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제철유적 조사연구 반세기 회고와 전망(국립문화재연구소) 본문

아날로그/도서,한국사 관련

제철유적 조사연구 반세기 회고와 전망(국립문화재연구소)

우리나라의 고대 제철유적이라.. 저는 이제는 '가야에서 철을 수출했다' 정도를 기억할 뿐이라, 흥미로운 주제네요.

 

첫 번째 강연의 머리말을 인용합니다.

• 한반도는 고대 제철의 적소(適所) : 목탄 풍부+적정량의 광석과 양질의 사철
(단 근현대 제철에는 한계)
• 최근까지 350개소 이상의 각 시대 제철유적 확인
• 원삼국시대 제련로 미확인 : 정련단야 이후 공정자료만 확인
• 4세기 이후의 제철유적 : 중원지역에 백제 및 마한 관련 제철유적 多
• 신라, 가야지역의 제철유적 조사사례 부족
• 6세기 신라의 밀양 및 양산 철장 대대적으로 개발
• 통일신라의 제철유적 감소
• 고려시대 충주 중심의 철생산 전략
• 조선시대 후기에 제철유적 급증(전반적인 수공업의 발전과 함께)
• 기본적으로 중국의 제철기술 도입되나 많은 부분에서 차이를 보임
• 따라서 중국과 다른 제철공정체계도 필요

 

2020년, 제철유적 조사연구 반세기를 맞이하고, 한국철문화연구회와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가 함께 공동 기획한 『제철유적 조사분석방법론』발간을 기념하고자 학술세미나를 공동으로 개최하였다. 자료집은 이남규 교수(전 한국고고학회장, 현 한국철문화연구회 회장)의 기조발표와 함께 ▲ 제철유적조사를 위한 사전작업(심재연, 한림대학교), ▲ 제철유적 발굴조사 방법의 체계적 적용(김권일, 신라문화유산연구원), ▲ 전통제철 시료의 분석방법과 체계적인 적용(신경환, 금속기술연구소), ▲ 제철유적 기타시료의 분석활용(한지선,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 제철유적 제련로 조사‧분석의 적용사례(정낙현․곽병문,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 학제간 융합적 제철기술 연구방법의 활용방안(최영민, 아주대학교 도구박물관) 등과 토론문이 수록되어 있다.


-목차-

1. 제철유적 조사의 현황과 제철공정의 이해
2. 제철유적조사를 위한 사전작업
3. 제철유적 발굴조사 방법의 체계적 적용
4. 전통제철 시료의 분석방법과 체계적인 적용
5. 제철유적 기타시료의 분석활용
6. 제철유적 제련로 조사·분석의 적용 사례 -충주 칠금동 유적을 중심으로-
7. 학제간 융합적 제철기술 연구 방법의 활용 방안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