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PC Geek's

MP3 CBR VBR ABR AAC 본문

소프트웨어와 콘텐츠/트랜스코딩

MP3 CBR VBR ABR AAC

https://pcgeeks.tistory.com/60       ▒    2007. 8. 16.
    디시인사이드
    CBR<->VBR 변환. Switch

    LAME 코덱은 128kbps 미만으로 인코딩하면 열화가 많다고 합니다. 그 밑에서는 wma가 낫다는 이야기도 있네요.

    낮은 비트레이트 인코딩 글: 엠포탈 기사

    벤치글: 00년거라 오래된 글, 당시는 aac he가 낮은 비트레이트에서 좋았다고.. 2004년글

    다른 글을 봐도 약 96kbps AAC는 128kbps mp3보다 낫다는 얘기가 있네요.
    flac->AAC
    WAV->AAC
    MP3->AAC

    음악파일 AAC변환기
    - 소스포지, mediacoder
    - GX transcoder

    AAC : wikipedia, link2

    nero digotal audio+


    일단 감상:
    MP3: 192~270kbps이상 되는 파일과 64kbps VBR 파일은 확실히 차이가 나고 128kbps짜리는 자꾸 들으면 알 정도지만 바로 알아차리지는 못합니다. 64kbps VBR은, 목소리에 가까운 부분을 남기고 나머지를 잘라낸 티가 납니다. 특히 클립폰으로 들으면 잘 몰라도 고감도 이어폰으로 들으면 확실히 느껴집니다.

    용량기준 WAV원본을 약 반 더 되게 줄인 게 FLAC, 이걸 다시 반~1/3쯤으로 줄인 게 ogg, 품질 좋은 ogg를 약 절반으로 줄인 게 128kbps mp3, 이걸 다시 반으로 줄이면 quality 50% he-aac2. 48kbps he-aac2는 이걸 다시 2/3로 줄인 것.
    용량이 줄어들면서 가청주파수대 위/아래를 잘라가기 때문에, 라디오를 듣는 것같아지며 공간감이 줄어듭니다. 자잘한 악기 소리가 점점 무뎌지고, 음색이 개성이 빠지고 둥글어집니다.
    이 글과 같은 분류글목록으로 / 최신글목록 이동
    Viewed Posts
    Recent Comments
    Recent Posts