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2024년 청소년 매체이용 및 유해환경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25.3.31) 본문


모바일, 통신/SNS - 문화, 매체

2024년 청소년 매체이용 및 유해환경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25.3.31)


반응형

앞의 기사에 언급된 정부 보도자료 링크입니다.

 

잡담: 재미있는 부분은, 숏폼이 너무 재미있어서인지 어째서인지 "성인물 콘텐츠" 이용률이 감소했다는 겁니다. 도박경험감소[각주:1]와 음주흡연감소는 아무래도 교육의 결과겠지만. 그런데 모든 사람은 하루를 24시간만 가지고 있으니, 만약 숏폼때문에 저런 바람직한 부작용도 생겼다고 상상한다면, 대체 얼마나 푹 빠진 거냐는 생각도 듭니다. ^^ 다시 생각하니 이런 식으로 넘겨짚는 건 그냥 설레발일 것 같지만.

(다만 읽어보니, 성인물 이용률은 최근 1년간, 술담배는 최근 1개월간 경험률 이런 식으로, 제대로 이해하려면 본문을 봐야 합니다. 그 외, 중고등학생의 술담배 구입경로와 성인확인/미확인 비율 설문조사도 나옵니다.)

 

 

청소년 매체이용률 1위는 ‘짧은 영상(숏폼)’, 절반 생성형 인공지능(AI) 사용
‘2024년 청소년 매체이용 및 유해환경 실태조사’ 결과

- 성인용 영상·간행물 이용률 감소, 온라인 도박성 게임 경험률 감소 
- 음주·흡연 경험률 감소, 술·담배 구매 시 나이 및 본인확인 증가
- 청소년유해업소 이용 1위 ‘룸카페’, 근로계약서 미작성 청소년 지속 감소

□ 여성가족부는 지난 해 전국 17개 시·도 초(4~6학년)․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15,05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청소년 매체이용 및 유해환경 실태조사」(이하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ㅇ 본 실태조사는「청소년 보호법」에 따라 청소년의 매체이용 및 유해환경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청소년 보호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매 2년 마다 실시하는 국가승인통계로 매체·행위·약물·업소·근로보호의 영역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ㅇ 이번 실태조사는 조사 전용 누리집을 활용한 온라인 조사로 실시하였으며, 최근 사회 변화를 반영하여 매체 조사 문항에 ‘짧은 영상(숏폼) 콘텐츠’, ‘생성형 인공지능(AI)’ 등을 추가하였다. 또한 업소 조사 문항에 ‘룸카페’와 ‘멀티방’을 구분하고 유해약물 조사 문항 중 의료용 마약성 진통제 항목을 명확히 표현하는 등 문항을 변경하였다.

 

 

< 조사 개요 >

○ 조 사 명 : 2024 청소년 매체이용 유해환경 실태조사
○ 조사대상 : 전국 학생 청소년(초등학교 4~6학년 및 중・고등학교) 총 15,053명
○ 조사내용 : 매체, 행위, 약물, 업소, 근로보호 등 청소년의 매체이용 및 유해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실태
○ 조사방법 :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전용 홈페이지를 활용한 웹기반 온라인 조사)
○ 조사기관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주)한국리서치
○ 조사기간 : 2024. 9. 9. ~ 11. 8.

ㅇ 실태조사 결과는 올해 수립하는 ‘제5차 청소년 보호종합대책(’25~’27)’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https://www.mogef.go.kr/nw/rpd/nw_rpd_s001d.do?mid=news405&bbtSn=710449

 

  1. 요즘 학생 사이버 도박이 큰 사회문제라고 떠들썩했는데 이 결과는 뭔가요.. 조사방식의 차이인가? [본문으로]
반응형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more

Viewed Pos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