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일본 근현대사 시리즈 (어문학사, 2010년대 국내 번역간행) 본문


아날로그/도서,한국사, 세계사 관련

일본 근현대사 시리즈 (어문학사, 2010년대 국내 번역간행)


반응형

모두 10권입니다. (교보문고 링크)

전자책, 종이책으로 나왔습니다만, 이가 빠진 권이 있어요.

저희 동네 도서관에는 이 시리즈가 없는데, 나중에 검색해보고 무척 아쉬웠습니다.

 

 

 

1 막말 유신

  • 머리말 ― 희망봉에서 에도 만으로-

    제1장 에도 만의 외교
    1. 흑선 내항
    2. 개국으로의 길
    3. 두 가지의 개국론

    제2장 존양(尊攘)·막부 토벌(討幕)의 시대
    1. 부상하는 고메이 천황(孝明天皇)
    2. 삿초(薩長)의 개혁 운동
    3. 존왕양이와 교토

    제3장 개항과 일본 사회
    1. 개항과 민중 세계
    2. 국제사회 속으로
    3. 양이와 개국

    제4장 근대국가의 탄생
    1. 왕정복고와 ‘유사(有司)’전제
    2. 무진전쟁
    3. 막말 유신기의 민중
    4. 근대국가의 창출
    5. 판적봉환과 폐번치현

    제5장 ‘탈 아시아’로의 길
    1. 급진적인 개혁
    2. 동북아시아 속에서
    3. 동아시아 침략의 제1단계
    4. 지조개정과 서남전쟁

    맺음말

    저자 후기
    역자 후기
    연표
    참고 문헌
    색인

 

2 민권과 헌법

머리말-5

제1장 자유 민권 운동과 민중 19
1. 다케바시(竹橋)사건과
릿시샤(立志社) 건백서(建白書) 20
2. 현의회(縣議會)에서 국회 개설로 27
3. 국민주의(國民主義)의 양의성(兩義性) 38

제2장 ‘헌법과 의회’를 둘러싼 공방 53
1. 대립과 혼란 54
2. 메이지 14년 정변 61
3. 자유 민권 운동의 침투와 쇠퇴 75

제3장 자유주의 경제와 민중의 생활 85
1. 마쓰카타 재정과 산업의 발전 86
2. 강한 자의 자유와 ‘인정(仁政)’ 요구 98
3. 합리주의의 양면성 109

제4장 내국 식민지와 ‘탈아’로의 길 121
1 ‘문명’과 ‘포섭’의 논리 122
2. 류큐 왕국(琉球王國)의 병합 135
3. 조선, 중국과 일본 143

제5장 학교 교육과 가족 159
1. 1880년대의 학교 교육 160
2. 모리 아리노리(森有禮)의 국민주의 교육 168
3. 근대 가족과 여성 182

제6장 근대 천황제의 성립 195
1. 근대적 국가 기구의 정비 196
2. 민중과 천황 212
3. 제국 헌법 체제의 성립 228

맺음말-241

저자 후기 247
역자 후기 250
연표 255
참고문헌 258
색인 264

 

3 청일전쟁

머리말­일본으로, 아시아로 5

제1장 초기의회 15
1. 헌법 실시의 단행 16
2. 제1의회의 공방 26
3. 적극주의로의 전환 35

제2장 조약개정 45
1. 시베리아철도와 일본 46
2. 계속되는 의회와의 대립 53
3. 이토 히로부미와 자유당의 모색 60
4. 조약개정과 제국의회 67

제3장 청일전쟁 77
1. 협조로부터의 이탈 78
2. 조선과 일본의 민중 82
3. 개전 91
4. 전쟁의 실상 104
5. 종전에서 전후로 118

제4장 대만 정복 전쟁 131
1 가혹한 정복 132
2. ‘외지’의 탄생 142
3. 팽창의 역류 152

제5장 청일 전후와 국민 통합 157
1. ‘전후경영’의 출발 158
2. 근대 법체계 168
3. ‘전후경영’의 정치 172
4. 국민 통합의 진전 187

제6장 민우사와 평민사 203
1. 전쟁과 하층사회 204
2. 문학과 사회 218
3. 저널리즘의 성숙 223

제7장 러일전쟁과 한국병합 237
1. 열려진 문 238
2. 러일전쟁 261
3. 강화의 모색 271
4. 전쟁의 기억 281
5. 한국병합 287

맺음말­‘빛나는 메이지’론과 내셔널리즘 299

저자 후기 306
역자 후기 308
연표 311
참고문헌 315

 

4 다이쇼 데모크라시

  • 머리말─제국과 데모크라시의 사이 5

    제1장 민본주의와 도시 민중 15
    1. 히비야 방화사건과 잡업층 16
    2. 단나슈의 주민운동 26
    3. 제1차 호헌운동과 다이쇼정변 34
    4. 민본주의의 주장 44
    5. ‘신여성’의 등장 55

    제2장 제1차 세계대전과 사회의 변용 63
    1. 한국병합 64
    2. 제1차 세계대전 개전 75
    3. 도시 사회와 농촌 사회 83
    4. 시베리아 출병의 전말 94

    제3장 쌀소동ㆍ정당정치ㆍ개조의 운동 103
    1. 1918년 여름의 쌀소동 104
    2. 정당내각의 탄생 113
    3. ‘개조’의 여러 조류 126
    4. 무산운동과 국수운동 138
    5. 반차별의식의 태동 147

    제4장 식민지의 광경 159
    1. 식민지에 대한 시선 160
    2. 3ㆍ1운동과 5ㆍ4운동 171
    3. 식민지통치론의 사정(射程) 181
    4. 워싱턴체제 190

    제5장 모더니즘의 사회공간 197
    1. 관동대지진 198
    2. ‘주부’와 ‘직업부인’ 206
    3. ‘상민(常民)’이란 누구인가 214
    4. 도시공간의 문화 경험 220
    5. 보통선거법과 치안유지법 229

    제6장 공황 시기의 기성정당과 무산세력 241
    1. 역사의 균열 242
    2. 기성정당과 무산정당 251
    3. 긴축ㆍ통수권간섭ㆍ공황 264
    4. 공황 시기의 사회운동 274

    맺음말─‘만주사변’ 전후 285

    저자 후기 292
    역자 후기 294
    연표 300
    참고문헌 303
    색인 309

 

5 만주사변에서 중일전쟁으로

  • 머리말

    제1장 만주사변의 4가지 특질
    1. 상대의 부재
    2. 정치와 군인
    3. 사변의 형태
    4. 팽창하는 만몽 개념

    제2장 특수권익을 둘러싼 공방
    1. 열강은 승인했는가?
    2. 미국 외교의 지향점
    3. 신 4국 차관단
    4. 부전조약과 자위권

    제3장 무너진 세 개의 전제
    1. 두 개의 체제
    2. 장작림 시대의 종말
    3. 국방론의 지평

    제4장 국제연맹 탈퇴까지
    1. 직접 교섭인가, 국제연맹 제소인가
    2. 주네브에서
    3. 초토외교의 이면

    제5장 중일전쟁으로
    1. 외교전
    2. 두 개의 사건
    3. 선전초고 없는 전쟁

    맺음말
    저자 후기
    역자 후기
    연표
    참고문헌
    색인

 

6 아시아 태평양전쟁

  • 머리말

    제1장 개전에의 길
    1. 삼국동맹에서 대미영 개전으로
    2. 전쟁의 성격
    3. 왜 개전을 회피할 수 없었을까

    제2장 초기작전의 성공과 도조 내각
    1. 일본군의 군사적 승리
    2. '도도 독재'의 성립

    제3장 전국의 전환
    1. 연합군에 의한 반공(反攻)의 개시
    2. 병력 동원을 둘러싼 여러 모순
    3. '대동아 공영권'의 현실
    4. 국민 생활의 실상

    제4장 총력전의 수행과 일본 사회
    1. 마리아나 제도의 실함(失陷)과 도조 내각
    2. 전시하의 사회 변응

    제5장 패전
    1. 전장과 병사
    2. 본토 공습의 본격화와 국민
    3. 전쟁의 종결

    맺음말
    저자 후기
    역자 후기
    연표
    참고문헌
    색인

 

7 점령과 개혁

  • 머리말

    제1장 전후체제의 형성과 일본의 패전
    1. 총력전체제와 패전
    2. 전후 국제체제의 형성
    3. 패전으로의 길

    제2장 비군사화와 민주화
    1. 점령체제의 형성
    2. 점령계획의 실시
    3. 도쿄재판과 전쟁 책임
    4. 민주화정책의 여러 가지 양상

    제3장 신헌법의 형성
    1. 헌법 개정을 둘러싸고
    2. 미국 정부와 GHQ
    3. GHQ의 헌법 초안
    4. 국내의 여러 헌법안과 헌법체제의 성립

    제4장 정당세력과 대중운동
    1. 패전과 일본의 지도자들
    2. 패전 전후의 정계 재편
    3. GHQ와 공직 추방
    4. 자유주의파와 협동주의파

    제5장 중도내각의 전개와 자유주의파 결집
    1. 가타야마 내각의 시대
    2. 아시다 중도내각의 성립
    3. 냉전과 점령정책의 전환
    4. 도지 라인과 사회 재편

    제6장 전후체제의 형성
    1. 여러 세력의 체제 구상
    2. 1950년대의 일본 사회

    맺음말
    저자 후기
    역자 후기
    연표
    참고문헌
    색인

 

8 고도성장

  • 머리말-경제성장 신화의 탄생 5

    제1장 1955년과 1960년-정치의 계절 17
    1. 전환기 1955년 18
    2. 독립 후의 정치 불안 21
    3. 보수 합동과 55년 체제 36
    4. 국제사회로의 복귀 44
    5. 춘투(春鬪)와 미이케(三池) 쟁의 53
    6. 미일안전보장조약 개정 문제 63
    7. 55년 체제와 전후 민주주의 83

    제2장 투자경쟁과 기술혁신-경제의 계절 93
    1. 경제 자립에서 소득 배증으로 94
    2. 투자와 그 제약 요인 101
    3. ‘기술혁신’과 신산업 육성 110
    4. ‘과시형 소비’의 시대 121

    제3장 개방경제체제로의 이행-경제대국 일본 137
    1. 베트남전쟁하의 아시아 138
    2. 개방체제로의 이행 152
    3. 증권 공황과 대형 합병 157
    4. 대형 합병과 기업 시스템 164
    5. ‘성장 지향’에 대한 이의 제시 177

    제4장 광란물가와 금권정치-성장의 종언 199
    1. 두 개의 닉슨쇼크 200
    2. 오키나와 반환 207
    3. 열도개조와 광란물가 221
    4. 두 번의 석유 위기 229
    5.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금권정치 238

    맺음말-경제대국의 함정 253

    저자 후기 269
    역자 후기 271
    연표 274
    참고문헌 278
    색인 283

 

9 포스트 전후 사회

  • 머리말-5

    제1장 좌파의 종말 19
    1. 아사마 산장 사건과 1970년대 20
    2. '운동' 하는 대중의 종말 32
    3. 베헤렌과 여성 해방 운동, 반복귀론 45

    제2장 풍요로움의 환상 속으로 63
    1. 고도 경제 성장의 정점에서 64
    2. 소비 사회와 도시의 젊은이들 75
    3. 중후장대(重厚長大)에서 경박단소(輕薄短小)로 86

    제3장 가족은 해체되었는가 103
    1. 변화하는 일본인의 의식 104
    2. 교외화와 핵가족의 폐색(閉塞) 112
    3. 허구의 세계로 123

    제4장 지역 개발이 남긴 것 141
    1. 반공해에서 환경보호로 142
    2. 지역 개발과 유원지 개발의 결말 152
    3. 농촌 붕괴와 지역자치의 모색 169

    제5장 '잃어버린 10년' 속에서 183
    1. 지진ㆍ옴진리교ㆍ버블 붕괴 184
    2. 국철 민영화에서 우정(郵政) 민영화로 197
    3. 확대되는 격차 213

    제6장 아시아에서 본 포스트 전후사 227
    1. 기업의 해외 진출과 산업 공동화 228
    2. '해외' 의 경험ㆍ'일본' 의 소비 238
    3. '전후' 에 대한 재론과 미일 관계 251

    맺음말-265

    저자 후기 271
    역자 후기 273
    연표 277
    참고문헌 281
    색인 285

 

10 일본 근현대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 머리말-5

    제1장-막말기, 구미에 대해 일본의 자립은 어떻게 지킬 수 있었던가?
    이노우에 가쓰오(井上勝生) 11

    제2장-왜 메이지 국가는 천황을 필요로 했던가?
    마키하라 노리오(牧原憲夫) 43

    제3장-청일ㆍ러일전쟁은 일본의 무엇을 변화시켰는가?
    하라다 게이이치(原田敬一) 77

    제4장-다이쇼 데모크라시란 어떤 데모크라시였는가?
    나리타 류이치(成田龍一) 99

    제5장-1930년대의 전쟁은 무엇을 위한 투쟁이었던가?
    가토 요코(加藤陽子) 127

    제6장-왜 전쟁의 시작(開戰)을 막을 수 없었던가?
    요시다 유타카(吉田裕) 151

    제7장-점령기 개혁은 일본을 변화시켰던 것일까?
    아메미야 쇼이치(雨宮昭一) 173

    제8장-왜 일본은 고도경제성장이 가능했던 것일까?
    다케다 하루히토(武田晴人) 197

    제9장-역사는 어디로 가는 것일까?
    요시미 순야(吉見俊哉) 221

    종장-왜 근현대 일본의 통사(通史)를 배우는 것인가?
    나리타 류이치(成田龍一) 249

    총목차 270
    저자 소개 280

 

반응형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more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