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중국, 러시아, 스타링크 무력화 기술개발 시도와 전망(기사) 본문

기술과 유행/우주항공,군사

중국, 러시아, 스타링크 무력화 기술개발 시도와 전망(기사)

스타링크는 이런 걸 걱정해서 약관에 이것저것[각주:1] 집어넣었는지 몰라도,

국가 통제를 넘어 국경을 넘는 통신망이라는 것은,

전쟁상황에서는 물론이고 평시에도, 군사적 의미가 없어도, 북, 중, 러같이 사회통제와 억압을 국가운영원리의 기본으로 삼는 나라들은 좋아하지 않죠. 예를 들어, 중국정부의 사회통제망인 "황금방패"는 스타링크 앞에 의미없으니까요.

 

 

"러시아·중국, 스페이스X 스타링크 무력화 시도 중" - zdnet 2025/04/09

https://zdnet.co.kr/view/?no=20250409105714

 

"러시아·중국, 스페이스X 스타링크 무력화 시도 중"

일론 머스크의 우주탐사기업 스페이스X의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가 러시아와 중국의 위협에 직면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정책 싱크탱크 ‘안전한 세계재단(SWF)’이 최근 ‘글로벌

zdnet.co.kr

 

ㅡ 정책 싱크탱크 ‘안전한 세계재단(SWF)’이 최근 ‘글로벌 대우주 역량: 오픈소스 평가(Global Counterspace Capabilities: An Open Source Assessment)'라는 316쪽짜리 보고서에서, 일론 머스크의 우주탐사기업 스페이스X의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가 러시아와 중국의 위협에 직면했다고 경고.

ㅡ 이 보고서는 미국, 중국, 러시아, 인도, 한국, 호주, 북한 등 12개국의 우주 역량 평가.

ㅡ 스타링크만이 아니라 원웹 및 다른 위성인터넷 서비스들도 특히 교전국가가 위성을 격추할 능력과 의사가 있을 때는 리스크를 안게 될 것이라고.

 

============

해당 문서. 매년 나오는 듯.

 

Global Counterspace Capabilities Report

https://swfound.org/

https://swfound.org/counterspace/

그림 조금

============

 

 

ㅡ 우크라이나군은 2024년 5월부터 스타링크 서비스 중단을 겪기 시작했는데, 우크라이나 관리들은  러시아군이 새로운 전자전 메카니즘을 도입한 것으로 인식.

 

SWF 분석가들은 토볼(Tobol)칼린카(Kalinka)라는 두 개의 러시아 시스템을 언급했다.

토볼
원래 러시아 위성을 전파 방해로부터 보호하도록 개발됐는데
이후 스타링크 위성 통신과 GPS와 같은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방해하도록 용도가 변경됐다.

러시아 전역의 최소 7개의 토볼 단지가 분포되어 있는데, 유출된 미국 군사 문서에 따르면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동부의 스타링크 신호를 막기 위해 최소 3개의 토볼 시설을 배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이 더 우려하는 시스템은 일명 ‘스타링크 킬러’라고 불리는 칼린카다. 이 시스템은 스타링크 위성의 신호를 탐지하고 교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우크라이나의 드론과 군사 통신을 방해하는 것이 목표다.

특히 칼린카가 우려스러운 점은 스타링크의 군사용 버전인 스타쉴드에 연결된 단말기를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 zdnet

 

 

한편 중국은, 스타링크와 같은 외국의 상업용 군집 위성을 교란하거나 물리적으로 타격하는 공격 역량을 개발 중인 것으로 짐작되는데, 2022년 공식 군사연구 자료에서 그런 것을 만들어야 한다고 언급함.

 

 

한편 스타링크 사주인 일론 머스크의 한심한 트롤링에 학을 뗀 우크라이나[각주:2]는 독일 정부의 도움을 받아 스타링크의 경쟁 서비스인 원웹과도 계약해 단말기 보급 중.

 

스타링크 의존하던 우크라이나, 원웹 위성 대거 도입
독일 정부 지원으로 1천여 단말기 운영 중…수주 내 최대 1만 개까지 확대 가능성
zdnet 2025/04/0

https://zdnet.co.kr/view/?no=20250405180147

 

스타링크 의존하던 우크라이나, 원웹 위성 대거 도입

우크라이나에서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에 의존하던 위성 인터넷 서비스에 새로운 경쟁자가 등장하고 있다. 프랑스 위성통신 기업 유텔샛(Eutelsat)이 독일 정부의 지원을 받아 우크라이나에

zdnet.co.kr

 

 

 

 

 

  1. 원칙적으로 군사적 이용 금지 등. [본문으로]
  2. 그리고 스타링크를 활용할 생각하던 다른 나라들도 [본문으로]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