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결혼, 출생/백일/돌 선물로 금을 줄 때 생기는 문제들 (기사) 본문


견적, 지름직/증권,채권,상품시장

결혼, 출생/백일/돌 선물로 금을 줄 때 생기는 문제들 (기사)


반응형

몇 년 묵혔다고 과세당국이 지나가지 않는다고. 그리고, 신고하지 않고 증여한 금은 증여시점의 가치로 과세되는 것이 아니라고.

물론, 이런 걸 기념일에 선물해봐야 증여세 과세기준을 넘을 일이 없는 서민이 걱정할 일은 아니다.

 

 

“골드바 몰래 주면 아무도 모르겠지?”… 10년 지나도 적발 땐 세금 토해내야
금값 10년 새 4배 ↑… 거래 편리해 선호
증여·상속 회피 수단 악용 사례도
현금 인출 기록 남아 사용처 미입증 시 상속재산 간주
거짓·누락 신고, 부정행위 땐 15년 후까지 과세
조선일보 2025.08.03. 
https://biz.chosun.com/about-investing/2025/08/03/NTQ7SQ6HLVHJDADYQ3NMGYMO3E/

 

[똑똑한 증여] “골드바 몰래 주면 아무도 모르겠지?”… 10년 지나도 적발 땐 세금 토해내야

똑똑한 증여 골드바 몰래 주면 아무도 모르겠지 10년 지나도 적발 땐 세금 토해내야 금값 10년 새 4배 ↑ 거래 편리해 선호 증여·상속 회피 수단 악용 사례도 현금 인출 기록 남아 사용처 미입증

biz.chosun.com

 

 

 

실물 금거래에 대한 양도차익에 과세가 되지 않는다는 말은 신기하네요. 왜 그런 법을 만들었을까. 이건 화폐에 관한 역사적인 문제같은데..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51152521

 

장롱 속에 있는 금 팔면 양도세 내야 할까

장롱 속에 있는 금 팔면 양도세 내야 할까, 이신규의 절세노트 금 실물 매매차익 과세 대상 아냐 금 연계 ETF·펀드는 배당 소득세 내야 금 증여할때도 과세

www.hankyung.com

 

일단 금연계 금융상품은 관계법에 따라 양도세과세대상이 기본이라 가입하려 한다면 상품별로 그런지 아닌지 알아봐야 한다고.

 

아래는 5년 전인 2020년 같은 매체 기사.

 

"사두면 돈 된다"…요즘 예비부부들 사이에 뜨는 혼수 품목
2020.08.11 09:15 
'황금개미' 골드러시① 金테크
▽ 젊은 고객들이 골드바에 큰 관심
▽ 온라인 비대면 거래 문의 폭증
▽ 끊임없는 순금 매입·매도 '골드러시'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008100573g

 

"사두면 돈 된다"…요즘 예비부부들 사이에 뜨는 혼수 품목

"사두면 돈 된다"…요즘 예비부부들 사이에 뜨는 혼수 품목, '황금개미' 골드러시① 金테크 ▽ 젊은 고객들이 골드바에 큰 관심 ▽ 온라인 비대면 거래 문의 폭증 ▽ 끊임없는 순금 매입·매도 '

www.hankyung.com

 

 

"집처럼 금도 양도세 내나요?"…'황금개미' 입문기
2020.08.12
'황금개미' 골드러시② 금 처음 사세요?
▽ 상품은 골드바, 골드뱅킹, 골드바 신탁 3종류
▽ 양도세 無, 수수료 0.3%…100g 넘어야 인출
▽ 신규 가입 시 1g 이상, 매매 시 0.01g 단위
▽ "금값 상승하겠지만 공격적 투자는 주의"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008100861g

 

"집처럼 금도 양도세 내나요?"…'황금개미' 입문기

"집처럼 금도 양도세 내나요?"…'황금개미' 입문기, '황금개미' 골드러시② 금 처음 사세요? ▽ 상품은 골드바, 골드뱅킹, 골드바 신탁 3종류 ▽ 양도세 無, 수수료 0.3%…100g 넘어야 인출 ▽ 신규

www.hankyung.com

 

 

각종 금 상품 설명. 매일경제 2023.12.

https://www.mk.co.kr/news/stock/10649867

 

금 투자했다 세금·수수료에 놀랐다고?…그렇다면 여기서 사세요 [신화!머니?] - 매일경제

한국거래소 금 시장 이용하면 차익에 세금없고 수수료 저렴 현물 인출 때 부가세 10% 부과

www.mk.co.kr

 

 

기사들이 조금 일관되지 않거나 서로가 부족한 부분을 잘 채워주지 못하는 면이 있어서,

저것만 읽고는 부족한 퍼즐이 너무 많네요. 관심있다면 한참 더 찾아봐야 할 듯.

 

 

다만, 이 글은 꽤 전에 찾아보고 미래시점으로 발행일을 잡은 것인데,

요즘 2025.10월 기준 금시세는 너무 올라버렸습니다. 원흉은 도널드 트럼프.

그래서 지금 그 누구도 자기 이름을 걸고 금을 사라고 말을 못할 겁니다. 돌이나 백일 선물로 금반지를 주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오른 금값이 골치아프지만요.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100774817

 

"'반의반의반 돈' 돌 반지 있나요?"…미친 금값에 '한숨'

"'반의반의반 돈' 돌 반지 있나요?"…미친 금값에 '한숨', 금값, 또 사상 최고가

www.hankyung.com

 

 

금값, 첫 4천달러 육박…최고가 행진 속 올해 51% 상승
연합 2025-10-07

골드만삭스 "내년말에 4천900달러" 전망치 상향조정
트럼프·경제·지정학적 불확실성 속 안전자산 선호 부각

https://www.yna.co.kr/view/AKR20251007024900009

 

금값, 첫 4천달러 육박…최고가 행진 속 올해 51% 상승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과 프랑스의 정치위기로 금융시장에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 기록을 또...

www.yna.co.kr

 

 

반응형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Comments
more

Viewed Posts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