 

한국의 망중립성은 죽었다 - 망사업자만을 위한 상호접속고시 비판

필자: 오픈넷/ 슬로우뉴스 2018-05-03

 

망중립성 관점에서 ‘망 이용료’ 논쟁 이해하기

필자: 박경신/ 슬로우뉴스 2020-5-7

 

인터넷전용회선 및 IDC 요금에 대한 사후규제 방안 연구 - 미디어미래연구소 2018 / 방통위 제출과제

해외 인터넷망상호접속을 논할 때 반드시 등장하는 용어 중 하나가 Tier-1이다. 우리나라의 상호접속기준에서도 ISP의 커버리지, 규모, 가입자 수 등의 평가기준에 따라 계위를 두고 있는데 계위라는 용어는 Tier라는 표현을 준용한 것이다.

소위 Tier-1은 인터넷접속시장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것으로 자사의 가입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타 ISP에게 Transit 서비스를 비롯하여 일정한 대가를 지불하고 접속할 필요가 없으며, 자사의 필요에 따라 Peering 접속만으로 Full
Connectivity 서비스가 가능한 ISP 집단을 말한다.

특정 ISP가 Tier-1인지 여부를 누군가가 결정해주는 것이 아니라 IP 상호접속시장에서 접속 당사자인 ISP 상호간에 평가 결과 오로지 Peering 만으로 Full Connectivity를 확보할 수 있는 ISP가 Tier-1으로 분류된 것이다. 결국 해당 ISP가 접속을 위한 협상 시 Peering을 할 만한 충분한 조건을 갖추고 있는 사업자이어야 Tier-1에 포함될 수 있다는 의미다.

다만 조사한 시점에 따라 Tier-1에 속하는 ISP는 변할 수 있다. 왜냐하면 과거에 Tier-1이었던 ISP가 시간이 경과하면서 네트워크 투자가 줄거나, 가입자가 감소하는 등 접속 시 평가되는 망 자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해진다면, 신규 접속 시 Peering 접속이 안 될 것이고 이는 경우에 따라 Transit 서비스를 구매하게 될 텐데 이때는 Tier-1 사업자라고 할 수 없다. 즉 Tier-1 사업자인지 여부는 변동 가능하다. Winther (2006)는 Tier-1 ISP가 가지는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다.

출처: 인터넷전용회선 및 IDC 요금에 대한 사후규제 방안 연구
(A study on ex-post regulation approach of pricing for internet dedicated lines and Internet Data Center)
권오상 외 2018. 12
연구기관 : (사)미디어미래연구소
온-나라 정책연구 www.prism.go.kr/

 

일단 여기까지만 정리합니다.


+ 추가기사.
http://naver.me/xZDrzP8W

美·日·호주 "해저케이블 협력 강화 … 중국 견제"

미국·일본·호주가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견제하기 위해 해저케이블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해저 케이블은 정보 탈취 혹은 정보 차단에 악용될 우려가 있어 안보상 중요한 인프라로

n.news.naver.com

우리나라도 필요해요.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