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드론대 드론 공중전시대를 여나 (기사 조금) 본문

기술과 유행/우주항공,군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드론대 드론 공중전시대를 여나 (기사 조금)

기사 링크부터.

 

"테크노 타라스" 요격 드론: "군"에 국내 저가형 방공체계 세부 정보 전달
산야 코자츠키 2025년 4월 18일

https://militarnyi.com/uk/articles/dron-perehoplyuvach-tehno-taras-militarnomu-rozpovily-detali-pro-vitchyznyanyj-deshevyj-zasib-ppo/

 

Дрон-перехоплювач "Техно Тарас": "Мілітарному" розповіли деталі про ві

Сили оборони України використовують вітчизняні дрони-перехоплювачі «Техно Тарас» для збиття російських розвідувальних БпЛА на різних діл

militarnyi.com

https://youtu.be/nchXvff4R2M

.

.

.

.

.

 

 

ㅡ 1600달러짜리 "테크노 타라스" 드론. 작약은 600그램으로 소형. 1시간 체공 가능. 

시속 160km라는 느린 속력으로 날지만, 러시아의 정찰 드론을 방어하는 데 쓸 수 있고 실적도 있다고.

작전반경같은 숫자는 35km, 상승한도는 6천 미터. 

 

ㅡ "30만 달러짜리 멀린 드론을 격추할 수 있다"고 하는데, 그 멀린 드론은 아마 이런 것인 듯.

https://www.google.com/search?q=Merlin-VR+drone

정찰드론은 목표지역에 도달하면 느린 속력으로 배회하기 때문에 저런 느린 기체로도 격추기회를 잡을 수 있다.

하지만 만약 기사의 다른 부분에 나오듯 러시아군이 요격드론을 감지할 수단을 갖고 회피운동을 한다면, 저 요격드론도 훨씬 빨라져야 할 것이다. (일단 상대 드론이 훨씬 비싸지게 만드는 것만 해도 의의는 있다. 드론싸움은 돈싸움이기도 하다)

 

ㅡ 1세트는 주간용 15대, 더 비싸지만 열상장비한 야간용 5대와 지상지휘소(지상조종한다)로 구성.

아마, 담당구역의 하늘에서 적 정찰드론을 식별하면 출격시켜 제거하는 방식같다.

 

ㅡ 270대 정도를 생산했고 160대 정도를 사용해 130여 대를 격추하는 데 성공. 약 80%의 임무 성공율은 고무적.

이것을 투입한 전역에서는 러시아군의 정찰드론(멀린, 올란, 잘라, 슈퍼캠 등)을 줄일 수 있었다.

 

ㅡ 테크노 타라스 드론은 성과가 괜찮지만 보급을 확대하려면 생산공장과 교육학교를 늘려야 한다.[각주:1]

 

ㅡ 러시아도 이미 대책을 궁리 중이라고 한다. 그래서 드론대 드론 전쟁은 더 발전할 것.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드론 요격에 대해 우려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할 방법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 특히, 그들은 우크라이나 요격기를 감지하고 공격을 자동으로 회피하기 위해 정찰 드론에 추가 카메라를 설치하기 시작했습니다.

 

 

링크한 유튜브 영상에서, 테크노 타라스 드론이 배회 중인 적 정찰드론에 다가가 자폭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최종단계의 접근과 재접근, 자폭 프로세스는 신형 FPV드론용으로 개발한다는 AI를 사용할 수 있을테고, 그럼 통신방해는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타겟이 된 적 정찰드론이나 공격드론이 지상조종이나 AI를 사용한 회피/도주를 한다면, 앞서 적었듯 요격드론도 적 드론의 속력보다 훨씬 빨라야 직접 조종하든 AI가 움직이든 격추할 수 있을 것이다.

 

세상 참 빠르게 변하네요. 농담같던 일이 불과 몇 년 만에 현실이 됐습니다.

 

  1. 우크라이나의 문제는 항상 이것이다. 푸틴이 먹으려고 기를 쓰는 구소련 핵심지역답게 아이디어는 샘솟듯 하지만, 체급차때문에 전선에 투입하는 물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러시아대비 장거리 공격무기가 빈약하고 국토 종심이 얕아 장기전하며 후방에서 총력전을 지원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렵다. 그래도 전쟁 3년째를 맞는 지금, 우크라이나는 미국의 정세변화와 맞물린 감도 있지만, 무기 자급 확대와 전시경제의 장기화에 대비한 조치를 시행 중이다. 6.25때 아무 것도 없던 우리도 부산 조병창에서 어설프게나마 자체 무기생산해 전선에 보내던 것을 생각하면, 당시 우리보다야 월등히 나은 행정체계와 산업수준, 인적자원수준을 가진 우크라이나가 그렇게 하는 것은 자연스런 일이다. [본문으로]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