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조선의 사전: 국립중앙도서관 온라인 컬렉션(전자책, 원문) 본문

아날로그/전자책,이북(ebook),도서정보

조선의 사전: 국립중앙도서관 온라인 컬렉션(전자책, 원문)

민간에서도 이런 종류 책을 간행했다는 이야기가 흥미롭네요. :) 다만, "책을 썼다"와 "활자나 목판을 써서 간행했다"는 또 다른 이야기라서 더 알아봐야 할 부분.

 

국가는 통치 및 백성 교화의 정치·사회적 필요가 발생할 때마다 대규모로 학자를 동원하여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방대한 분량의 백과사전을 편찬한 후 활자본 등으로 간행하여 보급했습니다. 민간에서도 과거시험 및 지식인의 지적 소양과 관련된 옛 문헌 속의 유명 문구를 일정한 원칙에 따라 정리한 백과사전인 유서(類書), 한자사전과 외교문서·공문서·편지글·시 등의 어휘사전 편찬과 간행이 유행하였습니다.

 

https://www.nl.go.kr/NL/contents/N20103000000.do?schM=contList&schOpt1=CA0000000001&schOpt2=CA0000000054&schOpt5=CA0000000001 

 

[조선시대 사전의 발달] 조선시대 사전의 발달
중앙집권국가이자 교화 중심의 유교 국가를 추구했던 조선은 국가의 통치와 모범적인 유교 질서의 확립을 위해 수많은 문헌을 만들어 냈는데, 민간에서도 관리가 되기 위해, 유교적 소양을 높이고 국가 및 인문·자연 현상의 다양한 문제에 대한 의견을 제...

 

[백과사전-유서(類書)] 경서유초(經書類抄)
유교 경전에서 중요한 문구를 발췌하여 주제별로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편찬한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유서(類書)] 고사촬요(攷事撮要)
중종 임금의 명을 받은 어숙권이 1554년에 중국·일본·만주와의 외교관계 관련 지식, 일상생활에 필요한 잡다한 서식과 약방 등을 수록하여 편찬 간행한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유서(類書)] 규합총서(閨閤叢書)
규합(閨閤) : 부녀자가 거처하는 방을 가리키는 용어로, ‘규합총서’는 부녀자들이 해야 할 가정살림과 일반교양에 대한 내용을 모두 정리해 놓은 책이다.

 

[백과사전-유서(類書)]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
영조의 명을 받아 홍봉한 등 당대 최고의 지식인이 동원되어 편찬한 100권 40책의 문물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유서(類書)] 동판수진일용방(銅版袖珍日用方)
1871년 구리판에 새겨 찍어낸 포켓용 생활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유서(類書)] 만가총옥(萬家叢玉)
「경서유초」처럼 유교적 사회 질서의 구성과 유지를 위해 필요한 경전의 문구를 발췌하여 찾을 수 있도록 편찬한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유서(類書)] 만가총옥(萬家叢玉)
「경서유초」처럼 유교적 사회 질서의 구성과 유지를 위해 필요한 경전의 문구를 발췌하여 찾을 수 있도록 편찬한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유서(類書)] 문자유집(文字類輯)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상식적인 글귀를 여러 책에서 발췌하여 주제별로 엮은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유서(類書)] 자산어보(玆山魚譜)
1801년 천주교인들을 박해했던 신유사옥에 연류되어 전라도의 흑산도로 유배 갔던 정약용의 형 정약전(1758~1816)이 그곳에서 관찰한 물고기의 종류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어류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유서(類書)] 재물보(才物譜)
1798년경 이만영이 주제벨로 편찬한 한자 단어 백과사전으로 편찬자의 생몰연대나 집안내력 어느 것도 밝혀진 바가 없다. 많은 양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고, 내용을 약간 다르게 베껴 쓴 여러 이본이 전해지고 있으며, 내용이 자세하여 생활문화 백과사전...

 

[단어사전] 물보(物譜)
이철환(1822~1779)이 우리나라의 사물에 대한 이름을 기록해 놓은 것을 그의 아들인 이재위(1745~1826)가 상편과 하편으로 나누어 편찬한 사물의 이름에 대한 주제별 단어 사전이다.

 

[어휘용례사전]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권문해(1534~1591)가 우리나라와 중국의 옛 문헌에 수록된 우리나라(大東) 관련 어휘를 한자의 중국어 운자(韻字)에 따라 찾을 수 있도록 편찬한 백과사전이다. 1589년에 필사본이 완성되었고, 1836년에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다. 수록 어휘의 양이 방대...

 

[어휘용례사전] 유원총보(類苑叢寶)
김육(1580~1658)이 「시경」 등 중국의 다양한 옛 문헌에 수록된 주요 문구를 하늘(天道 天時) 땅(地道) 등 주제별로 정리하여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편찬한 백과사전이다.

 

[한자사전] 규장전운(奎章全韻)
정조의 명을 받은 이덕무 등 규장각 여러 신하들이 편찬한 한자 사전이다. 한자를 첫째, 운자(韻字)에 따라 둘째, 중국어 소리의 높낮이와 장단(長短)에 따른 평성(平聲)상성(上聲)·거성(去聲)·입성(入聲)의 순서로 배열하였다. 조선의 모든 경험을 집대성...

 

[한자사전] 전운옥편(全韻玉篇)
우리나라 사람들이 얼마 전까지 일반적으로 사용한 한자 부수의 획순에 따라 찾아볼 수 있게 만든 한자사전이다.

 

[특수사전] 유서필지(儒胥必知)
관청과 민간에서 사용된 공문서의 다양한 형식을 수록한 특수 백과사전이다. 유서필지(儒胥必知)는 ‘양반 출신의 선비(儒)와 중인 출신의 하급관리(胥)가 꼭 알아야 할 정보’ 라는 뜻으로 수요가 많아 목판본으로 제작 보급되었다. 공문서는 우리말을 한자...

 

[특수사전] 한훤차록(寒暄箚錄)
봉투의 겉표지부터 안쪽의 내용까지 편지를 작성하는 순서와 다양한 사례 형식을 수록한 특수 백과사전이다.

 

[단어사전] 물명고(物名攷)
유희(1773-1837)가 편찬한 사물의 이름에 대한 주제별 단어 사전이다.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